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녀가 만나서 아기가 생긴다는 오묘한 진리를 알게 된 초등학교 6학년 이후, 난 여느 남자애들처럼 성에 관심을 가졌다. 중1 때는 '좌지우지'같은 단어만 나와도 흥분을 했으며, '자진해서'란 구절을 읽을 땐 거의 자지러졌다. 그런 유치한 단계를 지나고 나자, 난 뭔가 제대로 된 야한 책을 보고픈 충동이 일었다. 과거를 돌이켜볼 때 꼭 읽고 넘어가야 할 책들을 안읽은 걸 무지하게 후회하는 나지만, 야한 책들은 그래도 남들 읽은만큼은 읽었던 것 같다.
우리집에 꽂혀있던 세계명작 중 내가 읽은 것은 딱 두권이다. <여자의 일생>이 그 중 하나인데, 사실 읽었다고 할 수도 없는 게, 특정 부분만 읽어서다. 지금 생각해보면 별것도 아닌 내용이지만, 그정도의 묘사도 나에겐 충격이었다. 내가 읽은 또다른 명작은 북카치오가 쓴 <데카메론>인데, 우연히 집어들었다가 거의 쓰러질 뻔했다. 거기 나오는 얘기들 중 상당수가 EDPS, 매우 건전하고 심오한 이야기만 담겨져 있을 명작에 뭐 이런 야한 얘기들이 있단 말인가? 아무튼 그 책은 내 사춘기에 있어서 가장 빛났는 책으로 기억한다.
한번은 아버지 서재에 들어간 적이 있다(아버님은 워낙 무서워서, 서재에 아무도 못들어가게 하셨다). 책상에 놓인 간이 책꽂이에는 책들이 몇권 꽂혀 있었는데, 그중 한권이 <첫사랑>인가 그렇다. 기회를 봐서 난 서재에 잠입한 뒤 그 책을 빠르게 읽어나갔다. 뭔가 나올 듯한 책이었지만, 그 책에서 야한 장면이라곤 남자가 기절한 척을 했더니 여자가 키스를 해준 게 전부였다. 그러고는 여자가 이렇게 말한다. "정신 든 거 다 아니까, 그만 엄살부려요" 굉장히 아쉬웠다. 바보같은 남자녀석, 누워만 있다니...
다른 책이 없나 봤더니 놀라운 책이 눈에 띈다. 유명 경제학자인 케네스 갈브레이스가 지은 <불확실성의 시대>. 이게 왜 놀랍냐고? 그 책의 제목은 한자로 써있었는데, <不確實性의 時代>라는 제목 중 내가 판독할 수 있는 한자는 不(불)과 性(성)밖에 없었다. 하핫, '성'이 그걸 뜻하는 건 나도 잘 알았기에, 잽싸게 책을 집어들고 읽기 시작했다. 몇페이지 읽다가 책을 집어던지고 배신감에 몸을 떨었는데, 그땐 참 세상이 원망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고교 때인가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는 영화가 개봉되었는데-원래는 '우편배달부'인데, 그들의 항의로 제목이 바뀌었지 아마-영화에 맞춰서 급조된 번역판을 우연치않게 구했다. 떨리는 가슴을 안고 읽었는데, 해적판이라 그런지 묘사가 영 개판이었지만, 그 나이에 그게 어딘가. 한 열 번쯤은 더 읽었을게다. 박종화의 <삼국지>도 비슷한 시기에 읽기 시작했는데, 조조가 추씨부인이랑 하는 장면이 난데없이 나와 횡재한 기분으로 읽었다 (조조의 그 욕정 때문에 가장 용맹한 전위가 죽었지 아마).
