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보우의 성
와다 료 지음, 권일영 옮김 / 들녘 / 2011년 1월
평점 :
이 책에 관심을 갖고 사보게 된 이유는 블로그 이웃 중 한분이 워낙 칭찬에 칭찬을 거듭해서 흥미가 생긴 탓이 크다. 기본적으로 역사물이라는 것도 그렇고,또 일본 역사 중 나 역시 가장 흥미를 갖고 있는게 센고쿠 시대이기도 하지만.
주인공 나리타 나가치카는 성주의 조카로 신분이 높긴 하지만,가족과 가신외에는(심지어 동네 농민들에게조차) 노보우님이라고 불린다. 이 노보우는 '데쿠노보우'의 준말로,조금 온화하게 말해봐도 바보라는 뜻이고 어감상 '얼간이'라 보는게 맞는 뜻 되겠다. 키는 크지만 허수아비같은 느낌이며 착하고 온화하지만 바보스런 행동을 해서 늘 얼간이 취급을 당하는 불쌍한 사내.
나가치카의 가문은 호조 가문을 따르는 처지로,토요토미 가문과는 적대하는 처지다. 해서 토요토미의 부하인 이시다 미쓰나리가 나리타 가문의 성을 치러 오는데...성주는 호조 가문에 들어가고 이 성의 대장을 맡게 된 것은 바로 노보우님! 물론 그를 보좌하는 단바(나가치카의 어릴적 친구이자 가장 현명한 장수),이즈미(덩치 큰 맹장),유키에(자뻑 증세가 심한 미소년 장군) 등의 맹장&지장들이 있긴 하지만 어차피 나리타 가문은 토요토미에 내통하여 항복하기로 한 터라 별다른 의미는 없다.
아니 없어야 했는데?! 이 노보우님은 이시다의 사자를 앞에 두고 그만 "싸우자"는 말을 해버리고 만다. 게다가 세 장군들과 가신들마저 그 말에 따르고-더 묘한 것은 성 안의 농민들. 그들은 농병을 징집하려는 세 장군들에게 간 크게도 반항하다가 이 명령을 내린게 노보우라는 것을 알자 "뭐,노보우님? 그렇다면 어쩔수없지. 도와드려야지"하는 식으로 자청해서 성안으로 우르르르 몰려들어간다.
참으로 기묘한 매력을 가진 사람이 아닌가! 이에 전투의 양상은 알수없게 돌아가는데......
실제 있던 사건을 참으로 흥미롭게 그려낸 소설이다. 특히 노보우 나가치카의 맹한 매력,그러나 누구보다도 지도자다운 힘은 아마 부정할수 없을터. 결말의 시원하면서도 어딘지 모르게 남는 쓸쓸한 여운은 아마 잊기 힘들거 같다. 다만 이미 이 시대에 대한 대략적인 지식이 있는 나로썬 중간중간 삽입된 해설이 오히려 소설을 읽는데 꽤 방해가 되었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차라리 각주로 돌려서 전개를 펼치는게 나았을 거라고 본다.
초반에 다소 갑갑한 것만 참는다면 3분의 1을 넘어가면서 흥미진진해진다. 한번 봐도 아마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