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친코 1
이민진 지음, 이미정 옮김 / 문학사상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파친코 ①

이민진 지음 / 이미정 옮김

문학사상

애플티비에서 방영되고 있고 오스카 상에 빛나는 윤여정이 등장하기에 보다 관심어린 눈으로 찾아보게 된 소설 『파친코는 내국인이면서 끝내 이방인일 수밖에 없었던 자이니치(재일동포)들의 처절한 생애를 깊이 있는 필체로 담아낸, 작가 이민진의 혼이 담긴 작품으로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이 강렬한 문장으로 시작되는 소설이다. 요즘은 여러모로 분주해서 리뷰를 기록할 시간이 좀처럼 나지 않는다. 피곤에 지쳐있는 것 같다. 주민자치회 간사 업무에 6월부터는 면허를 걸고 새로운 일자리에 도전(이 나이에 도전이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지만,)하게 되어서 필요한 교육을 이수하느라 동분서주한 까닭이리라~

한국계 1.5세인 미국 작가 이민진이 자이니치, 즉 재일동포의 존재를 처음 접한 것은 대학생이었던 1989년, 일본에서 자이니치들을 만났던 개신교 선교사의 강연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고 상승 욕구가 강한 재미동포들과 달리 많은 자이니치들이 일본의 사회적, 경제적 사다리 아래쪽에서 신음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민진은 그때부터 자이니치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이 소설이 탄생하게 된 것 같다.

번역이 무리가 있다는 설도 있고, 그래서 판매 중단과 품절로 이어진다는 소문도 있고, 매끄럽지 않은 내용 전개가 걸림돌이 되기도 하지만, 4대에 걸친 인물들이 펼치는 큰 그림이 나름 재미도 있고, 감동도 준다.

일본에서 직접 만난 자이니치들의 복잡하고도 광활한 인생에 겸허해진 이민진은 그때까지 써온 원고를 모두 버리고 책을 다시 쓰기 시작했다. 정체성과 인간의 가치에 관한 작가의 치열한 고민은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부산 영도의 기형아 훈이, 그의 딸 선자(1권을 읽을 때는 분명 주인공 이름이 순자였는데, 어느새 아무 설명도 없이 선자로 둔갑해버렸다.), 선자가 일본으로 건너가 낳은 아들 노아와 모자수, 그리고 모자수의 아들인 솔로몬에 이르는, 4대에 걸친 핏줄의 역사를 탄생시켰다. 이민진은 그 치열한 역사를 통해 우리에게 고향과 타향, 개인의 정체성이란 과연 무엇인지 질문한다.

가끔씩 연상이 잘 안될 때는 검색을 통해서 역할을 맡은 배우를 찾아내어 함게 떠올려보기도 하며 책읽기에 도움을 받는다. 물론 윤여정과 이민호를 제외하면 다른 배우들은 낯선 신예들이 많아서 큰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마루한의 창시자인 한창우라는 인물까지 찾아가며 도움을 받고 있다.

2022.5.11.(수) 두뽀사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와 나오키

이케이도 준

인플루엔셜

한자와 나오키가 미스터리로 돌아왔다!

거장의 미술작품에 얽힌 기묘한 수수께끼.
그 뒤에 가려진 조직의 음모를 파헤치는 통쾌한 미스터리 활극

1장
「아를르캥의 방」 - P7

이나리 신 : 벼의 신이자 풍요와 번영의 신 - P9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신사이자 유서 깊은 도사이나리신사[土佐稲荷神社]의 분사(分祠)이기 때문이다. - P10

아사노 다다스 지점장
에지마 히로시 부지점장 - P10

‘면종복배(面從腹背)‘ - P11

이곳은 나처럼 대단한 사람이 올 곳이 아니다……. - P12

체면을 구긴 다카라다는 분노를 참지 못하고, 한자와를 어느산간벽지로 날려버리라고 인사부에 압력을 가했다. - P13

친구인 도마리 시노부 - P14

오사카 영업본부 - P15

미술 전문 출판사 센바공예사 - P16

융자과에서 가장 젊은 센바공예사 담당자 나카니시 에이지 - P17

벽에 걸린 그림 <아를르캥(Arlequin)>이 시선을 사로잡는 방이다. - P18

센바 도모유키 사장
여동생 하루 미학미술사 - P19

근본적인 해결책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친코 사업에서 은퇴하기에는 아직 젊어! - P340