그러다 김성종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추리소설가란 호칭이 붙는 그지만, 범인이 오리무중인 다른 추리소설과 달리, 그의 책들은 범인을 중심으로 스토리를 전개해 나간다. 그러니 범인이 누굴까 하는 궁금증은 없지만, 그래도 꽤 재미있게 읽었던 것 같다. 내가 그의 소설을 특히 좋아했던 것은 야한 장면이 심심치 않게 나오기 때문인데, 그 당시 읽었던 <제5의 사나이> 첫장면은 명자라는 유부녀가 나이트클럽에서 만난 남자와 바람을 피우는 거다. 그게 어찌나 야했는지, 분당 심박수가 500 정도로 올라갔을게다. 나중에 읽은 <나는 살고싶다>는 추리물이라기보다는 포르노로, 주인공은 시종일관 한다. 상대여자의 이름도 또렷이 기억난다. 색씨집에서 데려온 여자가 '화자', 과부가 '염복매'. 김성종은 그 책에서 낙지의 흡반 어쩌고 하는 비유로 과부를 묘사했다.
그런던 어느날, 김성종이 일간스포츠에 소설을 연재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돈이 없으니 매일 사지는 못했지만, 언젠가 한번 샀더니 둘이서 하기 직전이다. 다음 장면이 너무 기대되어 밤을 꼴딱 샜는데, 허무하게도 다음날은 이렇게 얘기가 전개된다. 막 하려는데 얘가 울면서 엄마를 찾으니까 남자가 다음에 하자고 하고, 화가 난 엄마가 "요놈새끼!" 하면서 얘를 두들겨 패는 내용. 나도 얘가 얄미워 죽는 줄 알았다.
대학에 간 후에도 야한 걸 볼 수 있는 기회는 생각처럼 많지 않았다. 내가 포르노를 본 건 대학3학년 나이인 본과 1학년 때, 그때 친구들과 여관에 놀러가 처음으로 봤는데, 여관에서 그런 걸 안틀어줘, 한번도 경험이 없던, 그래서 가장 아쉬웠던 내가 주인에게 여러번 전화를 걸었다. "....좀 틀어주면 안되요?" 몇 번을 이러자 주인은 십오분짜리 포르노를 틀어줬는데, 대개의 포르노가 여성학대를 다루고 있는 반면 그건 그래도 인간적인 영화였다. 내 친구들이 "포르노 보고 돌아버린 애도 있다"느니 하면서 겁을 줬던 기억도 난다. 인간적인 포르노를 처음 봐서인지, 난 시중에 유통되는 그런 포르노를 보지 못한다. 보면 속이 울렁거리고, 야하기는커녕 기분이 나빠진다. 대학 때 읽은 야한 책은 기억나는 게 없다.
졸업 후, 스포츠신문을 샀더니 마광수가 <알라딘의 램프> 어쩌고 하는 소설을 연재 중이다. 야한 게 심심치 와서 쭉 봤는데, 소설 내용이 겁나게 야한 적이 있었다. 다음날이 무지하게 기대가 됐지만, 그날 저녁 마광수의 구속 사실이 뉴스에 나왔고, 다음날 내용은 아주 건전하게 바뀌어 버렸다 (하려다 말았다, 이런 식으로). 언젠가 우리집 근처 책 대여점이 문을 닫으면서 책들을 1000원씩에 팔았는데, 단행본으로 나온 <알라딘...>을 그때 샀다. 옛날 생각이 나서 그 부분을 들춰 봤더니, 역시나 야했다. 97년인가는 친구로부터 <내게 거짓말을 해봐>를 빌렸다. 난 둘이서 하는 묘사가 몇십페이지에 걸쳐 있는 책을 그때까지 본 적이 없었다. 하루의 말미를 준 친구의 협박 때문에 잽싸게 보려고 했는데, 새디즘, 마조히즘이 나오는 후반부에는 견디지 못하고 책을 덮고 말았다. '이사람, 괜찮을까?'라는 생각을 잠시 했더니, 역시나 며칠이 못되어 그의 구속 사실이 뉴스에 나온다.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개념이 없었던 그때는 '마광수가 구속이니 장정일도 구속이지!'라는 생각을 했었지만, 그건 창작활동에 대한 폭거였다는 생각이 든다.
빠진 것도 있었지만, 이게 내가 지금껏 읽어온 야한 책들의 목록이다. 참고로 <즐거운 사라>는 몇 년 전에 우리 할머니가 주셨고, 지금도 내 책꽂이에 꽂혀 있다. 한번 읽어 봤는데 뭐 별내용도 없더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