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착의 귀결 오리하라 이치 도착 시리즈 3
오리하라 이치 지음, 권일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오리하라 이치. 본격물을 쓰는 작가치고는 조금 더 환상적인 요소를 띄운듯 해서 묘한 느낌을 주는 작가다. 그간 읽은 작품들은 살짝 내 취향을 벗어나긴 했지만 그럭저럭 본격적이고 재미있어서 다음 작품이 나오면 일단 흥미를 가지는 편이긴 했는데,이번 작품도 역시 그랬다. 

이 소설은 특이하게도 '앞과 뒤'로 구성되어 있다. 즉 3분의 2를 차지하는 '목메다는 섬'은 표지 저 앞부터 정상적으로 읽으면 되지만...약 3분의 1 가량 되는 '감금자'는 책을 완전히 거꾸로 뒤집어서 뒤부터 읽어야하는 것이다. 작가의 권유대로 정상 순서부터 읽고 책 속의 봉인 페이지는 마지막에 가서야 뜯고 읽었다. 

남주인공은 뭔가 혼란스러운 상태와 기억속에서 한 여자의 인도에 따라 그녀의 고향인 일명 '목 메다는 섬'으로 향한다. 그곳의 선주 니이미 가문은 부상당이라는 별채에서 이미 아들과 당주가 기묘한 사건으로 사망한 상태. 그는 유명한 추리작가로 행세하며 사건을 추적해나가게 된다. 아울러 남은 미모의 세딸-설월화,즉 유키요 츠키요 하나요들과 행복한 애정 관계에 돌입하게 되고. 하지만 유키요와 하나요가 역시 부상당에서 차례차례 완전 밀실 상태에서 살해당하게 되는데... 

한편 뒤쪽의 감금자는 역시 남주인공이 세들어 사는 곳에서 진행된다. 꼭 미저리처럼 감금되어 소설을 쓰는 남주. 옆집의 여성이 우연히 알고 구해주려고는 하는데- 

대체 이 2가지 사건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되어 무슨 방법으로 만나 해결되는 것일까? 

일단 전개는 몹시도 매끄럽다. 특히 앞쪽의 사건은 요코미조 세이시의 '옥문도'를 연상하게 하면서도 그것보다는 확실히 현대적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 두 사건이 만나 '해결'된다는 봉인 페이지를 읽었을 때조차,아 이게 대체 결말이 어떻게 된 것인가 싶어 머리가 지금까지도 헷갈리고 있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결말을 작가가 아예 의도적으로 꼬고 꼬고 또 꼬아놓은 느낌? 

속았다거나 화가 난다거나 그런 비겁한 상태는 아니다. 그랬다면 별점을 4개까지 주지도 않았을터. 다만 조금만 덜 꼬았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바램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인동맹에 어서오세요 1 - Seed Novel
반재원 지음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말 그대로 초인=영웅들이 일상화된 세계. 여러 초인들이 각자의 재능으로 예능 혹은 오락에 참가하거나 민간인을 구하는 것조차 엔터테인먼트가 된 설정. 이 라이트 노벨은 거기에서 시작한다. 

주인공은 중증 브라콤을 가진 여동생을 둔 평범한 고교생. 다만 그의 부친은 몇년전 유명한 초인으로 보기 드물게 오직 약자를 구하는 진정한 초인이었다. 하지만 다리가 붕괴된 책임을 전적으로 떠맡은채-즉 오명을 쓴채 죽어가고 말았던 것이다. 

그러니 주인공이 초인을 싫어함도 어찌 보면 당연지사. 문제는 그 여동생조차 사실 최근 떠오르는 초인 '라이징 발키리'였던 거다. 그리고 그에게도 알고 보면 희귀한 초인의 재능이 있어......결국 마지막에 가선 '언데드맨'이라는 초인이 되고 만다. 

이런 설정은 물론 흥미진진한 것이다. 실제 이 소설도 내내 보기에 나쁘진 않았다. 다만 전형적이랄까? 오라 전대처럼 신선하고 흥미진진한 것은 아니었다. 뭐 판매부수를 보니 일단 7쇄까지 찍은 걸로 봐선 뒷권에서는 더 나아졌을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한번 보기에 나쁘지 않고 제법 술술 넘겨가며 볼수 있는 라노벨이다. 아울러 한가지 당부하고 싶은 것은 제발 오라 전대처럼 무시무시한 할렘물을 만들지는 말라는 건데...과연 어떨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1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당대에 이 책을 읽어본 사람들이라면 다 알 것이다. 이 책이 얼마나 모두의 가슴과 정신을 떨리게 했는지를. 나 역시 오랜 기간 이 책을 마치 무슨 (과장을 섞는다면) 경전처럼 생각하고 모셨을(?) 정도니까. 이후 김진명의 책이라면 무조건 읽어야한다는 신념마저 갖게 해줬으니까.

