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노래

 

 

 

               눈이 오다 그치다 하는 나이,

               그 겨울 저녁에 노래부른다.

               텅 빈 객석에서 눈을 돌리면

               오래 전부터 헐벗은 나무가 보이고

               그 나무 아직 웃고 있는 것도 보인다.

               내 노래는 어디서고 끝이 나겠지,

               끝나는 곳에는 언제나 평화가 있었으니까.

 

               짧은 하루가 문 닫을 준비를 한다.

               아직도 떨고 있는 눈물의 몸이여,

               잠들어라, 혼자 떠나는 추운 영혼,

               멀리 숨어 살아야 길고 진한 꿈을 가진다.

               그 꿈의 끝 막이 빈 벌판을 헤매는 밤이면

               우리가 세상의 어느 애인을 찾아내지 못하랴,

               어렵고 두려운 가난인들 참아내지 못하랴.  (P.12 )

 

 

                                     - 마종기 詩集, <이슬의 눈>-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어서 내뱉는 시

                  내가 걷는 백두대간51

 

 

 

                시를 써서 그럭저럭 사는 사람들을 더러 본다

                신문에도 가끔 나오는 내가 아는 사람들을 본다

                아무래도 내 눈에는 모두 월급장이들같이 허덕이는구나

                월급장이 삼십년을 하다 물러나와서 보니

                나도 딴세상 사람 아니라 그대로 고단하기는 마찬가지

                지리산 세석고원 높은 벌판에 사는

                철쭉이거나 비바람 구름이거나 쥐새끼거나

                사람 사는 마을 들여다보는일 부질 없는 일

                나는 어느덧 이것들을 닮은 눈이 되어

                어디 숨을 만한 곳 찾아들어 빼꼼 밖을 내다본다

                세상의 발자국 소리 두려운 것이

                어찌 밤사람 또는 산사람들의 숨죽인 가슴뿐이랴

                시는 월급을 받지 않아야 하고

                날마다 출근 하지 않아 조금은 게을러야 하고

                그래서 아무래도 숨어서 내뱉어야 제격이다

                마음대로 꽃피거나 흐르거나 그냥 사라져버린다   (P. 95 )

 

                                                           -이성부 詩集, <지리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1-23 02: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3 18: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별, 아직 끝나지 않은 기쁨

 

                                            

 

 

                오랫동안 별을 싫어했다. 내가 멀리 떨어져 살고

               있기 때문인지 너무나 멀리 있는 현실의 바깥에서,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안쓰러움이 싫었다. 외로워

               이는게 싫었다.  그러나 지난 여름 북부 산맥의 높

               은 한밤에 만난 별들은 밝고 크고 수려했다. 손이  담

               길 것 같이 가까운 은하수 속에서 편안히 누워 잠자고

               있는 맑은 별들의 숨소리도 정다웠다.

 

 

                 사람만이 얼굴을 들어 하늘의 별들을 볼 수 있었던

                옛날에는 아무데서나 별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요즈음, 사람들은 더

                이상 별을 믿지 않고 희망에서도 등을 돌리고 산다.

                그 여름 얼마 동안 밤새껏, 착하고 신기한 별밭을 보

                다가 나는 문득 돌아가신 내 아버지와 죽은 동생의

                얼굴을 보고 반가운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사랑하는 이여,

                  세상의 모든 모순 위에서 당신을 부른다.

                  괴로워하지도 말고 슬퍼하지도 말아라

                  순간적이 아닌 인생이 어디 있겠는가.

                  내게도 지난 몇해는 어렵게 왔다.

                  그 어려움과 지친 몸에 의지하여 당신을 보느니

                  별이여 아직 끝나지 않은 애통한 미련이여,

                  도달하기 어려운 곳에 사는 기쁨을 만나라.

                  당신의 반응은 하느님의 선물이다.

