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P221

「슬픔 마음 있는 사람」 - P221

정기현 - P221

2023년 문학 웹진 <LIM>에 단편소설 「농부의 피」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P221

슬픔 마음 있는 사람 - P223

김병철 들어라 31. 당신은 우리를 파멸시켰고 나와 내 가족들을 구렁텅이에 처넣엇다 죽어야 마땅한 사람아 - P223

또 다른 김병철을 찾아 - P224

평일 교회에서 만나 - P224

교회에 마음을 다하는 방식 - P225

수영 만화 - P226

둘은 탁구를 치기 시작했다. - P227

때때로 낯선 사람이 불쑥 교회를 찾았다. - P227

길 잃은 나그네의 인생 방황기 - P228

평일의 교회에도 질서가 - P228

거여고가교 - P229

기둥에 있는 낙서 - P230

156개의 낙서 - P230

적어도 15년 전에 기록된 낙서 - P231

기독교도의 장례식 - P231

장례식에서 나눈 대화 - P232

기은이 유일하게 외는 성경 구절 - P233

"나무 같은 것들이 걸어가는 것을 보나이다" - P233

3F, 한국오카리나박물관. - P233

마을의 괴상한 오카리나 표정 아래 서 있다. - P234

1100여 점의 오카리나 - P235

노곤함 - P236

텁텁한 흙 맛 - P237

왜인지 참 무거웠다. - P238

그래서 그렇게 교회가 익숙했구나. - P239

『마가복음』 8장 23절 - P239

질서를 이루던 것들이 흩어져 허공에 둥둥 떠다니는 것 같았다. - P240

서른한 개의 김병철 들어라 지도 - P241

김병철 낙서 찾기 - P241

본격적인 목적이 된다면..... - P242

여기서 무얼 찾느냐고! - P243

2000년대 거여동은 다단계 사업체의 온상이었다. - P243

준영보다 먼저 미래에 도달한 소감은 - P244

김병철이 죽었대요. - P245

마음에 슬픔이 깃들었다. - P246

슬픈 마음 있는 사람 예수 이름 믿으면 영원토록 변함없는기쁜 마음 얻으리. - P247

마지막 찬송은 - P247

「슬픈 마음 있는 사람」정기현 작가와의 대담 - P248

소유정 문학평론가, 제48회 이상문학상 예심위원 - P248

생일 선물로 - P248

소설가이면서 문학 편집자로 - P249

잘 갖춰진 순환 시스템 - P249

일상의 리듬 - P250

기은은 장례식을 찾은 사람들을 "슬픈 사람"과 "슬프지 않은 사람"으로 분류를 합니다. - P250

슬픔이라는 감정의 층위 - P251

기은이 준영을 떠올리며 "슬픈 마음" 속에서 "아늑함"을 느끼는 부분 - P2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1 친일매국 세력이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이유 - P23

식민지근대화론을 뿌리내리려는 자들의 목적 - P24

"일제강점기 우리는 일본인이었다." - P26

식민지근대화론의 선두 주자는 안병직과 이영훈이었다. - P27

02 조선보다 일제강점기가 살기 좋았다고? - P29

일본은 회사령(1910)을 발표하여 조선인의 회사 설립을 막았다. - P31

어떻게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이 경제적으로 더 잘살았다고 말할 수 있는가? - P32

03일제강점기에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 P34

인구가 증가한 시기 - P35

04 우리의 주요 철도를 일본이 만들어 주었다고? - P39

주요 철도의 완공 시기 - P40

05 일제강점기에 공장과 발전소가 많이 만들어졌다고? - P42

병참기지화정책 - P43

06 조선의 신분제도를 일본이 폐지시켜주었다고? - P46

갑오개혁 - P47

지금까지도 나라 내부의 신분 차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시끄러운 일본을 과대평가하고, 우리 역사를 과소평가하는사람들의 열등의식 - P49

07 조선인들이 가난하고 더럽고 미개했다고? - P50

세 끼 먹는 문화가 정착 - P52

조선인은 분명 일본인보다 많이 먹었고, 이 때문에 월등히 키가 컸다. - P54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 조선은 유럽을 제외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남긴 나라가 되었다. - P55

화장실 문화 - P57

목욕 문화 - P58

08 놀라운 변화는 일제강점기때가 아니었다고? - P60

① 강화도조약(1876)~국권피탈(1910)
② 일제강점기 (1910~1945)
③ 해방(1945)~5.18광주민주화운동(1980) - P61

사립학교령(1908) - P63

서양식 병원 - P64

근대적 변화 - P66

1장
「식민지근대화론
거짓말을 그만하라」 - P21

2장
「식민지 수탈과 학살의 진실을 말하라」 - P69

09 일본은 우리에게 얼마나 나빴나? - P71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일본은 우리를 너무 힘들게 했다. - P71

