슬픈 나이팅게일 - 그리스 설화 1
메네라오스 스테파니데스 지음, 포티니 스테파니디 그림, 이경혜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오봉초 3학년 최 상철
2006.2.24.금요일 맑음
제목: 슬픈 나이팅게일로 변한 왕자.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여행 탐구버전*

안녕하신가? 탐구생활 작가라네. 이번에도 이 넓은 세상을 탐험할걸세. 탐험 장소만 순간 이동하고, 나머지는 전부 주인공을 미행한다. 조금 다리 아플지도.
내가 초기 이야기를 들려주겠네. 한 왕자와 공주가 있었는데, 어느 날 왕자와 공주가 밖에서 놀다가 공주의 파란 스카프를 잃어버렸지. 그래서 왕자가 스카프를 찾으러갔다가 돌아오지 않는거야. 그 순간 슬픈 나이팅게일이란 새가 찾아와 노래를 부르다, 도망갔지. 지금 너희들도 전국에 소문난거 들었지? 나이팅게일을 찾는다면 결혼한다는 거. 너희들은 무릴거야. 그리고 한다 해도, 이야기 속 역사를 깨트리면 안된다. 이런, 전국에서 오는 젊은이들 때문에 혼잡하구나. 얼른 주인공을 따라가 보자. 저 아이는 아주 거물인 상인의 조수지. 그 상인은 자신의 아들을 찾게 하고, 저 아이가 부탁하자 겨우 빵과 치즈로 만든 자루를 선물했지. 좀더 따라가 보자꾸나. 흐음, 저 친구 할머니가 도와달라는데도 무시하고 그대로 가는군. 그 아이는 지금 막 도착했구나. 심성이 착해보이더라니, 단숨에 도와주는군. 그후로 할머니의 축복과 조언을 듣고 가는 건 알고 있겠지? 아, 우리도 저 소년처럼 6개의 산을 넘어야 하는구나. 다리가 아프더라도 노력하자. 산악을 자주하는 친구는 끄떡없겠군. 저 동굴속에는 거인이 있으니 벽에 붙어서 살펴보자. 저 친구, 거인이 자신이 앞을 보이게 해달라자 눈썹을 가지고 있던 가위로 싹둑 잘라주는구나. 그 거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수염과 열쇠를 소년에게 주었지. 열쇠 엄청큰데, 소년은 들수나 있을까? 소년을 더 따라가 보자. 열쇠로 한 문을 열고, 계속 통과하는군. 이러다 모두 지치겠군. 마침 저 소년 페가수스를 타고 이동하니, 우리도 타임머신에서 잠시 쉬었다 가자. 이런, 와보니까는 이미 소년이 나이팅게일을 나쁜 거인들로부터 구출하였구나. 우리, 뭔가해야하지 않겠니?... 도망가!! 휴, 겨우 도망쳤구나. 그들은 닥치는데로 괴롭히지. 여기서 행복한 끝을 맺을까? 아니야, 그 상인의 아들과 우연히 만나 아들은 사기를 쳐서 공주에게 나이팅게일을 가져갔지. 그동안 아이는 아들의 꾀에 걸려 우물 속에 갇혀 있군. 다른 사람이 구해줄때까지 기다리자. 마침 양치기가 소리를 듣고 구해주는구나. 자, 소년이 궁궐로 달려가니 우리도 쫓아가자. 궁궐안에서 상인의 아들은 우왕좌왕하고 있고, 소년은 똑바로 대답하니 과연 누가 공주와 결혼할거 같니? 당연 소년이지. 앞으로는 둘이서 행복하게 살겠구나. 앞으로 일어나는 변화에 의해 기절하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자, 새가 사람으로 변하지? 왜 내 충고를 듣고도 쓰러지는 인물이 있는거냐.... 어쨌든 이번 이야기는 힘들었을게다. 그래도 실제로 탐험하니 재밌었겠군. 자, 이제 느낌을 말해보도록 하자.