그런 이 책이 작년에 애장판으로 다시 나왔다. 최근 퇴마록과 은하영웅전설처럼 그 시절 신앙의 대상이었던 책들이 줄줄이 다시 나오고 있고,나 역시 다시금 사모으고 있는 중이다. 

다만 다시 책을 읽은 결과는 사뭇 다르다...... 

우선 최고는 은하영웅전설. 오랜 세월을 건너 다시 읽어봐도 그때처럼 감동적이고 정말 재밌는 작품이었으니 이 소설을 쓴 다나카 요시키는 과연 대단하다고 할수밖에. 다음은 퇴마록인데 아직 국내편만 애장판으로 나온 상태지만 재미가 조금 반감된 것 외에는 역시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마지막이 바로 무궁화 꽃. 솔직히 가장 실망이 컸다. 

지금 다시 읽으니 설정 자체는 역시 대단하긴 하지만 그외 스토리 전개가 1권은 의외로 지루한 편이다. 특히 남녀 주인공들의 감정선이 좀 아니라고나 할까? 차라리 그것을 확 줄이고 주요 내용에 치중했더라면 지금 읽어도 여전했을듯. 

1가지 나아진 것은 표지. 표지는 예전보다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비밀탄 4 - Extreme Novel
아마노 아키라 지음 / 학산문화사(라이트노벨)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은 일단 발행되니 발간 속도가 빠르다. 어느새 일본과도 딱 1권 차이밖에 나지 않으니 말이다. 물론 온라인으로 사보자면 시간이 더 걸릴 테니까 나오는 날 막바로 오프 라인에서 35권과 함께 사봤고. 

다만 이번에는 3권까지와 비교해서 재미가 좀 떨어졌다. 두께는 비슷하지만 이야기 가짓수가 늘어났는데(즉 각 회 당 분량이 짧아짐) 오히려 너무 단락단락 나뉘어져서 그런지 호흡이 가파른 느낌? 아무튼 그랬다. 첫번째 이야기 같은 경우는 링 쟁탈전의 벨과 디노의 만남을 볼수 있어서 좋긴 했지만. 각 이야기마다 아마노 여사의 일러스트를 볼수 있는 것이야 늘 좋은 일이고. 

아무튼 최고의 만화 리본. 소설 5권과 단행본 36권도 얼른 나오기를 벌써부터 기대해본다. 그리고 올해는 왜 달력이 안나오는지 누가 그 이유를 좀 말해주면 좋겠다...사고 싶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사를 바꿀 14가지 거짓과 진실 - KBS '역사추적' 팀이 밝히는 비밀! 두 개의 한국사!
KBS 역사추적 팀.윤영수 지음 / 지식파수꾼(경향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국사를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좀 더 특정 짓자면 조선시대 초기를 넘어서 근세사까지) 여기엔 삼국시대 이야기도 섞여있다고 하고-또 몰랐던 사실들도 목차에 나와있는듯 해서 사보게 되었다. 

과연 1번째로 나온 신라 문무왕릉에 얽힌 시조의 비밀은 놀라운 것이었다. 문무왕 비석에 신라의 시조가 김알지가 아닌 투후 김일제로 기록되있다는 것! 역사를 추적해보니 이 사람은 흉노의 왕족 출신이라고 하며,그렇다면 신라 왕실은 우리나라가 아니라 흉노의 먼 후손일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그 과정이 개연성있게 나오니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물론 놀라운 일임은 당연한 거겠고. 

그외 궁중 요리사가 남자일수밖에 없던 이유-여자에 대한 편견도 편견이겠으나 그것보다는 궁중 요리 일이란 것이 의외로 고강도의 육체노동이라,여자의 몸으로 수행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려웠다는 점이다. 과연 여러가지 반찬과 밥에 왕과 왕비 및 대비들의 식사를 책임지다보면 육체적으로도 몹시 힘들었을터...... 

아울러 여러가지 다른 사실들도(특히 의자왕이 사실은 결사항전을 하려다가 부하 장수에게 배신을 당했고 자결까지 하려 들었다는 것) 놀랍고도 신선한 것들이었다. 사진은 조금 부실했다는 느낌도 들지만 내용이 훌륭하게 커버하고 있으니 괜찮았고. 

아무튼 간만에 어렵지 않고 즐겁게 읽을수 있는 책을 만난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