노파는 전형적인 조총련 사람으로, 마쓰다는 일본식 이름이었고, 일본인에게 그 땅을 팔기 싫어했다. - P341

「부당 해고」
 도쿄, 1989년 - P343

난 널 용서하려고 노력할 거야. 내가 네 첫사랑이라는 걸 아니까. - P344

"살고 싶지 않아. 난 죽을 준비가 됐어. 알겠어? 죽고 싶은 적 있어, 솔로몬? 난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죽고 싶었지만 너무 무서워서 그 말을 하지도, 그 소원을 이루려고 시도하지도 못했어. 너라면 날 구해줄 수 있었을지도 몰라. 하지만 솔로몬, 찬란한 너도 그렇게 하지는 못했을 거야. 누구나 가끔씩은 죽고 싶어 하잖아. 그렇지?" - P345

네가 아름다운 조선 아이들 서너 명을 낳아 키우는 아버지가 되는 모습을 상상할 거야. - P346

네가 내가 살고 있는 곳을 찾아서 사다리를 타고 창문으로 올라가 날 데려갈 거라고 생각했지. - P347

우리 고객이 문제에 휘말린 건 아니지만 수상한 냄새가 나. 무슨 말인지 알겠어? - P348

가즈가 한숨을 쉬었다. "내 말 잘 들어, 난 널 해고할 수밖에 없어. 미안해, 솔로몬, 진짜 미안해." - P349

대체 무슨 말을 하는 거죠? 고로 사장님은 아버지와 저를 위해서 그런 일을 했는데…..… - P350

고로가 그 여자의 죽음에 책임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었다. - P351

단지 네 아버지의 방법에 동의하지 않을 뿐이지. - P352

「미친 짓거리」
요코하마, 1989년 - P353

하루키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굳어 있는 듯한 솔로몬의 입가를 응시 - P354

솔로몬은 말을 하려고 했지만 숨이 턱 막혔다. - P355

깨끗한 공모를 해야 한다느니, 경찰 조사 가능성이 있다느니 하면서요. - P356

그 거래는 끝난 거야. 그 멍청한 놈이 널 이용해먹고 싶어 한다면, 좋아, 그놈이 너한테 정당한 보너스를 주는 건 기대도하지 않겠어. 하지만 다시는 그 녀석이 널 이용하지 못하게 할 거야. - P357

이런 상황에서 야쿠자라는 말을 꺼냈다가는 세 사람 모두 깊은 상처를 받을 것이 분명했다. - P358

그 상사는 네 연줄을 이용해먹고 나서 몇몇 구실을 갖다 붙여서 널 해고한 거야. - P359

"넌 아버지 사업을 물려받아야 해, 파친코를." - P360

일본은 절대 변하지 않아. 외국인을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거야. - P361

"가즈 같은 사람이 될 수 있어? 나는 가즈 같은 사람을 수없이 알고 있어. 그들은 네 아버지의 엉덩이를 닦을 자격도 없는 인간들이야." - P362

여전히 나긋나긋한 그 움직임에는 유혹적인 향기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솔로몬은 이 짧은 순간을 영원히 기억하고 싶었다. - P363

「시작과 끝」
 도쿄, 1989년 - P365

그 남자는 위선자였어. - P366

너와 함께 이곳에 오고 나서 내 인생을 잃어버렸어. - P367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솔로몬은 피비와 결혼할 생각이 없었다. - P368

어떤 면에서는 솔로몬도 일본인이었다. 일본인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지라도 말이다. - P369

"내 평생 이렇게 멍청하게 느껴진 적이 없었어. 내가 왜 여기 온거지?" 피비는 숨을 깊이 들이쉬었다. - P370

"아버지 밑에서 일하려고 해." 솔로몬이 말했다. - P371

"난 여기서 살 수 없어, 솔로몬. 네가 나와 결혼하고 싶다고 해도 난 여기서 살 수 없어. 여기서는 숨을 쉴 수가 없어." - P372

"피비와 결혼할 수 없어요. 전 일본에서 살 거라고 피비에게 말했어요. 파친코에서 일할 거라고요." - P373

"널 미국인 학교에 보낸 건 아무도... 아무도 내 아들을 멸시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어." - P374