                  문을 닫고 불을 끄고

                  나도 당신의 별을 만진다.  (P.94 )

 

 

                                                         -마종기 詩集, <이슬의 눈>-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3-01-22 23:23   좋아요 0 | URL
청춘에 불끈 힘이 되는 시군요. 저는 어쩌면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안쓰러운 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는지... 빛나는 별빛...
이 되길 바라며 좋은 밤 보내세요, 트리제님!

appletreeje 2013-01-22 23:46   좋아요 0 | URL
이 詩의 수신인은, 이진님보다 열 살정도 더 먹은 제자예요.
그리고 이 시는 제게도 여전히 적용되구요.*^^*

이진님! 빛나는 별빛 되세요~~^^
 

 

 

          文義마을에 가서

 

 

 

             겨울 文義에 가서 보았다.

             거기까지 다다른 길이

             몇갈래의 길과 가까스로 만나는 것을

             죽음은 죽음만큼

             이 세상의 길이 신성하기를 바란다.

             마른 소리로 한번씩 귀를 닫고

             길들은 저마다 추운 小白山脈 쪽으로 뻗는구나.

             그러나 빈부에 젖은 삶은 길에서 돌아가

             잠든 마을에 재를 날리고

             문득 팔짱끼고 서서 참으면

             먼 산이 너무 가깝구나.

             눈이여 죽음을 덮고도 무엇을 덮겠느냐.

 

             겨울 文義에 가서 보았다.

             죽음이 삶을 꽉 껴안은 채

             한 죽음을 무덤으로 받는 것을.

             끝까지 참다

             죽음은 이 세상의 인기척을 듣고

             저만큼 가서 뒤를 돌아다 본다.

             지난 여름의 부용꽃인 듯

             준엄한 正義인 듯

             모든 것은 낮아서

             이 세상에 눈이 내리고

             아무리 돌을 던져도 죽음에 맞지 않는다.

             겨울 文義여 눈이 죽음을 덮고 나면 우리 모두 다 덮이

            겠느냐.

 

                 * 文義: 忠北 淸源群의 한 마을. 지금은 大淸댐에 가라앉았다.  (P.49 )

 

                                               - 고은 시선 , <어느 바람>-에서

 

 

 

 

        시인의 말

 

 

 

         왜 시를 쓰느냐고 묻는다면 아직도 그 대답을 마련하지 못

        하였다.

         여기까지 오는 길 44년을 나는 어설픈 농부였고 새였고 울

        음의 무당인가 하였다. 그러는 동안 말이 종교였다.

 

         시가 오지 않으면 흙을 팠다. 흙 속에 시의 넋이 더러 묻혀

        있다가 내 몸에 떨며 들어왔다.

 

         바람이 부는 날 잔 터럭이 일어나며 나는 이내 가지 끝을 차고

        날아올랐다. 공중에 시가 여럿이 더 있었다. 스치다가 한둘은

        우연히 쪼아먹었다.

 

         자주 미쳤다.

 

         운다. 울음이나 졸졸 가는 도랑물이나 강물 그리고 천년 절

        벽 때리는 파도기둥이나 다 한 집안이다. 흰 포말의 춤, 시가

        거기에 함께 있더라.

 

         세상을 좀 넓히련다. 훨훨! 이승에만 걷혀 있지 않으련다.

 

                                                              /  2002년 8월 고은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3-01-21 19:32   좋아요 0 | URL
놀라워요. 트리제님은 시집을 하루에 한 권씩 읽으세요?! ㅎㅎ
고은 시인의 시는 역시 좋군요.

appletreeje 2013-01-21 20:21   좋아요 0 | URL
아니예요~~그양~~오늘 이 詩가 생각나서요.^^
제가 10대때부터 좋아한 시에요.
이진님! 좋은 밤 되시구요~~^^

2013-01-21 2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1 2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3 18: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4 15: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2 1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2 23: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집에 대문을 해 달다

 

 

 

           주말 낚시꾼의 차들이 새벽 두세 시에도

           마당으로 불쑥 들어서곤 했다

           선잠에서 깨어난 나는

           저 여가의 밀매꾼들과 싸우곤 했다

 

           계율 없이 경계를 무단으로 넘나드는 그들이

           한편으로 내심 부러웠으나

           이 빠진 궁합에서 비롯된 울화까지 덮어씌워

           그들에게 욕을 보였으니

           그들에겐 난데없는 봉변이기 십상이다

 

