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 과학 인체편 - 열공시리즈 01
그림나무 지음, 윤형진 감수 / 깊은책속옹달샘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사람의 몸을 만들다는 표현이 좀 맞지 않지만.. 이 책에서는 주인공인 강철과 비아가

지킬선생님의 실험을 처음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사람의 몸을 만들어야하는 큰 과제를 해결한다.

골격계부터 하나하나 붙여나가는데 그러면서 우리 인체에 대해서 공부해 나갈 수 있는 책이다.

만화로 되어 있어서 덜 딱딱하고 그림도 자세히 묘사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내용도 초등학교 수준이 아니라 더 깊어서 읽어두면 아이들이 인체박사가 될지도..

두고두고 읽으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왕세종 1 - 세종대왕과 그의 과학자들 대왕세종 1
유경원 글, 김재연 그림 / 동아엠앤비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Kbs 에서 방영하고 있는 대왕세종

그 드라마의 만화판이다.

표지에 나온 "단 한명의 백성도 그에게는 땅이고 하늘이고 우주였다." 는 말이 강하게 와 닿는다.

이 책은 세종이 왕이 되어 나라를 다스린지 오래 되지 않은 부분까지만 나와 있어서 전부를 알 수는 없지만 이천, 노중례, 정초, 장영실 과의 이야기를 읽어보면서 백성이 가장 우선순위인 임금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어릴 때 읽었던 위인전의 세종대왕과는 또 다른 느낌, 색달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운 우주.별.행성의 모든 것 - 재미있고 놀라운 우주의 비밀
마이클 드리스콜 지음, 메레디스 해밀턴 옮김 / 거인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때에 태양의 가족 이라는 단원이 있어서 그 단원과 연관이 되는 책이다.

초등학교 때에는 각 행성들의 특징보다는 행성의 크기비교, 태양에서부터 행성까지의 거리 비교 하는것이 더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 책은 각 행성들의 특징, 태양의 가족에 속하는 위성, 소행성, 유성, 혜성 등의 소개도 잊지 않았다.

또한 고대에 천문학을 연구했던 천문학자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지 않았고 황도 12궁도 소개해놓았다.

사진이 많아서 좋고 신비로운 우주에 대해서 호기심이 발동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따뜻함과 썰렁함의 숨은 이야기 선생님도 놀란 초등과학 뒤집기 10
홍옥수 지음, 김분묘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성우주니어(동아사이언스)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초등학교 아이들이 열에 대해 갖고 있는 가장 큰 오개념이라고 하면 열과 온도에 대해 정확하게 구분짓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지금 이순간에도 계속 어딘가로 이동하고 있을 열에너지들.

어려울 수도 있지만 쉽게 풀어씌여 있다.

기본적인 열과 온도의 개념부터 이야기해주고 열 때문에 변화가 생기는 것.

또 열은 어떻게 이동하는지.. 열과 관련된 과학자들까지 ..

항상 느끼는 거지만 내가 초등학교 때 이런 책이 있었다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대소동 - 과학천재 슈타인의 '과학없는마을' 탈출 대작전
황근기 지음, 심보영 그림 / 다산어린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과학을 매우 좋아하는 슈타인, 슈타인의 반 회장인 캐무러와 과학을 무지무지 싫어하는 무지막스는 긴급회의를 소집~!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추방하자는 탄원서를 청와대 신문고 게시판에 올린다.

며칠 후,

대통령은 과학수업을 없애주기로 한다.

단, 탄원서를 올린 어린이들은 "과학없는마을" 에 가서 일주일간 과학없이 사는 생활을 체험해야만 한다.

그리고도 과학수업을 없애기 원한다면 2차 탄원서에 서명을 하여 올리면 과학 수업을 없애주겠다고 대통령은 약속을 한다.

일주일간의 체험 후, 아이들 모두는 느꼈을 것이다

"과학없는 세상은 너무 괴로워"

일주일간의 체험이 동화처럼 펼쳐진다. 재미있으면서도 우리 생활에 과학이 얼마나 밀접한지 알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