"전 여기서 살고 싶어요. 하지만 피비는 그렇지 않아요." 솔로몬이 말했다. - P375

신기하게도 이삭이 살아 있었을 때와는 다른 형태로 이삭에게 가까워진 것만 같았다. - P376

이삭이라면 노아에게 무슨 말을 해줘야 하는지 알았을 것 - P377

선자가 꿈속에서 다시 마주한 것은 젊음과 시작, 소망이었다. - P378

우리한테 뭔 일이 일어날지 당신이 말해줄 수 있다 카면 좋겠심더. - P379

11년 동안 노아 선생을 보지 못했지만 노아 선생도 매달 마지막 목요일에 여기에 오곤 했죠. - P380

여기 오는 사람들은 모두 아주 친절해요. - P381

선자는 묘석 아래쪽에 30센티미터 정도 깊이로 구덩이를 파서 열쇠고리 사진을 집어넣었다. - P382

감사의 말 - P383

마스터스 키
Master‘s Tea - P383

식민지시대에 이민 온 조선계 일본 사람들이나 그들의 후손을 일컫는 ‘자이니치Zainichi‘ - P383

조선계라는 이유로 졸업앨범을 훼손당한 중학생 남자아이의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그 아이는 건물 옥상에서 뛰어내려 사망했습니다. 나는 그 이야기를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 P384

걱정스러운 마음에 엄청나게 많은 연구를 했고, 조선계 일본인 공동체에 관한 소설의 초안을 썼습니다. - P385

재일교포들의 슬픈 디아스포라 - P389

미국에서 활동하는 교포작가 이민진의 《파친코》 - P389

삶이라는 이름의 굴레 - P395

역사가 망친‘ 재일교포의 처절한 삶
국내 언론 매체의 극찬을 받은 강렬한 소설 《파친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는 낙태를 하고 나서 홋카이도로 가지 않겠다고 해서 에쓰코의 식당에서 하루하루를 보내며 모든것에 짜증을 내고 지루해했다. - P287

모든 여자는 창녀고 모든 남자는 살인자라고 - P288

솔로몬은 에쓰코의 목소리에 담긴 걱정을 읽을 수 있었다. - P289

하나 근처에 있으면 흥분되었지만 초조하고 두려운 마음이 더 컸다. - P290

고한수는 그녀에게 노아를 주었다. 그녀가 임신하지 않았다면 이삭과 결혼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 P291

"언지예, 절대 아입니더. 노아는 제 아들이라예. 제 아들이라고예." - P292

  「더러운 꽃」
요코하마, 1980년 - P295

하나를 사랑할 뿐만 아니라 행복하게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 P295

솔로몬은 자신이 아직 어리다는 걸 알았지만 방과 후와 쉬는 시간만이 아니라 항상 하나와 함께 있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생각하기 시작했다. - P296

에쓰코와 모자수는 두 사람의 관계를 몰랐고, 하나는 절대 두 사람이 알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P297

넌 그냥 그 짓을 하고 싶어 하는 어린 남자애에 불과해. 난 돈이 필요해. 이걸로는 부족하다고. - P298

솔로몬은 하나와 결혼할 생각이었다. - P299

"나도 내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요코하마는 지긋지긋해. 홋카이도로 돌아가느니 차라리 죽어버리고 말 거야." - P300

하나는 매일 돈을 달라고 했고, 솔로몬은 할머니의 책상에서 생일 선물로 받은 돈을 조금씩 꺼내서 하나도 남지 않을 때까지 하나에게 주었다. - P301

「이기적인 여자」
    뉴욕, 1985년 - P303

롯폰기의 클럽에서 - P304

아니, 넌 그 여자를 만나지 않을 거야, 솔로몬, 나와 이야기를 할 거니까. - P305

하나의 말이 옳았다. 이건 굶주림과 같았다. 하나가 떠났을 때 솔로몬은 육체적 고통과 다름없는 고통을 느꼈다. - P306

"내가 어떻게 하면 좋겠어요, 하나 누나? 어떻게 누나를 도와줄 수 있을까요?" - P307

솔로몬은 하나한테 받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롯폰기에 있는 중국 식당 전화번호였다. - P308

