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는 틀렸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GDP는 틀렸다 - '국민총행복'을 높이는 새로운 지수를 찾아서
조지프 스티글리츠 외 지음, 박형준 옮김 / 동녘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새로운 행복 지수를 찾기 위한 여정

이 책은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GDP는 상승하는데, 사람들의 생활은 왜 더 어려워지는 걸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을 포함한 연구 모임을 만든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GDP'를 선진국과 후진국을 나누는 기준으로 우리의 '행복'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절대적인 계량 지수로 여겨 왔다. 하지만 정말로 GDP가 우리의 삶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는지는 많은 의문이 생긴다. 사르코지의 말처럼 GDP 수치는 올라갔다고 하는데, 우리의 생활 자체는 더욱 살기 어려워지고 팍팍해지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이런 상황에서 사르코지는 '우리가 경제 성과의 측정 방식을 바꾸지 않는 한 우리의 행동은 바뀌지 않는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새로운 경제 지수를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났다. 그것은 '국민총행복'을 높이는 새로운 지수를 찾으려는 운동으로 조지프 스티글리츠, 아마르티아 센, 장 폴 피투시 등 많은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토론을 거쳐 새로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 이 책인 것이다. 

프랑스는 이 연구 보고서의 결론을 국제 모임에서 주요 의제로 제기했고 국제기구들은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그들의 통계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2009년 9월 14일에 사르코지 대통령이 주제한 토론회에서 공개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리고 2009년 10월 27~30일에 한국의 부산에서 개최된 <제3차 OECD 세계포럼>에서 개선된 사회발전 측정 지표가 단순히 사회적 진보를 도식화시키는 것을 넘어 새로운 비전을 세우고 삶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기도 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는 단 한 문장이 적혀 있다. '평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회피하는 방법의 하나다'가 바로 그것이다. 사르코지의 서문에서 이 평균에 대한 오류를 설명해 놓고 있다. 

우리의 측정체계는 평균값을 기본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만약 우리가 계속해서 평균값을 기본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만약 우리가 계속해서 평균값을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현실과 동떨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의 믿음이 형성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평균적인 개인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증대되는 불평등은 평균값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점점 더 넓혀놓고 있다. 평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회피하는 방법의 하나다. (15쪽)

평균에 대한 오류는 카이저 펑의 <넘버스, 숫자가 당신을 지배한다>는 책에도 나오는 내용이다. 우리는 그 동안 '평균'이라는 고정관념에 갇혀 많은 것을 잘못 인식해 왔는지도 모른다. GDP도 그런 것 중의 하나다. GDP가 높다고 해서 우리가 더 행복한 것도 불행한 것도 아니다. 단지 국가 간의 비교를 위한 수치 중에 하나일 뿐인 것이다. GDP가 높은 것이 우리의 행복을 나타내 준다면 그 많은 자살자들이 나타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보다 정확하게 우리의 삶을 나타내 줄 수 있는 통계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것은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마련해서 불완전 하고 많은 돈이 들더라도 꾸준히 시행착오를 겪으며 통계 자료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삶의 질을 규정하는 객관적 요소들에는 '건강, 교육, 개인 활동들, 정치적 의견과 통치체제, 사회적 연계, 환경적 조건들, 개인적 불안정, 경제적 불안정' 등이 있다. 그리고 앞으로 더욱 중요해 지는 통계 방법 중 하나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을 위한 내용이다. 그것은 생태발자국이나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이 있다. 

GDP라는 지수 대신 무엇을 통계 방법으로 대체해야 할지는 앞으로 꾸준하게 연구해야 할 문제이다. 이 책은 GDP가 우리에게 절대적인 삶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는 게 아니라는 깨달음을 주고 그것이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행보가 우리의 삶의 질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통계 수치가 나오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창의력 국가 대표다! - 세계 학생 창의력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11살 천재들 이야기
서지원 지음, 한지선 그림, 박상민 기타 / 토토북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조카가 재미있어 하네요. 퀴즈 풀면서 창의력에 대해 생각해 보는 좋은 시간 만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자와 해학이 뛰노는 인생의 축소판 

생각해 보면 중국 문학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다. 그에 비해 일본 문학은 미스터리나 추리물을 많이 읽으며 모으기도 했다. 중국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삼국지나 논어, 맹자류는 빼고 말이다. 가까운 지역에 있는 나라인데도 중국의 현대 문학을 읽어보지 못한 것은 번역의 문제보다는 심리적 거리감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위화의 책을 읽어보면서 중국 문학도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에 한국, 일본, 중국의 삼국에서 유명 작가의 단편소설을 모아 동시에 발간한 <젊은 오래된 도시, 성>이란 책에 대한 기대감도 더욱 높아졌다.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는 우리나라의 채만식의 풍자와 해학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그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대화체와 설명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닮아 있었다. 그래서 심각하거나 슬픈 상황에서도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면서 웃음 속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허삼관은 남자다운 것을 보여주기 위한 흥미로, 결혼을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피를 뽑아 판다. 그 이후로 집에 무슨 일이 있거나 아들들을 위해 목숨이 위험할 정도로 피를 팔게 된다. 첫 아들인 일락이가 간염에 걸렸을 때는 상하이로 가면서 며칠 만에 몇 번이나 피를 뽑느라 쇼크로 쓰러지기도 한다.  

