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金洙映; 1921 - 1968) 시인은 포로 수용소 체험을 다룬 시를 발표하지 않았다. 무엇 때문일까?

당연히 부끄러움 또는 수치심 때문이다. 초기의 김수영 시인은 설움이라는 말을 많이 했지만 그에 못지 않게 부끄러움이나 수치 등의 말도 많이 했다.
김수영 시인과 대비되는 사례가 이탈리아의 화학자, 소설가 프리모 레비(1919 - 1987)이다.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인 레비는 수용소 체험을 글로 많이 남겼다.

여기서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나라면 어땠을까? 나는 아마도 레비에 가까웠을 것이다.

다만 수용소의 참담한 현실을 견뎌내지 못했을 것이다. 로베르토 베니니 감독의 ‘인생은 아름다워(La vita è bella)’란 영화가 있다.

“유태계 이탈리아인인 귀도 오라피체가 풍부한 상상력으로 나치의 유태인 수용소에서 아들과 아내를 구하는 이야기”인 ‘인생은 아름다워’는 마음 먹기에 따라 삶은 유쾌할 수 있다는 말을 하는 듯하다.

김수영 시인은 자조(自嘲)의 웃음 즉 부끄러움의 웃음을 짓곤 했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을 극복하겠다는 의지(意志)를 드러내는 웃음이었다.
김수영 시인의 경우처럼 나에게도 부끄러움은 극복의 의지를 다지게 하는 동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근 내가 문화 관련 기사에서 접한 용어 가운데 가압장(加壓場)이란 말이 있다.

나는 이 말이 인지도 등에서 어느 정도 시의적절한지 잘 모르겠다. ‘영혼의 가압장 윤동주 문학관‘이라는 구체적 사용 예로 거론할 수 있는 가압장은 수압을 높여 높은 곳에 수도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말한다.

‘영혼의 가압장 윤동주 문학관‘이란 윤동주 문학관이 영혼을 고양(高揚)시키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왜 가압장이란 용어를 썼을까? 그것은 윤동주 문학관이 수도 가압시설이 있던 곳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윤동주 문학관은 산기슭의 아파트로 인해 설치되었다가 아파트가 헐림에 따라 의미 없이 홀로 남겨진 가압장을 개조해 만든 문학관이다.

종로구의 의뢰를 받아 윤동주 문학관을 설계한 분은 아뜰리에 리옹 서울 대표인 건축가 이소진이란 분이다.

궁금한 것은 윤동주 문학관에 영혼의 가압장이라는 은유를 부여한 사람이 누구인가, 하는 것이다.

나라면 ‘시의 지성소(至聖所) 윤동주 문학관‘이라 이름했을 것이다. 관련 시설을 활용해 이름을 짓는 것이 순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는 한 맛이라는 말은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지는 초의 선사의 말이다. 이 말을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의 저자 호이징하의 시를 짓는 것은 사실상 놀이 기능이라는 말과 연결지으면 어떻게 될까?

 

호이징하의 저 말은 시와 사물은 논리와 인과라는 유대와는 다른 유대로 상호 연관된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그렇다면 시와 놀이의 관계를 차와 놀이의 관계로 확장시킬 수 있겠다. 하지만 잘못이 아닌가 싶다.

 

초의선사는 선과 시와 차는 진지하다는 점에서 하나라 말한 것인 데 비해 호이징하는 시는 진지함 너머에 즉 어린이, 동물, 미개인, 예언자가 속하는 보다 원시적이고 원초적인 수준, , 매혹, 엑스터시, 웃음의 영역에 존재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호모 루덴스놀이와 시참고)

 

호이징하는 원초적 문화 창조 능력에서 볼 때 시는 놀이 속에서, 놀이로서 탄생한다고 말한다. 그럼 차()는 어떤가? 차는 9년 면벽(面壁) 수행으로 유명한 (선불교의 초대 교조) 달마(達摩) 대사가 좌선 수행의 최대 장애인 혼침(昏沈: 졸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마시기 시작한 것이다.

 

달마가 수행 중 쏟아지는 잠을 해결하기 위해 눈썹을 잘라 던진 것이 차나무가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박동춘 지음 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 108 페이지)

 

요즘 일 때문에 서울에 자주 가는 내게 눈에 많이 띄는 것은 궁궐, 박물관, 도서관, 기념관, 서점 등이 아닌 커피숍이다. 포화 상태가 아닌가 싶은 곳이 커피숍이다. ()은 자연을 만들었고 인간은 도시를 만들었다는 지리학자 조엘 코트킨의 말(‘도시, 역사를 바꾸다참고)과 포화 상태에 이른 커피숍의 현실을 연결해 신은 자연을 만들었고 커피숍은 도시를 만들었다는 말을 하고 싶다.

