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이 있어서 6시 25분차를 타고 서울에 올라왔다.
이것저것 일을 보고 난 뒤 2시부터 '고병리학회'에 참석.
간만에 열심히 들어보려 했지만,
나이도 있는데다 너무 무리한 탓인지 십분도 안돼 졸음이 밀려왔다.
이럴 때 난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리면 안잘 수 있으니까.



하지만 여기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1) 안자려고 한 이유가 세미나를 듣기 위한 것인데,
그림을 그리면 어차피 세미나를 듣지 못한다.
2) 그림을 그렸음에도 불구하고 한시간이 넘게 잤다.
오죽하면 발표자가 쉬는 시간에 내게 "많이 피곤하신가봐요"라고 하겠는가.
잠을 안자면서 세미나를 들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강구해 봐야겠다.
참고로 맨 마지막 그림은, 세미나 때가 아닌, 라디오 방송국에서 그린 거다.
어제 내가 나오는 라디오 프로가 백일째를 맞아서 '백일특집'을 마련했는데,
청취자 투표로 고정 코너를 맡은 게스트 네명을 뽑아 백일특집에 불렀다.
뭐 게스트가 몇 명 되지도 않는지라 4등 안에 드는 건 그리 어렵지 않을 것 같지만,
혹시 못들면 어쩌나 싶어 아내에게 투표 좀 해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아내는 내가 나오는 프로가 뭔지를 몰랐고 -채널은 물론이고 프로그램 이름도-
결국 투표를 하지 않아 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4등 안에 들어서 백일특집에 초청이 됐는데,
1등과 단 3표 차이라는 말에 무지하게 놀랐다.
'아내가 해줬으면.... 우리 조교선생한테 부탁했다면...동료선생한테도 부탁했다면..?'
이런 생각을 잠시 해봤지만,
솔직히 지난 석달간 내 방송은 스스로도 만족스럽지 않았다.
라디오를 '방송아카데미', 즉 방송감각을 기르기 위해 연습하는 과정이라고,
그래서 가볍게 해도 된다고 생각한 게 주된 이유였다.
오죽하면 작가한테 "방송 하기 싫어요?"라는 힐난을 받았겠는가?
그 힐난 이후 난 좀 달라졌고,
정성을 다해 대본을 작성하기 시작한다 (우리 프로는 스스로 대본을 쓴다)
그렇게 3주 가량이 지났을 때 작가가 날 불렀다.
"처음에는 롤러코스트였어요. 무지하게 긴장한 상태로 방송을 하는 것 같았는데,
지금은 좀 안정된 거 같아요. 반응도 좋아졌고요."
초창기 내가 긴장했던 건 내 대본에 자신이 없었기 때문,
충분한 준비를 한 지금은 긴장할 이유가 없다.
그 몇 주간의 소중한 경험이 날 2등으로 이끈 것 같다.
내 코너에 투표한 청취자의 소감을 보자.
-사람 냄새 나는 코너이기도 하며..준비성 있는 것 같고 듣기 편함.
-진솔한 마음이 저에게 전달되어서요...왠지 정이 갑니다.
-우리 옆집 아저씨 같기도 하고.. 오래도록 함께 해주세요.
-푸근하고 서민적인 인상이 좋고 (라디오인데???) 많은 정보도 귀에 쏙쏙 들어와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털털하게 서민적인 인상을 풍겨서 정감이 갑니다.
-부담스럽지 않아서 편하고 좋아요.
-이웃집 아저씨같은 서민적인...
난 프로 방송인은 아니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말투가 어눌하고, 말실수도 많이 하는 지금의 상태에서 더 나아질 게 없단 얘기다.
하지만 사람들 중엔 이런 내 모습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그분들은 날더러 '오래도록 함께 해' 달란다.
이 소감을 들으면서 그간의 날 반성했다.
차비 빼면 남는 게 많지 않은 출연료를 받는다는 이유로,
라디오의 시대는 이미 갔고, 듣는 이도 별로 없을 거라는 이유로
너무 성의없게 방송을 하지 않았던가?
누군가는 내가 하는 말로 삶에서 위안을 얻는데,
난 '잠깐 하다 말지'라는 한심한 생각으로 방송국에 갔다.
정말 부끄럽지 않은가?
그간의 난 그 프로에서 일개 게스트에 불과했다.
펑크가 나면 언제든 대체할 수 있는 게스트.
하지만 그 소감을 듣고나니 비로소 난 그 프로의 손님이 아닌, 가족이 된 느낌이다.
어차피 얼굴도 안되는데, 라디오에 뼈를 묻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새벽같이 서울에 올라와 피곤했지만,
내려가는 기차 안에서 마음이 푸근했던 건 그런 이유였다.
라디오스타 마태우스를 기대해 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