허삼관은 자기만 아는 이기주의자이다. 아내가 결혼하기 전에 다른 남자를 만나 일락이를 낳은 것을 9년이 지나 알게 되자 허옥란을 구박하고 일락이를 자신의 아들이 아니라고 내쳐 버린다. 일락이는 자신을 키워준 허삼관을 따르려고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자 자신의 생물학적 아버지인 하소용을 찾아가지만 거기에서도 확실하지 않다면서 내쳐지고 만다. 극심한 가뭄에서 제대로 먹지 못하자 일락이는 울고야 마는데, 허삼관이 찾아와 자신을 업고 국수를 먹으러 간다. 나중에 하소용이 죽을 위기에 놓였을 때 일락이가 아버지라고 불러야 했는데 부르지 않으려고 했다. 그때 허삼관은 '사람은 양심이 있어야 한다'며 일락이를 설득하고 사람들에게 일락이는 자신의 친아들이라며 뭐라고 하는 사람을 혼내주겠다고 공언한다.  

이렇게 허삼관은 이기적이면서도 남의 자식인 일락이를 끝까지 보듬으며 키워내며 가슴 뜨거운 부정을 보여준다. 일락이가 간염에 걸렸을 때는 병원을 찾아가면서도 몇 번이나 피를 뽑는다. 그리고 아내인 허옥란이 문화대혁명 때 기생이라는 대자보가 붙어 머리가 밀리고 팻말을 들고 거리에서 서 있어야 하는 벌을 받았어도 밥을 가져다주며 따스한 마음을 전한다. 집안에서 아내를 비판해야 할 때도 일락이와 이락이가 허옥란을 비난하자 허삼관은 자신도 임분방과 바람을 피웠다며 아내를 감싸 안는다. 

이러한 허삼관의 모습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부장적인 모습과 많이 닮아 보인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주인공인 김첨지를 생각나게 만든다. 김첨지는 아픈 아내를 두고 밖으로 나오는데, 평소와 다르게 돈을 많이 벌면서도 불안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 아내를 위해 산 설렁탕을 들고 집으로 오지만 아무리 소리쳐도 아내는 일어나지 못한다. 옆에서 자지러지게 우는 아기와 일어나라고 외치는 김첨지의 목소리만이 공허한 방안을 씁쓸하게 메울 뿐이다. 비극적으로 슬픈 모습의 <운수 좋은 날>에 비해서 슬픈 상황에서도 유머를 잊지 않는 위화의 소설은 아마도 시대적인 차이에서 비롯한 환경의 무게감 때문일 것이다. 

위화의 다른 소설도 읽어보고 싶었다. 특히, 장이머우 감독에 의해 영화화 되어 1994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인생>이란 책을 말이다. <허삼관 매혈기>는 펄 벅의 <대지>와 비교해 보아도 꽤 흥미로울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어 보이스 Dear Boys Act III 6
야가미 히로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석정이가 어떻게 성장해 나갈 지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경영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모르는 분야라 공부를 한번 해 보려고 '경제/경영' 부분을 선택해서 신간평가단이 되었다. 평소에 자주 접하는 분야가 아니라 한 권의 책을 읽는 것도 조금 버거울 때가 있다. 하지만 모르는 걸 알아가는 재미가 제법 쏠쏠하다. 경제는 우리가 먹고 사는 문제와 가장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니 말이다. 이제 날도 제법 더워진 6월이다.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시작해 보자.  

 

 <블랙스완에 대비하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 하지만 우리의 삶에 크나 큰 영향을 미치는 '블랙스완'이 다가오고 있다. 구제역이 우리에게 일어날 거라고 그 누가 예상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그렇게 오랜 시간 구제역이 없어지지 않아 지금의 돼지값을 올리리라고 그 누가 알 수 있었을까. 이러한 블랙스완을 우리는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까. 그 대답을 눈여겨 봐야할 것이다. 

 

  

 

 

 <세계대공황>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은 '경제 위기'가 아니라 세 번째 '세계대공황'이다. 이러한 절망적인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예전과 같은 방법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김수행은 그 해결책으로 마르크스의 공황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의 우리 나라 현실을 적나라하게 분석해 내고 있다. 

 

   

 

 

 <계층이동의 사다리> 

 가난이 대물림 되는 작금의 사태에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유일한 방안은 '공교육의 정상화'일 것이다. 우리나라 처럼 사교육 시장이 넓은 나라에서는 더욱 더 중요해지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진국과 후진국의 격차가 더욱 커지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리라 믿는다. 

 

    

 

 

  <승자의 음모> 

 대다수 국민들을 위한 한국 경제의 논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당연하게 가지고 있는 편견을 부셔야 한다. 그것이 상위 1%가 99%를 지배하기 위한 논리였기 때문이다. 우리가 뛰어 넘어야 하는 논리는 과연 무엇일까? 

 

 

    

 

 

 <성장숭배> 

 경제는 성장하고 있는데, 왜 우리의 삶은 점차 불행해지며 자살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걸까? 자살은 단순한 유행일 뿐일까? 우리는 경제 성장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이것은 저번 달에 신간평가단 도서로 선정된 <GDP는 틀렸다>와 관계된 문제다. 행복을 위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경제를 위한 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향 2011-06-19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6월에 신간평가단에서 선정된 도서는 내가 추천했던 <블랙스완에 대비하라>가 되었다. 다른 한 권은 <모든 것의 가격>이 되었다. 내가 추천한 도서 중에서 한 권씩은 선정되고 있지만 다음 달에는 추천한 도서 중에서 두 권 모두 선택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번에 나의 추천글이 뽑혀서 기뻤다^^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 하지만 우리의 삶에 크나 큰 영향을 미치는 '블랙스완'이 다가오고 있다. 구제역이 우리에게 일어날 거라고 그 누가 예상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그렇게 오랜 시간 구제역이 없어지지 않아 지금의 돼지값을 올리리라고 그 누가 알 수 있었을까. 이러한 블랙스완을 우리는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까. 그 대답을 눈여겨 봐야할 것이다. / 알라딘 9기 신간평가단 '바람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