 

원불교 여의도 교당에 'coffee 9 sel'(커피 나인 쉘)이 있었다. 아홉 번 구운 죽염(sel은 프랑스어로 소금을 뜻함)을 넣은 커피를 파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원래 커피는 독성 중화를 위해 소금을 넣어 마시던 음료이다.

 

오늘 원불교 여의도 교당에 확인해 보니 영업을 접었다고 한다.(왜 접었느냐고 묻지 않았다.) 내게 나인 쉘이 있으니 다른 커피 숍에 가서 타 마시면 된다. 아메리카노보다 라떼를 더 맛있어 하는 사람들은 결코 가지 않을 곳이 커피 나인 쉘일 것이다.

 

나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이지만 나는 필요에 의해 나인 쉘 커피를 마시()는 것이다. 커피 나인 쉘은 내게 (다른 영업점이 개점하거나 여의도 교당점이 재개업하지 않는 한) 기호(記號)로 남을 곳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12-23 01: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23 07: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김문기(金文基 1399년 ~ 1456년) 선생도 포함시켜 사칠신(死七臣) 묘역으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지 오래인 사육신(死六臣) 묘역(동작구 노량진 1동)에 다녀왔다.(어제)

실제로 이름만 사육신 묘역이지 이 묘역에 모셔진 분들은 일곱 분이다. 사찰의 불이문(不二門)과 다른 의미(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 불사이군: 不事二君)의 불이문이 눈길을 끄는, 잘 단장된 공원 묘지이다.

(이 곳의 불이문은 사찰의 불이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려주신 J 선생님께 감사!)

김문기 선생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측의 주장은 이 분이 수양(首陽)이 1455년 단종을 몰아내자 단종 복위를 꾀한 최고회의를 주재했고 거사의 성패를 가름할 군대 동원 역(役)까지 맡았기 때문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충분한 논리이다.)

형벌 체험을 해보았다. 엄숙한 곳과는 어울리지 않지만 기념으로 했다. 사진도 한 컷 찍었다.

사진을 찍(어 페북에 올리)기 위해 형벌 체험을 해보았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단톡방에 올린 후 잘 어울리냐 묻자 ˝오래 버티지 못할 듯˝이란 답도 나왔고 ˝지조... 절개... 목숨과 바꿔야 하니 저도 자신 없네요.˝란 답도 나왔다.

죽음으로 세조에 저항했던 분들의 의로움을 음미한 시간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독철왈신(獨啜曰神)은 홀로 차를 마시면 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차는 혼자 마셔야 맛을 제대로 음미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게 무난하다.

혼(자 먹는) 밥은 어떤가, 란 궁금증이 생기지만 어울림이 아니라 음미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니 당연히 혼밥이라야 음식을 음미하는 데 적격이라 생각한다.

고옥주 시인의 ‘녹차 한 잔‘이란 시를 음미해보자.

˝그대에게 녹차 한 잔 따를 때 내 마음이 어떻게 그대 잔으로 기울어 갔는지 모르리 맑은 마음 솟구쳐 끓어오를 때 오히려 물러나 그대 잔을 덥히듯 더운 가슴 식히리 들끓지 않는 뜨거움으로 그리움 같은 마른 풀잎 가라앉혀 그 가슴의 향내를 남김 없이 우려내야 하리 그대와 나 사이 언덕에 달이 뜨고 풀빛 어둠 촘촘해오니 그대여 녹차 한 잔 속에 잠긴 바다의 출렁임과 잔잔한 온기를 빈 마음으로 받아 드시게˝

단아하고 맑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시이다. 이 정도면 둘이 만나서도 차의 맛을 음미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독철왈신을 이야기한 분은 이객왈승(二客曰勝)이란 말도 했다. 둘이 마셔도 차 맛을 음미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는 의미이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초기 경전 ‘수타니파타‘의 가르침이 있다. 무리짓지 말고 혼자 다녀야 더 많은 사람들에게 포교(布敎)할 수 있다는 의미가 담긴 말이다. 엄숙하고 결연한 생각을 갖게 하는 말이다. 의지를 다지게 하는..

어떤 분야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홀로‘에도 명과 암이 있다. 상투적이지만 ‘아주 밝지도 아주 어둡지도 않게!‘가 내 슬로건이다.(이 말은 독야청청과 얼마나 다른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