그렇다면 국권피탈 이후 일본은 얼마나 나빴을까? - P72

이 모든 것에 대해 반성하지 않는 죄 - P74

10 일본의 수탈 DNA를 아는가? - P75

조선 농민과 일본 에도시대 농민의 비교 - P77

조선과 일본의 토지세 - P78

조선은 민본을 건국 이념으로 삼았다. - P80

11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를 빼앗지 않았다고? - P82

신용하 교수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 P83

일제가 시행한 토지조사사업 - P85

12 산미증식계획으로 일본에 건너간 쌀이 수출이라고? - P87

산미증식계획 - P88

13 일본의 인간사냥과 여성 성노예 DNA를 아는가? - P90

《근세 일본 국민의 역사》 - P91

역사에서 그들의 국민성을 유추해 볼 때 그렇다. - P93

14 징용·징병·정신대로 끌려간 조선인의 숫자가 무려? - P94

강제 징용 - P96

학도지원병제 - P97

한국인이 일본에 당한 인적 수탈의 상처와 그 무게 - P99

15 일본의 학살 DNA를 아는가?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P189

「리틀 프라이드」 - P189

서장원 - P189

202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당신이 모르는 이야기』가 있다. - P189

리틀 프라이드 - P191

오스틴의 사진 - P191

키 크는 수술 - P191

해외 송장이 붙은 조그만 상자 - P192

올드독코퍼레이션 - P193

오스틴은 신장이 164센티미터인 나보다 키가 작은 극소수의 남자 중 하나 - P194

남성으로 팽싱되기 시작한 시점 - P195

탑 수술 - P195

"쿠엔틴이란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자기가 편견없는 사람이라는 걸 증명하려고 트랜스젠더를 고용할 것 같기도 해." - P196

어쩌다 내 출신학교를 알게 된 것인지 - P197

샤이아 라보프에게서 자기패션의 영감을 얻는 것 같은, 체격 좋고 잘생긴 남자들. - P198

빈티지 패션 - P199

언제나 나를 잡아줄 사람 - P200

‘그 커플‘의 인터뷰 영상 - P201

두 사람의 이야기가 완전히 달랐다. - P202

페미니까 차인거죠. - P203

사지연장술 - P204

헤어지면서 혜령은 내게 지쳤다고 말했다. - P205

성별 정정을 신청 - P206

호모피아 - P206

오스티너스 - P207

눈썰미가 좋은 편 - P208

전우 - P208

여름휴가 계획 - P209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스트립쇼 - P209

병실을 나서는 동안에는 혜령의 이야기를 다시 생각했다. - P210

트랜스젠더여도 - P210

너무나 집요한 생각 - P211

매혹 - P211

「리틀 프라이드」 서장원 작가와의 대담 - P212

오은교  문학평론가, 제48회 이상문학상 예심위원 - P212

다시 쓴 이야기 - P213

파타고니아 신칠라 모델 - P213

불쾌감을 유발하는 - P214

프라이드는 유동적이고, 관계적인 것 - P215

LGBT - P216

‘타인에게 욕망당하고자 하는 욕망‘ - P217

홀수의 존재론 내지는 삼원론적 세계관 - P217

『희망 대식 욕망』 - P218

『망명과 자긍심』 - P218

예소연 『그 개와 혁명』

김기태 『일렉트릭 픽션』

문지혁 『허리케인 나이트』

서장원 『리틀 프라이드』

정기현 『슬픈 마음 있는 사람』

최민우 『구아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P149

「허리케인 나이트」 - P149

문지혁 - P149

2010년 단편소설 「체이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중급 한국어」 「초급 한국어」.
소설집 『고잉 홈』 『우리가 다리를 건널 때』등이 있다. - P149

