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좀 바빴다.
바빴던 주된 이유는 연구 때문이지만,
그 덕분에 논문이 많이 나와 앞으로 몇 년간은 잘릴 염려가 없어졌으니 보람은 있다.
그 바람에 이곳에 글쓰는 걸 너무 소홀히 한 듯하다.
페이퍼는 많이 못쓰더라도 리뷰는 꾸준히 써야겠다고 마음먹었지만,
결정적으로 어떤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그마저도 물거품이 되었다.
그 책은 분량이 상, 하 각 500여쪽인데,
한줄 한줄이 다 엄청난 내공을 요구하기에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타자화' '자기 초월' '수동성' 등등의 단어가 어찌나 많이 나오는지,
그냥 붉은 펜으로 줄만 박박 긋고 있는 중이다.
그 책의 이름은 바로 보부아르 여사가 쓴 <제2의 성>,
9월 내내 그 책을 가지고 다녔는데 엊그제야 겨우 상권을 떼었다.
이런 식이라면 10월 말까지 다 읽을 수 있을까 걱정이 되는데,
읽고 난 뒤에도 머리에 남는 건, "하여간 읽긴 읽었다"일 것 같아 더더욱 걱정이다.
뭐, 책의 내용에야 심하게 공감하지만,
조금만 더 쉽게 썼다면 더 좋았을 걸 그랬다는 생각이 든다.

갑자기 그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어느 분과 댓글로 했던 얘기였는데,
거기서 내가 '여자는 태어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진대요'라고 했더니
그분이 갑자기 이런다.
"당신, 그 말의 의미를 알고 쓰는 거야?"
갑자기 그 책을 읽지도 않은 채, 앞뒤 맥락도 전혀 모르는 채 그 문장을 인용하는 건 잘못된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게 마음의 빚이 되어 계속 기회를 엿보던 중
어느날 갑자기 책방에 가서 그 책을 샀고,
한 이삼일 뜸을 들이다 읽기 시작했다.
"여자는...만들어진다"는 말은 상권의 4분의 3이 경과될 지점에 나오는데,
어떤 단락의 시작이 그 말인지라 앞뒤 맥락이 그리 중요한 건 아니었고,
그 다음에 나오는 구절을 읽어봐도 내가 틀리게 이해한 건 아닌 것 같다.
마음의 빚이 남더라도 그냥 읽지 말 걸 하는 후회가 들었는데,
한편으로는 저 밑바닥 수준인 나의 내공을 개탄했다.
근데 그 내공이란 건 도대체 어떻게 쌓이는 걸까?
서른살부터 책을 읽기 시작해 십년이 넘는 세월을 독서에 바쳤는데,
아직도 어려운 책은 어려워 죽겠고, 쉬운 책에만 절로 손이 간다.
그러니 책을 무작정 읽기만 한다고 내공이 저절로 쌓이는 건 아닌 모양,
앞으로는 괜히 무리하지 말고 욕망이 시키는대로 책을 읽어야겠다.
여기까지 쓰고 방안을 둘러보니 어느 분이 선물한 <어느 정치적 인간의 초상>이 눈에 들어온다.
그러고보니 이미 갖고 있되 읽지 않은 책 중에도 어려운 책이 꽤 있다는 데 생각이 미친다.
역시 내공은, 기르는 게 좋다.
일단 내공을 기르는 책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