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18일, 지옥의 5연전 중 이틀이 지났다. 오늘과 내일이 최대 고비인데, 잘 넘길 수 있을까?
마신 술: 소주 한병 반과 삼겹살-->2차 친구집서 맥주 두병
좋았던 점: 소주 다섯병을 마시는 친구인데, 요즘 맛이 가서 많이 못마시더만. 음하하
나빴던 점: 집에 가다가 누군가의 전화를 받고 노래방에 끌려갔다. 1시간 반동안 고생했다. 아저씨는 왜 자꾸 서비스 시간을 넣어 주는지...난 노래가 싫은데...집에 오니 새벽 한시, 지금도 졸려 죽겠다.
어제 술을 마신 친구-알파락 하자-는 나와 정말 친한 친구다. 90년대 후반, 내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때 언제나 같이 술을 마셔준 고마운 친구이기도 하다. 그러던 것이 3년 전 결혼을 하면서 연락이 뜸해졌고, 아이가 생기면서는 1년에 두세번, 행사가 있을 때나 볼 수 있는 사이가 되었다.
따지고보면 그가 처음은 아니었다. 나와 가장 친하다고 생각한 친구 하나-얘는 베타다-는 97년 결혼한 이후 인간이 변해 버렸다. 일이 끝나면 총알같이 집에 갔고, 술같은 건 마시지도 않는 듯했다. 그때 우린 만나기만 하면 베타를 비난했는데, 어느날 갑자기 베타가 우리를 불러모으더니 <까르네스테이션>에 데리고 갔다.
"니들이 하도 뭐라고 해서 오늘 밥 산다!"
그 말을 듣고 조금은 서운했다. "이걸로 떼울테니 더이상 나 볼 생각 하지 마!"라는 말로 들렸기 때문이다. 내가 원한 것은 약간의 관심이지 밥이 아니었는데. 하지만 그땐 내가 뭘 잘 몰랐다. 자기 아내가 친구보다 훨씬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것을 말이다. 예컨대 친구만 챙기고 맨날 늦게 들어간다면, 그래서 아내와 불화가 생긴다면 좋은 건 아니잖는가? 술 잘 사고 그러는 게 우리야 멋있어 보일지 몰라도, 콩나물값도 아끼는 아내가 본다면 얼마나 화가 나겠는가.
가정과 사회, 이 두가지를 모두 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친구들 사이에서 칭송을 받는 사람은 집에서 욕을 먹고, 가정적으로 너무 잘하는 사람은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가 된다. 하지만 친구가 밥을 먹여줄 수는 없는 법, 굳이 둘 중 하나를 택일해야 한다면 가정을 택하는 게 옳지 않을까? 이런 사실을 뒤늦게 깨우쳤기에, 알파가 출산을 한 후 연락이 뜸한 게 그렇게까지 아쉽지는 않았다. 아니, 내 쪽에서 의도적으로 연락을 안한 측면이 더 클지도 모른다. 어쨌든 알파는 한번 만나자는 내 전화에 무척이나 반가워했고, 지난 몇달간의 일을 얘기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내 예상대로 알파는 애와도 잘 놀아주는 자상한 아빠가 되어 있었고, 그걸 보면서 난 흐뭇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