그애에게 가까이 다가갔다 싶으면 그때마다 그 애가 술을 너무 많이 마셔서 해고됐다는 말만 듣게 되는구나. - P309

"넌 하나를 구하려고 했지만 실패했겠지. 그 여자가 네 도움을 바라지 않으니까. 그 여자는 죽고 싶어 해." - P310

하나가 어찌나 늙어보이던지 에쓰코는 보고도 믿을 수가 없었다. - P311

「남한 사람, 북한 사람」
         도쿄, 1989년 - P313

두 사람은 결혼할 생각이었고, 그러자면 먼저 함께 일본으로 가야 했다. - P314

미국에서는 강꼬꾸징(韓國人)이니 조센징(朝鮮人)이라는 게 없었어. - P314

가슴을 치며 통탄하는 독선적인 조선인들에게 왜 모국어가 일본어인지를 설명하려고 애쓰기보다는 맛있는 바비큐를 맛보러 온 일본인 관광객 행세를 하는 게 훨씬 쉬웠다. - P316

아나콘다 게임 - P317

솔로몬의 상사 가즈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교육받은 일본인 - P318

몇몇 일본인들은 조선인들이 쓰레기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쓰레기 같은 조선인들도 있다고 솔로몬은 피비에게 말했다. - P319

자네를 내 거래에 빨리 투입하고 싶은걸. - P320

영리하고 까다로운 조선인들이 파친코 게임장들을 모두 장악해서 일본인들을 바보로 만들었다더라고. - P321

지안카를로는 다른중산층 일본인들이 생각하거나 수군거리는 것과 전혀 다를 바 없는 이야기를 했다. - P322

「특별한 상사」 - P323

성공에는 세금이 붙는 법 - P324

성공 세금은 시기 때문에 생겨나는 거고, 실패 세금은 착취 때문에 생긴 거군요. - P325

모두가 남들과 똑같아지고 싶어 해. - P326

아버지는 폭력배가 아니예요. - P327

"네 아버지가 청부 살인자라 해도 난 신경 안 써. 네 아버지를 고발하지 않을 거야." - P328

남은 지주 세 사람의 서명을 받기만 하면 되는 단계였다. - P329

"멍청한 질문일지도 모르지만 방법을 모르는데 어떻게 서명을 받을 수 있죠?" 솔로몬이 물었다. - P330

「진짜배기 미국인」
   요코하마, 1989년 - P331

피비는 어른들과 조선어로 이야기했고, 솔로몬과는 영어로 말했다. 그리고 솔로몬은 어른들과 주로 일본어로 말했고, 피비에게는 영어를 썼다. - P332

피비는 솔로몬의 가족과 있는 게 좋았다. - P333

"저희 엄마는 요리를 안 하세요." 피비가 약간 당황스러워하며, 말했다. - P334

선자와 경희는 피비의 엄마가 바쁘게 열심히 일했다는 건 이해할 수 있었지만 조선인 엄마가 가족을 위해 요리를 하지 않는다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 P335

솔로몬은 할머니와 큰할머니가 비난의 눈길을 보내기보다는 호기심을 보이는 것 같았지만 피비의 가족을 받아들이지 않을까 봐 걱정스러웠다. - P336

전쟁 걱정이나 먹을 것, 잘 곳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니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 P337

모자수가 한숨을 쉬었다. "에쓰코가 다 말해줄 거야. 에쓰코한테 연락해봐라." - P338

피비는 일본인들을 잘 몰라서 미워해요. - P3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가 조선인이라는 게 그리 끔찍하나?" - P231

한수는 선자가 노아의 사무실을 떠난 직후에 노아가 총으로 자살했다고 말했다. - P233

  「개목걸이」
요코하마, 1979년 - P235

나가토미 에쓰코 - P235

고등학생 나이의 딸 하나 - P236

하나가 제일 싫어하는 게 엄마의 걱정스러운 목소리를 듣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 P237

하지만 에쓰코는 모자수를 포기할 수 없었다. 모자수가 그녀의 인생을 바꿔주었다. - P238

에쓰코는 자신의 행동을 변명할 좋은 핑계가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 P239

그제야 자신이 완전히 포기하지 못한 것이 바로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었음을 깨달았다. - P240

에쓰코는 모자수와 함께 있으면 자신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고 싶었다. - P241

정부에게 주는 시계야. - P242

모자수가 한숨을 쉬었다. "날 거부하는 사람은 당신이야. 파친코 야쿠자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거지." - P243

