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홍 - 彩虹 : 무지개 ㅣ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표지가 상당히 특이하달까? 내용도 쉽게 볼수는 없는 거였다. 물론 역사적으로 유명한 문종의 두번째 세자빈 순빈 봉씨이긴 하지만 적어도 내가 아는 한 소설화된 것은 처음이니 말이다. 드라마에서야 (대왕 세종) 언급되었고 뿌리 깊은 나무에서도 잠깐 나오긴 했으나 그때는 주역은 아니었으니.
저자는 순빈에게 '난'이라는 아명을 지어주고 순빈이라기 보다는 봉빈으로 불러준다. 사실 순하다는 느낌의 순빈보다는 그녀의 역사적 행동이나 소설 속 묘사를 봐도 봉빈이 더 어울린다.
사랑받고 자라 더 아름답고 솔직한 성격의 봉빈-남편과도 당연히 그러리라 기대했으되 하필 문종은 사랑엔 관심이 없는 존재였던 것이 불행의 시작. 세종에게도 그런 문종은 옥의 티처럼 고민거리여서 휘빈 김씨를 가문과 덕성만 보고 골랐다면 순빈 봉씨는 아름다움을 우선시하여 골랐다고 한다. 그럼에도 역시 문종은 순빈조차 거들떠보질 않았으니...노력하고 노력해도 자신을 돌아봐주지 않는 남편에게 봉빈이 절망한건 당연한게 아니었을까? 아무리 시대가 그렇다해도.
물론 그렇다고 하필 그 시대의 죄악이기까지 했던 동성애까지 빠져든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긴 하다. 차라리 다른 일로 스트레스를 풀 것이지...아무튼 사랑에 솔직했던 그녀는 결국 역사에 알려진대로 폐빈의 길을 걷고 오라비들에게 살해당하기까지 한다.
작가분의 글 실력은 이미 미실에서 드러났듯 여기서도 뛰어나다. 역사에 (그나마 미실보다야 자료는 좀 더 있겠지만) 묻힌 이름조차 없는 순빈을 이렇게 되살려내다니 말이다. 다만 미실을 너무 뛰어나게 쓴 까닭인지 채홍에서는 그다지 '튀는' 느낌을 볼수 없다. 미실보다 낫다고 생각되지도 않고. 개인적으로 미실을 정말 재밌게 본만큼 그런 생각이 더할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괜찮은 소설이긴 하다. 앞으로도 역사에 묻힌 또다른 인물의 삶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