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이 어떤게 있나 열심히 보고 있는데 눈에 띄는 책이 생겼다.

<에드 엠벌리의 트럭과 기차 그리기> , <에드 엠벌리의 얼굴 그리기>, <에드 엠벌리의 자동차 그리기>

그리고 작가 검색을 해보니 워낙 유명한 영어동화책의 작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Go Away, Big Green Monster! >랑 <Glad Monster Sad Monster>  책을.

이 책을 보니 우리 집에 있는 <김충원의 미술교실>  중 동물을 그리자, 사람을 그리자, 물건을 그리자, 탈것을 그리자 같은 시리즈가 생각나긴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더욱 궁금해졌다.

<김충원의 미술교실> 책도 우리 아이가 열심히 따라그리면서 간단하게 그릴 수 있는 방법과 각 사물, 동물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기에...

 그런데 검색을 계속 해보니 영문판도 있다. 영어로 책을 읽어도 좋을 것 같은데... 그림이 많이 있으니 별 상관이 없고 영어 공부까지 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될 것 같다.

그리고 <조각 종이로 꾸미는 세상> - 동그라미 편 이랑 세모,네모 편 /  <알록달록 손도장으로 상상력 키우기> 책도 아이들 미술놀이 책으로 좋을 것 같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럼 누가 220km로 만든거야?"

그러게 말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그런 속도로 달리면 큰 일 날텐데...

 

이것도 토요일 사건입니다.

요즘 자동차를 타고 가면 차 안에 있는 물건에 관심이 무척 많은 아이 때문에 울 신랑은 대답을 해주기에 바쁘답니다.

전 그 흔한 장롱면허도 아닌 무면허에다 자동차 하면 차 키 열고 시동 켜는 정도라... 아이에게 자동차에 대한 것은 거의 이야기를 해 줄수 없지요.

게다가 요즘에는 아이랑 울 신랑 겨울방학 내내 카트라이더 자동차 경주에 심취해 있어 자동차 속력에 관심이 무척 많습니다.

그리고 <카> 영화 속에 나오는 자동차 경주를 보고 싶다고 말하는 아이는 고속도로랑 자유로를 달릴 때면 마치 자동차 경주하는 것 처럼 중계까지 하지요.

 

어제도 앞에서 운전하는 아빠의 모습을 보고 또 속력을 살피며 묻습니다.

"아빠, 지금 얼마큼 달리는 거야?"

그리고 네비게이션에서 가끔 알려주는 말. <이 도로는 시속 90km 구간입니다.> 하고 낭랑한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에 더 관심을 가지고 봅니다.

"아빠, 그럼 더 빨리 달리면 어떻게 해?"

길이 막혀 자동차가 제 속도를 못 내고 천천히 달릴 때면 눈금이 줄어드는 모습에 더욱 재미있게 관찰을 하고, 완전히 차가 멈춰 서 있으면 눈금이 '0'에 와 있는 것을 보며 또 묻지요.

"어떻게 숫자가 0에 와있어?'

그 정도야 저도 아니까 대답을 해 줍니다.

"자동차가 달리지 않고 있을 때는 속도가 나지 않으니까 '0'에 있는거야."

알았다고 하는 표정. 하지만 무척 궁금한 게 많은 아이는 또 묻습니다.

"아빠, 그럼 220km로 달리면 어떻게 해? 얼마나 빨라?"

물론 저도 알고 싶습니다. 꼭 차 타고 갈 때면 그만큼의 속력이 궁금해진 아이는 역시 지나치지 않고 질문을 하지요. 하지만 우리나라 어디에서 이만한 속력을 내고 달리겠습니까?

용인 자동차 경주장에 한 번 데려가야겠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멀고 좀처럼 시간이 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요즘은 춥고 자동차 경주가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독일 아우토반에서는 시속 220km뿐 아니라 300km로 달리는 사람도 있다고 하였더니 나중에 자기는 꼭 독일에 가서 자동차를 타고 달릴거라고 하더군요.