에쓰코는 일 년에 두 번 아이들을 만나러 홋카이도에 갔지만 모자수는 아직 그 아이들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다. - P244

에쓰코 자신이 그 아이들을 낙오자로 만들었으니까. 그 아이들은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 P245

모자수는 자신보다 더 성질이 있는 사람이었다. - P246

"이럴 줄 알고…..…" 에쓰코가 말을 멈추었다. "솔로몬에게 경고했나 보네요. 오늘 일이 쉽지 않을 거라고 솔로몬에게 말해줬어요?" - P247

우리에게는 조국이 없어. 인생이란 저 아이가 통제할 수 없는 일들로 가득하니까, 그에 적응하는 법을 배워야지. 내 아들은 살아남아야 해. - P248

에쓰코가 앞으로 나섰다. "하지만 당신 아이들은 생일날에 지문을 찍지 않잖아요. 안 그래요?" - P249

하지만 지금은 솔로몬이 받은 모욕을 가져와서 이미 수많은 굴욕으로 넘쳐나는 자신의 서류철에 끼워 넣고 싶었다. - P250

「엄마 냄새」 - P251

솔로몬과 하나는 정식으로 인사를 나누었다. - P252

"그 애는 그 모든 것을 쉽게 얻은 게 아냐." - P253

"넌 엄마가 돼서는 안 돼. 아이를 키운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전혀 모르니까." - P254

아이들도 엄마가 괴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 P255

엄마는 두려워서 떠난 거야. - P256

하나와 다시 함께 있으니까. 하나가 돌봐달라고 찾아왔으니까. - P257

에쓰코는 딸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없었다. - P258

너무나 많은 실수를 저질렀던 그 시절로 되돌아가 잘못된 과거를 바꾸고 싶었다. - P259

「생일 파티」 - P261

솔로몬은 제일 친하게 지내는 영국인 은행가의 아들인 나이젤과 인도 쇼핑 회사 중역의 아들인 어제이와 함께 마지막 차에 올라탔다. - P262

"소원 비는 거 잊지 마!" - P263

에쓰코는 유미와 자신이 얼마나 비슷한지가 아니라 얼마나 다른지를 알고 싶었다. - P264

유미는 솔로몬의 이름을 세종이라고 짓고 싶어 했어. 하지만 남편의 아버지가 손자 이름을 짓는 게 조선 전통이지. 우리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안 계셔서 큰아버지가 솔로몬이라고 이름을 지어줬어. - P265

에쓰코가 고개를 끄덕였다. "제가 솔로몬의 엄마였다면 좋았을 텐데." - P266

솔로몬은 무척 행복해 보었고, 에쓰코는 그런 솔로몬을 보는 게 즐거웠다. - P267

솔로몬은 에쓰코를 엄마로 받아들였고, 그게 잘된 일이어야 했지만 에쓰코는 오히려 더 불안해졌다. - P268

"아줌마 아이들은 아줌마가 떠났기 때문에 아줌마를 미워하는 거예요." - P269

에쓰코는 손바닥을 펴서 입을 막고, 솔로몬의 말을 몸속 깊숙이 새겼다. - P270

「감추어 왔던 진심」
    오사카, 1979년 - P273

양진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죽기 전까지 쉬는 것 뿐이었고, 그나마 살아갈 날도 기껏해야 며칠 남지 않은 것 같았다. - P274

선자는 솔로몬에게 감사 편지를 쓰거나 감사 전화를 하라고, 아니면 그냥 안부 전화를 하라고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다. - P275

노련한 저널리스트 - P276

"여자의 운명은 고생길을 걷는 거죠." - P277

히구치는 눈물 젖은 눈으로 쇼를 끝냈다. - P278

여자는 어린 소녀로, 아내로, 엄마로 고생하다가 죽는다는 소리였다. - P279

"불쌍한 노아에게는 기회가 없었던 기라." 양진이 말했다. - P280

선자는 마음고생을 많이 했어요. - P281

병에 걸려 죽음을 앞두게 되자 양진의 진심이 드러난 것이다. 그동안 감추어왔던 진심이 터져 나온 것이다. - P282

양진은 딸에게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었지만 몸에 힘이 하나도 없어서 눈을 감을 수밖에 없었다. - P283

「엄마의 죽음」 - P2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