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집 ‘K의 고개’(2018년 발간)에 수록된 작품 7편마다 삽화를 넣었다. 서현종 화백의 귀한 그림들 중에서 작품 내용에 맞게 7점을 받아 삽화로 활용한 것이다.

 

매 작품 작가로서 친 자식 같은 정을 갖고 있는데 그 중 ‘이발 유정’에 대한 정은 남다르다.

사양길에 들어선 재래식 이발관 모습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느라 작가로서 심혈을 기울였으며 삽화 그림 선정에도 공을 들였다. 그 결과 ‘어느 뒷골목 동네 풍경’을 담은 삽화가 선정된 것이다.

정확히는 서현종 화백이 이메일로 보내 준 ‘어느 뒷골목 동네 풍경’ image이다. 내가 컴퓨터에 능하지 못해 아내가 나서서 그 image를 출판사에 다시 메일로 보내는 고생을 감수했다.

 

참 놀라운 세상이다. 저 70년대만 해도 책에 그림을 실으려면 반드시 원본 그림을 출판사에 보내야 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원본 소지와는 상관없이 image를 메일로 보내면 되는 세상!

 

얼마 전 최돈선 선배님의 미소 짓는 그림을 내 블로그에 실은 적이 있다. 그 때도 서 화백의 image를 활용한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서 화백이 원본을 최 선배님께 전하는 과정에서… 전달을 맡은 이의 실수로 그 원본이 행방불명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원본 없이 image가 살아남은 채 서 화백 블로그에서 내 블로그로 옮겨진 것이다. 원본은 없는데 image는 존재하는 기막힌 세상.

 

그렇기에 이번에 서현종 화백한테서 ‘이발 유정’ 그림 원본을 선사받은 것은, 여러 모로 뜻 깊고 감사하다.

 

작품 ‘이발 유정’에서 노인네(이발사)가 근근이 꾸려나가는 이발관 모습이 나온다. 그 이발관을 무시하듯 동네 사람들이 제멋대로 이발관 입구에 주차하는 짓을 감행한다.

바로 그러한 행태가 벌어질법한, 좁은 골목에 제멋대로 주차한 원본 그림이다.

 

 

아내가 원본 그림을 보자마자 감탄했다.

“그림 참 곱네!”

흑백 삽화로 책에 실렸는데 이제 유채색 원본을 보니 감탄을 금하지 못하는 것이다. 단순한 유채색이 아니다. 무채색처럼 착각을 일으키는 잔잔한 색칠이다.

볼수록 잔잔한 감흥이 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알벨루치 2019-10-15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그림이군요 감회가 남다르시겠습니다^^

무심이병욱 2019-10-16 11: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습니다. 원본 그림이 유채색으로 그려졌음에도 무채색 그림 같지요. 화려하지 않은 잔잔한 감흥이 있습니다

무심이병욱 2019-10-16 11: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실제 원본 그림 크기가 2호에 불과해서 처음에는 놀랐습니다 ㅎ ㅎ ㅎ
 

 

내가 5살 무렵(1955년경) 우리 집은 지금의 춘천교대부설국교 바로 앞 동네에 있었다. 집 마당에서 놀다가 남쪽을 바라보면 아주 멀리서 전동차가 지나가곤 했다. 달랑 한 양()이라서 기차라기보다 장난감차 한 대가 가는 것 같았다. 1955년경만 해도 춘천 서울 간을 오가는 경춘선 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극소수였다는 뜻이다. 그 전동차마저, 하루에 두 번 정도 아침저녁으로 느릿느릿 오갔을 뿐이다. 믿기지 않겠지만 시속 30km?

이 기억에서 또 한 가지를 깨달아야 한다. 지금의 교대부설국교 바로 앞 동네에서 전동차가 지나가는 남춘천까지, 시야를 가로막는 사물이라고는 전혀 없었다는 사실이다. 집 한 채 없이 너른 벌판()과 하천(공지천 상류?)뿐이었다.

당시 교대부설국교는 죽림동 성당 아래에 있었고 2년 뒤 부모님이 그 먼 학교로 나를 입학시키는 바람에 어린 나이에 10리는 될 거리를 가방 메고 걸어 다니느라 참 힘들었다.

 

21살 무렵(1971년경)에 나는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학생이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강원대학교 부근에는 외지에서 온, 자취나 하숙생들이 많았다. 나는 툭하면 친구 하숙방에 놀러가곤 했다.

하숙방에서 얘기 나누다 보면 밤이 되었고 그러면 밤바람 쐬러 그 동네 산봉우리에 올랐다. 말이 산봉우리이지 작은 야산의 꼭대기에 불과했다. 지금의 병무청 뒷산 꼭대기다. 해발 150m(춘천의 진산 봉의산이 해발 300m쯤 된다.) 될 그곳에 서 있노라면 갑자기 서치라이트처럼 강한 불빛 한 줄기가 우리를 엄습했다가 사라져버리곤 했다. 서울에서 내려오는 경춘선 기차의 전조등 불빛이었다. 그 불빛이 남춘천 부근에서부터 병무청 뒤 야산 위까지 오는 동안 중간에 가로막는 건물은 하나도 없었던 것이다. 어릴 때와 달리 너른 벌판에 집들이 들어섰지만 나지막한 단층집들뿐이었으니.