제가 그만한 속도를 느끼고 싶으면 나중에 같이 고속철도를 타보자고 했습니다. 아마 조만간 고속철도를 타야할 것 같은데, 그냥 왔다갔다 할 수는 없고 여름 휴가를 고속철도 타고 하야하나 심각하게 고려중입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 계속 자동차 속도계를 보면서 미련이 남는 듯 마지막까지 이렇게 외칩니다.

"그럼, 누가 220km로 만든거야?"

그러게 말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달릴 수 없는 속도를 왜 자동차에 만들어 우리 아이의 호기심만 가중시키니까요.

그런데 울 아이 말을 듣고 저도 한번 정도는 그 속도를 느껴보고 싶습니다. 과연 얼마큼 빨리 달리면 시속220km로 달리게 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아이랑 오랜만에 나들이를 했습니다.

서울에 간다고 하니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묻습니다.

그래서 한 시간 가량 걸리는데 처음 단골 소아과에 가서 취학통지서에 첨부되어 온 <홍역예방접종 확인서> 떼고 그 다음 간다고 했지요.

르네 마그리트 전시회 보려고 서울시립 미술관으로 네비게이션 설정해놓고 소아과 먼저 간 다음 간단히 먹을 거 사서 다시 차에 올랐습니다.

울 아이 심심하다고 늘 차에 타고 갈 때면 하는 퀴즈랑 수수께끼 놀이, 끝말잇기, 가위바위 보 등을 하자고 합니다.

여러 게임을 하다 이제 스무고개로 넘어갔습니다. 예전에 어릴 적에 울 언니랑 참 많이 했는데 요즘 아이들도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작년부터 했기에 게임 방법을 능숙하게 아는 아이 덕에 신나게 놀고 있지요. 울 아이 잘 모르겠다고 하면 역시 힌트르 주는 울 신랑 덕분에 울 아이 6:4로 이기고 있었습니다.

다시 제가 문제를 낼 차례. 정답은 "꿀벌" 이었습니다. 그냥 '벌'로 할까 하다 그냥 "꿀벌"로 정했지요.

동물 중에서 곤충이라고 했고 또 좀 어려운 것 같아 제가 힌트를 주었습니다.

"얘는 꽃을 좋아해."

너무 힌트를 많이 주었지요. 

처음에는 나비라고 했다가 제가 비슷하다고 했더니, 역시 '정답' 하고 외치면서 "벌"이라고 합니다.

"아니야, 그냥 '벌' 말고 두 글자라고 했잖아." 

그러자 우리 아이 씩씩하게 외칩니다.

"땡벌"

갑자기 차 안이 웃음바다가 되었습니다. 거의 서울시립미술관 다 와서 요 골목 조 골목 들어간다고 조용히 하로고 하던 울 신랑도 웃음을 참지 못하고 웃어버렸지요.

땡벌이 벌이 맞는지요?

요즘 유행하는 노래 우리 아이도 몇 번 들으며 흥얼거렸는지 생각난나봅니다.

그래서 집에 와 궁금해 네이버 검색을 했습니다.

그 결과  땡벌은 "땅벌" 이라고 하네요. 땅벌의 사투리에 '땡벌, 땡비, 땡삐, 땅삐' 등이 있다고 하지요. 결론은 땡벌 역시 벌이 맞는 거지요.

땅벌은 '땅 속에 집을 짓고 사는 벌'이고, 토봉(土蜂)이라고도 하며, 커다란 벌(말벌)의 일종입랍니다.

그래도 정답은 땡벌이 아니고 꿀벌이었는데...

웃는 사이 미술관에 다 오고 이제 아이랑 스무고개는 끝이 났지만, "땡벌"하고 외치는 우리 아이의 모습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크리스마스가 지난 지 벌써 한 달 가까이 되었는데, 아직도 문득 생각나면 하는 질문.

