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하기 전에 그 말이 3개의 문을 통과하게 하라
첫 번째 문: 그 말이 사실인가?
두 번째 문: 그 말이 필요한가?
세 번째 문: 그 말이 따뜻한가?

<이슬람 수피 속담> - P153

사람은 51% 정도 믿고
일은 70% 정도만 해라.
그러면
49%의 우군을 얻을 것이고
일터에선 상위 30% 안에는
들어갈 것이다. - P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부를 지지하는 세력에게만, 그리고 (그것이 다수당이라 할지라도) 한 정당의 당원에게만 주어지는 자유는 결코 자유가 아니다. 오직 그리고 언제나 자유란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 이는 ‘정의‘라는 강박적 개념 때문이 아니다. 정치적 자유는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것일 때 이롭고 건전하며 순수한 것이 되는 반면, ‘자유‘가 하나의 특권으로 자리할 때는 그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 P1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의 자신보다 나아지기 위한 노력, 그것은 건전한 노력입니다. 단, 거기에 타자와의 경쟁이나 승부를 끌어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타자와의 승부나 타자의 평가에 개의치 말고 "어제 하지 못한 일을 오늘은 할 수 있다"라고 실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라시안의 조언은 이렇다. 처음부터 말을 아끼면 좋겠지만 굳이 말을 해야 한다면 다수를 거스르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 P91

옳고 그름을 떠나 상대의 의견을 거스르면 상대는 그것을 비난으로 여기고 모욕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 P91

대부분의 사람에게 무엇이 진리냐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에겐 서로 그게 맞는다며 끄덕거릴 수 있는 얄팍한 통념이면 족하다. 따라서 그라시안은 사람들과 나누는 말은 딱 그 수준에서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 P91

그러나 생각은 말과 다르다. 생각은 누구도 강압할 수 없는 자유의 영역에 있으므로 다수를 의식할 필요 없이 스스로 옳다 여기는 것을 마음 깊은 곳에 품을 수 있다. - P91

그러니 자기 생각이 있는 현명한 사람이라면 평소엔 침묵 속에 물러나 있다가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 앞에서만 자기 생각을 말로 드러내야 한다. 물론 그럴 수 있는 대상은 아주 소수일 테지만 말이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승객은 절대로 운전대를 잡을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내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뿐입니다. 아무리 언성을 높이고 횡포를 부려도 승객은 승객일 뿐이며 절대로 내 자동차를 몰 수 없습니다. 상처가 너무 아파서 감정이 요동치는 순간에도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주도권은 내가 쥐고 있습니다. 승객에게 압도당할 필요가 없는 이유입니다. - P83

더 훌륭한 내가 되는 것이 나와 잘 지내는 길이 아닙니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나와 사이좋게 지내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