난 소년이 너무 착하나, 지혜롭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스누티가 자신을 우물에 빠뜨리려는 계략을 쉽게 알 수 있는 데도 알아차리지 못한 점이다. 그는 비록 착해서 복을 많이 받지만, 그 지식이 너무 낮아 금세 그 복을 잃기 마련이지. 소년이 책을 많이 읽고 토론해서 알렉산더대왕처럼 위대해지기를 기대해본다. 솔직함으로 복을 되찾는 때도 많다고 생각하지만, 무엇보다 지혜로워야 된다고 생각한다. 자, 내가 지금까지 상인의 아들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구나. 그의 이름은 스누티. 엄청 뻐긴다는 뜻이지. 확실히 자신이 너무 잘났다 생각하고, 주위사람들에게 너무 친절하지 못해서 욕을 듣기 십상이구나. 그는 한번 혼이 난 이후로 다시 달라진 점은 있어야겠지. 이 이야기 역시 권선징악. 선을 행한 소년은 결국 공주와 결혼하기까지 이르고, 스누티는 결국 하늘의 벌을 받아 착하지게 되었지. 이런, 권선징악이 너무 많다 생각되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의 신과 겨룬 소년 비룡소 세계의 옛이야기 11
데이비드 비스니에프스키 글 그림, 이은석 옮김 / 비룡소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2006.2.24.금요일 맑음
제목:픽과 샤크의 대결.

이 이야기는 원주민들의 이야기다. 이 도시의 사제는 무서운 가뭄이 들 것을 예언하고, 그는 예언을 알리는 소라고둥을 불었다. 이때 포커토크를 하고 있던 픽은 예언을 듣고 비의신 샤크에 대해 나쁘게 이야기하자, 샤크는 픽을 납치해갔다. 나는 신인 샤크에게 올바른 말을 할 수 있는 픽이, 참 용감하다고 생각되었다. 픽은 샤크에게 포커토크를 하여 자신이 이기면 비를 내리고, 자신이 지면 자신은 개구리로 변하기로 약조하였다. 그러나 픽은 표범의 용맹과 케찰새 빠르기, 새노테의 지혜로 도움을 얻어 이겼다. 그 이후로 가뭄이 들지 않고 언제나 비가 내렸다고 한다. 샤크신은 어째서 비를 내리려 하지 않았을까? 아무리 심술궂어도 자신의 의무를 끝까지 지키지 않으니 그는 신으로써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들이 인간을 만들었으면 비록 그렇게 하는 것이 이치에 맞아도 사람들 목숨이 달린 일인데 함부로 그렇게 하다니... 나는 차라리 픽이 신이 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솔직하게 도움을 청하고 열심히 노력한 픽도, 그럴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신을 함부로 험담한것은 나쁘다고 생각되었다. 나의 생각에는 결국 양쪽 다 나쁘다고 판정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용기와 도전정신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못 말리는 종이괴물 상상력을 키우는 만화그림책 1
루이 트로댕 지음, 김미선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오봉초 3학년 최 상철
2006.2.27.월요일 맑음
제목: 못말리는 종이괴물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오리가족들이다. 이 오리가족들은 그림을 그려서 그것을 반짝이 풀로 소환시켜 내다팔아서 살림 사는 가족이다. 만약 이들은 금을 잔뜩 그리고 팔면 어떻게 될까? 이들은 어떻게 살아있게 만드는 반짝이 풀을 얻었는지는 모르지만 두 아이는 언제나 괴물을 그리고 다닌다. 그런데 갑자기 실수로 반짝이 풀을 한 괴물그림에 넣어서 그 괴물은 가족들을 괴롭히기 시작했다. 그래서 동글이라는 종이괴물을 만들었는데 이 괴물은 아주 착한 겁쟁이 괴물이였었다. 이이후로 이들은 오히려 더 도망치기 시작하고 살아난 괴물은 다른 괴물들에게까지 반짝이 풀을 뿌려서 모두다 가족들을 쫓기시작했다. 그런데 밖으로 나오니 비가 내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종이괴물들은 모두 젖어서 없어졌는데, 착한 종이괴물인 동글이는 왜 안 젖는지 모르겠다. 어쨌든 오리가족의 아빠는 동글이를 없애자고 하니, 아이들은 동글이가 좋아져서 같이 살자고 하였다. 그 후로 오리가족에게는 새 식구가 생기게 되었다. 비록 내용도 재밌고 만화라서 좋은데, 의문점이 너무 많다. 그들은 어떻게 그 풀을 얻었는지, 비가올때 동글이는 어떻게 안젖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천방지축한 생활은 우리들에게 큰 즐거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하늘 별 이야기
세키구치 슈운 글.그림, 김창원.정혜선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봉초 3학년 최상철
2006.2.27.월요일 맑음

제목:하늘에 사는 것들.(별자리에 관한 시)

하늘에 사는 생물은 어떤 생물이 있을까?