"엄마, 도대체 산타 할아버지는 언제 오시는 거야?"

그저께 금요일 저녁 아이랑 책 읽어주는 시간에 우리 아이 또 그렇게 묻는다.

좀 되어 이젠 잊어버렸겠거니 했는데 어째 아직도 산타 선물 타령인지...

꼭 챙기는 아이. 정말 존경스럽다.

생일도 지나 생일선물 받고 올해 학교 들어간다고 양쪽 할아버지, 할머니께 가방 사라고 용돈받는 것 아이 통장에 고스란히 넣어주었는데... 정말 무척 집요한 아이.

그래서 난 물었다.

"글쎄, 왜 안 오실까?"

"엄마, 산타 할아버지 정말 있는 거 맞아?"

"작년에 유치원에 오셨잖아."

울 아이 하는 말은 이렇다.

"그 산타 할아버지 말고, 진짜 산타 할아버지, 내가 받고 싶는 선물 주시는 산타 할아버지말이야."

그러더니 살짝 덧붙여 말을 한다.

"혹시, 엄마랑 아빠가 산타 할아버지 아니야?"

그래서 일단 아니라고 했는데, 왜 그리 웃음이 나오려는지 참느라 혼이 났다.

도대체 무슨 선물을 받고 싶다는 건지, 작년 크리스마스 때 고슴도치나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 사달라고 해 그냥 지나갔는데 아직도 선물을 받고 싶어 묻는 우리 아이.

"그럼, 무슨 선물을 받고 싶은 건데?"

"그것 봐, 내가 어떤 선물  받고 싶다고 하면 그거 사서 주려고 하는거지? 다 알아. 정말 수상한데..."

"엄마, 아빠가 산타 맞는 거 같은데."

재작년에도 약간 의심하긴 했었는데 이제 제법 커서 유치원에서 아이들끼리 이야기하며 산타의 비밀을 알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선물 하나 더 받고 싶어 계속 집요하게 묻는 것인지...

그래서 저도 다시 아이에게 이야기했습니다.

"그럼 아빠에게 물어봐!"

울 아이 당장 아빠에게 쪼르르 달려갑니다.

"아빠, 왜 근데 산타 할아버지 안 와?"

울 신랑 하는 말 조그맣게 들립니다.

"좀 기다리면 오시겠지."

크리스마스 다 지났는데요? 울 신랑도 적당히 둘러댈 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다시 방으로 들어왔지요. 마지막으로 제가 다시 물었습니다.

"무슨 선물이 받고 싶어? 산타 할아버지 안 오시면 네가 받고 싶은 선물 어린이 날 사줄게."

"그럼 어린이 날 두 개 사주는 거지?"

끝끝내 갖고 싶은 선물이 뭐라고 이야기는 하지 않고 선물 두 개를 챙기는 아이.  그냥 산타 할아버지 없다고 올 크리스마스엔 이야기하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디어 기초 과정 끝나고 심화 과정으로 들어갔다.

아침에 외출을 하고 집으로 돌아왔기에 필요한 준비물 챙기고 가느라 20분 지각을 했다.

숨을 고르고 드디어 나만의 다이어리 만들기 시작.

오늘 한 것은 <떡제본>이라고 한다.  포스트 잇 같은 메모장에 한 장씩 떼어서 쓸 수 있게 해 놓은 제본 형태.

메모장 다이어리 만들었는데 생각보다 예뻐 기분이 좋아졌다.

빨리 사진 첨부해야 하는데...

미스 때 입던 청바지 계속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 다이어트 해도 그 바지 입기는 힘들것 같아 그 천을 오려 사용한 다이어리.

우리 아이도 가지고 싶은 눈치인데 나중에 예쁘게 만들어주련다.

내일 월요일, 북아트 수업 여덟째 날이고 실제본을 한다고 하는데... 요즘 거의 하지 않는 바느질이 약간 두렵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