물론 기차는 이미 전동차가 아닌 긴 열차로 바뀌어 있었다.

그로부터 반세기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경춘선이 복선 전철화 된 지도 10년이다.

며칠 전 강대병원에 갔다가 귀가하던 길에 퍼뜩 내가 지금, 오래 전의 그 야산 꼭대기 부근을 차 몰고 지나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차를 도로 변 공터에 세웠다. 느닷없는 감회에 차 운전 하기가 어려웠다.

보도에 서서 주위를 찬찬히 둘러보았다.

온통 원룸 건물들 빽빽한 주택가로 변해서 과연 내가 그 옛날의 야산 꼭대기쯤에 와있는 건지 판단이 서지 않았다. 밤바람에 흩날리던 야산의 잡초들 대신 시멘트와 아스팔트뿐. 4차선 차도에, 생맥주 집에, 카페에, 세탁소에, 노래방에.

이젠 고층건물들에 가려 남춘천 쪽은 보이지도 않았다.

세월 무상, 인생무상이었다.


사진= 80년대 남춘천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 선배님을 처음 만나기는 1970년 늦봄 어느 날, 춘천교대 풀밭에서였다.

당시 교대 학보사 편집장인 친구가 내게 최 선배님을 소개해 준 것이다.

이번에 월간문학 시 부분 신인상을 탄 선배님이셔. 인사 드려.”

재학 중 시인으로 등단했다는 사실에 나는 경의의 마음으로 인사를 드렸다. 그러자 최 선배님은 고개를 끄덕끄덕 하며 풀밭에서 무언가를 찾고 있었다.

뭘 찾으세요?”

네 잎 클로버지. 행운의.”

하면서 미소 지었다.

 

요 몇 년 간, 나는 아내와 농사 일이 끝나면 저녁 식사를 하러 샘밭의 어느 식당에 들르곤 했다. 매운순두부를 맛있게 끓여내는 식당이었다. 너른 식당 곳곳에 최 선배님의 시와 얼굴을 그린 그림이 게시돼 있어 식당 분위기가 남다르게 여겨지는데 그 때도 얼굴 그림은 미소 짓고 있었다.

 

오늘 김유정 문학촌 행사장에서 최 선배님을 만났다. 우리나라 대표시인의 반열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얼마 전부터는 춘천시 문화재단의 이사장으로서 공사다망한 선배님이다. 하지만 그 미소는 여전했다. 무려 반세기나!

 

      

* 최돈선 시인 : 시집 칠 년의 기다림과 일곱 날의 생’ ‘사람이 애인이다’‘나는 사랑이란 말을 하지 않았다등 다수

 

 

그림=서현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 아파트 단지가 입주 한 달여를 앞두고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일제히 불 밝힌 무수한 전등들.

순간 밤하늘의 별들이 어디론가 다 숨어버렸다.

 

사진출처  = 유준파파 제공

 (https://cafe.naver.com/ehappycit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가 나부낀다. 하긴 갈대는 늘 나부낀다. 워낙 가냘픈 풀이라서 미세한 바람에도 나부낄 수밖에 없다.

그런 갈대밭 속에 아이가 쭈그리고 앉아 있다. 결코 편히 앉아 있는 자세가 못 된다. 더욱이, 갈대가 만들어놓은 어두운 그늘 속이다.

 

나는 이 그림을 보는 순간 가슴 먹먹해졌다. 먹다 체한 것같이 가슴이 답답해졌다는 말이다. 결코 보는 이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그림이 아니었다. 충격 속에 빠트리는 그림이다.

 

사실 어둠 속에 쭈그리고 앉아 있는 아이의 모습은 낯선 게 아니다. 바깥세상으로 나오기 전 엄마 뱃속에 있는 태아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임신과 출산을 다루는 책이라면 반드시 사용되는 보조그림인 것이다. 과학이 발달되어 심지어는 사진으로까지 그런 태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김춘배 화가의 이 그림은 엄마 뱃속에 안온하게 있어야 할 아이(태아)우여곡절 끝에 안온치 못하게 있는 슬픈 모습이다. 그 까닭을 하염없이 나부끼는 갈대가 대변해 주고 있다.

바람 한 점에도 저는 아프거든요.’ 


슬픔도 감동일 수 있음을 새삼스레 깨달았다.

이 그림을 그린 김춘배 화백에게 페북으로 물어봤다.

이 그림의 제목이 뭡니까?”

그러자 뜻밖에 이런 대답이 왔다.

“His name is Today입니다.”

갈대밭 그늘 속에 쭈그리고 앉아 있는 아이의 슬픔은 현재형이라는 뜻일까? 나는 또 다시 충격에 빠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