까만 밤, 검은색에 총총 빛나는 생물들을

볼 수 있을까?

땅위에 사는 생물들도 하늘에 살 수 있지.

몇몇 안 되는 사람들도 같은 자세로

우리위에 강강술래하지.

다른 동물들도 흥겹게 우리 위를 빙빙 돌지.

검은 하늘위에 있는 별 점 하나에,

점을 중심으로 강강술래하는 동물과 사람들.

시간이 지나면 다른 사람과 교체하지.

언제 끝날까?

이 강강술래는 하루가 지나도, 한 주가 지나도,

끝없이 계속 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가운 심장
빌헬름 하우프 지음, 펠릭스 샤인베르거 그림, 유수진 옮김 / 푸른나무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오봉초 4학년 최 상철
2006. 03. 09

어느 마을 한 오두막, 페터 문크라는 소년이 있다. 그소년은 가난한 숯쟁이. 소년은 몇푼 버는게 너무 싫어, 숲속의 요정 유리난쟁이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는 난쟁이가 먼저 2가지 소원을 들어주고, 한가지는 자신이 위험할때 들어준다자 그는 돈과 유리공장을 택했었다. 그때 난쟁이는 화가 났었지만 들어주었고, 술집을 드나들지말고 사람들을 도우며 허영덩어리 부자들처럼 되지말라하였다. 그러나 그의 말을 무시하고 그는 그가한말의 반대로만 하였다. 그래도 그는 동정심이 남아있어 불쌍한 자들을 돕긴했다만 역시 그는 사람들에게 불평받았다. 여러 도박으로 유리공장도 망하고, 자신은 빈털터리가 되었다. 그는 유리 난쟁이를 만나 당장 협박했지만, 그는 사라졌고 이제는 지금까지 들어오던 미셸을 찾아나설수밖에 없었다. 미셸을 결국 숲에서 만나고, 그에게 자신의 심장을 팔아 금화를 얻었었다.

미셸의 여러 설득에 그는 돌심장을얻고 동정심 기쁨 슬픔따위는 다 잊고 사람들을 괴롭히며 점점더 부자가 되어갔었다. 그리고 돈으로 괜히 행복하게 살고있는 여인과 함부로 결혼하고. 여인은 아주 착하여서 거지에게 음식을 주자 페터는 채찍으로 자신의 아내를 죽이게 되었다. 그 거지는 갑자기 엄청거대해 지며, 페터에게 8일을 주겠다며 그동안의 일을 반성하라 하였다. 만약 바뀌지 못하면 그땐 죽이겠다고. 그래서 페터는 얼른 유리난쟁이를 찾아 3번째 소원을 들어달라 하였다. 자신의 심장을 되찾아달라고. 그는 심장을 되찾을 방법을 알려주어 페터는 자신의 심장을 되찾게 되었다. 자신의 잘못을 반성한 페터에게 그는 선물을 주었다. 다시 예전 그생활이 아닌 농장, 행복하게 살수있도록 어머니와 아내를. 모든것이 되돌아왔었다. 자신은 지금까지 누려오지 못했던 행복을 다시 누리게 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들려주는 교훈은 돈이 전부가 아니다. 돈은 우리가 경제활동을 쉽게 만들기 위하여 있는것이고 돈은 단지 우리 생활을 더 좋게 만들어 주는것뿐이다. 돈으로는 행복을 누릴수가 없다. 현재 많은 사람이 돈이 전부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람은 돈만있으며 살면 점점더 그 생활에 싫증나 오히려 돈이 없을때보다 더 불행할수도 있다. 앞으로 돈만아는 인간이 아닌, 난 소크라테스나 간디처럼 진리와 지식을 아는 자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