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초, 마음잡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실 말고 실험실에도 컴퓨터가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노트북을 하나 샀다.
노트북은 도난의 염려가 있는지라 아는 사람에게 문의했더니,
'켄싱턴'이라는 첨단장비를 가르쳐 준다.
암호로 된 자물쇠를 테이블 같은 데 연결해 노트북을 묶어놓는 장비,
난 세자리 숫자로 된 번호를 입력했고, 켄싱턴 덕분에 도난 걱정이 없이 살았다.

구글에서 퍼온 사진입니다
얼마 전부터 노트북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았다.
참고 쓰려고 했지만 논문을 쓰려고 해도 인터넷이 필요하고,
연구원 선생님이 여가 시간에 고스톱도 쳐야 하는지라 하루빨리 고쳐야 했다.
아는 분한테 말했더니 노트북을 가져오란다.
노트북을 가져가려고 했더니 켄싱턴이 발목을 잡는다.
내가 아는 모든 번호를 동원해 봤지만 켄싱턴은 열리지 않았다.
네이버 지식인에 물어봤더니 "000부터 다 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라고 되어 있고
파는 쪽 홈페이지엔 "비밀번호 분실은 책임지지 않는다"고 친절하게 씌여 있다.
그래서 난 마음을 잡고 앉아 000부터 하나하나 번호를 맞추기 시작했다.
000부터 100번까지 하는 데 대략 7분이 걸렸다.
이런 식이면 1시간이면 하겠구나 싶어 더 열심히 했다.
500-그러니까 목표치의 60%-까지 돌렸을 때 갑자기 불안한 마음이 엄습했다.
"999까지 다 해봤는데 안되면 어쩌지?" 하는 마음 말이다.
이론적으로야 1000가지 조합 안에 비밀번호가 있지만,
숫자의 줄을 잘 안맞춰서 안열린 것이라면 처음부터 다시 해봐야 하잖는가?
할 일은 많고 시간은 없는데 이런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더해져 짜증이 확 치밀었고,
에라 모르겠다는 심정으로 숫자판을 아무렇게나 돌렸다.
"덜컹!"
그 소리가 내게는 너무도 크게 들렸는데,
난 그때만 해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몰랐었다.
정신을 차려보니 켄싱턴이 열려 있다.
만세를 부르다 번호를 확인해보니,
그 번호는 연구원 선생님의 전화번호였다.
내가 아는 번호를 죄다 투입해도 안된 이유가 거기에 있었는데,
마음을 차분히 먹고 조금 더 돌렸다면 금방 열릴 거였다.
숫자가 세자리니 다행이지, 네자리였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낯익은 연예인을 보고 "쟤가 누구지?" 하는 기억력을 믿고 적어놓지도 않은 자신을 책망하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켄싱턴이 있다해도 누군가 이걸 훔쳐갈 마음만 있다면,
한시간 정도만 마음잡고 번호를 돌리면 훔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그런 생각.
그러고보면 비밀번호의 첫 자리가 후반부인 건 참 다행이다.
당장 마음이 급한데 한시간이나 번호를 돌리고 있을 도둑은 없을 테니 (999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돌려보는 도둑은 없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