허리케인 나이트 - P151

바닥에 물이 차오르고 있다는 걸 - P151

허리케인 - P151

머리가 하얘졌다. - P152

Peter Choi.
최용준 - P152

스마트폰도 없던 시절. - P152

이 동네 전체가 패닉이야. - P153

놀라움이나 경외감 - P153

1995년. - P154

국제변호사는 일종의 패스워드이자 암구호였다. - P154

맨해튼의 있는 유대계 대형 로펌 - P155

금호동의 나와 대치동의 최용준 사이 - P156

전망대 - P156

네 소설을 읽어봤어. - P157

계속 소설을 썼지만 그날 이후로는 절대로 학교에 가져가지 않았다. - P158

럭셔리 콘도미니엄 - P158

우리도 우리의 미래를 안다. - P159

그제야 피터가 롤렉스를 한 번도 잃어버리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P160

착각 - P161

둘이서만 여행을 - P161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 - P162

윤동주가 공구했다는 도시샤대학 - P162

꺼내지 않은 물건이 하나는 『금각사』였고 또 하나는 토즈 샌들 - P163

윤동주 시비 앞에 - P164

정지용의 시비 - P164

오늘 밤을 위해. - P165

불 꺼진 펜트하우스에서는 밖이 더 잘 내려다보였다. - P165

우리 정도면 괜찮은 거야. - P166

서로 다른 두 개의 현실이 지닌 불균형속에서 오락가락 괴로워하는 나에게 - P167

스쿨버스 - P167

그 아이 옆자리에 피터가 - P168

아이 울음소리 같은 것 - P168

마스터 베드룸 쪽에서 - P169

고양이 - P170

침수 카펫을 청소하기 위해 - P171

오늘 피터를 생각하게 된 건 뉴스 때문이었다. - P171

60억 원대 사기 혐의로 구속되었다는 소식 - P172

피터의 롤렉스 - P172

피터에게는 언제나 새로운 롤렉스가 함께할 것이므로, - P172

피터는 아직도 내가 쓴 소설이 궁금할까. - P173

「허리케인 나이트」 문지혁 작가와의 대담 - P174

심완선 ㅣ  문학평론가, 제48회 이상문학상 예심위원 - P174

1. 당신의 롤렉스는? - P174

2. 축축한 옷의 계급 - P178

3. 타석에 서는 작가 - P182

개인의 삶이 역사와 연결되며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 - P1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품론 - P90

전승민 ㅣ 문학평론가 - P91

1. 부러진 척추와 좌파 멜랑콜리 - P91

2. 무대 위의 지령과 혁명적 사랑 - P96

2025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P110

우수상 - P111

「일렉트릭 픽션」 - P113

김기태 - P113

2022년부터 소설을 발표했다. 소설집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이 있다. - P113

「일렉트릭 픽션」 - P115

사람은 전기로 산다 - P115

조용해서 좋네 - P116

진짜 삶이라 부를 만한 것은 문 안에 있다고 - P117

에너지 공기업 - P118

실무사님 - P119

그 사무 보조. - P119

첫째, 홈 트레이닝. - P119

둘째, 식물 키우기. - P120

셋째, 핀란드어 공부. - P120

만 35년을 근무한 소장이 정년 퇴임하는 날이었다. - P121

투명 기타 - P122

‘일렉트로닉 기타‘가 아니라 ‘일렉트릭 기타‘ - P122

연습용 앰프와 헤드폰, 거치대와 피크까지 포함된 패키지를 무이자 3개월 할부로 주문했다. - P123

애플리케이션 - P124

앰프로 출력 - P125

무기력한 삶을 살던 인물이 - P126

기타 연주에도 적용 - P127

메모 - P128

중고 거래 애플리케이션에 기타를 매물로 올린 것 - P129

자신이 있는 장소로 와서 직거래를 할 것, - P130

거래 현장에서 기타가 멀쩡한지 직접 연주를 해보겠다는 것 - P130

제니스 음악 학원 - P130

아이디도 제니스 - P131

타인의 피부와 닿은 일 - P132

어쩌다 24만 원을 내고 기타와 앰프와 찐 옥수수를 들고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을까. - P133

연습실에서만 기타를 연주하기는 아쉬웠다. - P133

톨스토이를 떠올린 건 - P134

익명이 되려고 - P135

여백에 이렇게 썼다. - P135

비밀스럽게 웅얼거렸던 몇 개의 문장을 - P136

「일렉트릭 픽션」 김기태 작가와의 대담 - P137

선우은실 ㅣ 문학평론가, 제48회 이상문학상 예심위원 - P137

평범한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한 사람이 일렉 기타를 연주하게 되는 이야기다. - P137

인물인지 서술자인지 구분되지 않는 화자의 내레이션으로 시작 - P139

앞으로의 계획 조급함을 버리려고 노력중 - P146

우수상 수상작

문지혁 허리케인 나이트

서장원 리틀 프라이드

정기현 슬픔 마음 있는 사람

최민우 구아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