 

           세상의 모든 문들이 헐거운 몸으로 흘러 들어오지만

           그것들은 좀처럼 내 것이 되지 못하고

           덜컥거리기만 했으니

           득음은 요란하던 시절이다

           항간의 불화한다는 소문들이

           끝끝내 용서되지 않는 밤이 많았다

 

           세상을 향한 내 연민 때문에라도

           나는 서둘러 대문을 해 달기로 했다  (P.33 )

 

 

 

 

          아주 오래된 책

 

 

 

           밤에는 오래된 책을

           가까이 두고 읽는다

 

           황제가 북방 변경의 진중에서 썼다는 책에서 말하기를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라 한다

           탁자 위에 연초록 먼지가 자욱하니

           이 송홧가루는

           탁자에 착지한 시간의 흔적이다

 

           아주 오래된 책의 밑동에는

           잎새들이 흩어져 있다

 

           사람은 누구나 저 자신의 암자다

           물은 왔다가 가고

           구름은 일어났다가 흔적을 지우고 사라진다

           나는 암자에 웅크리고 앉아

           경계와 한계를 굽어본다

 

           암자 속에 또 다른 암자가 있고

           그 암자 속에 또 다른 누군가 홀로 웅크리고 앉아

           목판본의 오래된 내면을 들여다본다  (P.40 )

 

 

 

 

          순하디 순한 저녁

 

 

 

            고해성사를 막 끝낸 편안한 음색으로 저녁이 내린다 저희들

           끼리 소란스럽던 물오리들은 없다 순하디 순한 저녁이다 당신

           은 울혈이 잡히지 않은 목청으로 내게 누구예요? 라고 묻는다

           당신도 이제는 여기 없다 어느덧 어두워진 물은 내 곁에 와

           발목에 찰랑이며 복사뼈를 장난스럽게 툭툭 친다 물은 고요하

           게 저물어서 내게 묻고 싶은 것이다 당신 누구예요, 라고 목울

           대에 울컥 하고 자욱하게 번지는 겨운 슬픔에 내 몸이 기우뚱한

           다 화재로 전소되기 직전의 건물처럼 나는 위태롭게 물가에 서

           있다

 

           종일 네가 그리웠어, 라고 말하고 싶었으나

           끝내 말하지 못한다

           저녁이 그림자를 차곡차곡 개어

           내 호주머니에 넣어줄 때

           어떤 완강한 슬픔이 내 척추를 비튼다

           나는 저 물 속에 상어가 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내가 누구냐고?

 

           나,

 

           ...... (P.98 )

 

                                     -장석주 詩集, <물은 천개의 눈동자를 가졌다>-에서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3-01-20 19:05   좋아요 0 | URL
<겨우>를 읽고... 받은 감동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네요.
이 장석주가 고요가 깊으면 고요에 숨결을 묻고...하던 시인 맞지요?
시들이 다 좋네요... 아이 ㅠㅠ

appletreeje 2013-01-20 21:29   좋아요 0 | URL
예, 맞아요. '몽해항로'에 실린 <겨우>..겨우라는 부사로써만 발설될 수
있는 사랑이 있다면..겨우, 사랑을 견딜 수 있을 뿐이니까.
이진님의 詩에 대한 성향이 깊으시네요... 아이 ㅠㅠ
좋은 밤 되세요.*^^*

이진 2013-01-20 21:51   좋아요 0 | URL
트리제님...아이ㅠㅠ
굳밤 :D 이른 시간이네요. 몸이 좀 피곤해서 자러갈 참이었는데, 인사하려고 들렀어요.
좋은 밤, 새벽 차례로 보내시고 평안히 주무셔요.

appletreeje 2013-01-20 22:09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이진님도 편안하고 포근하게 꼬~~주무셔요~~^^

보슬비 2013-01-20 22:53   좋아요 0 | URL
정말 밤에 책이 더 잘 읽히는것 같아요. 왠지 책 읽어줘야하는데... 신랑 잠에 방해 될까봐, 저녁에는 요즘 책 잘 못읽고있어요. 여름에는 덥다고 거실에서 자더니, 겨울엔 추우니 거실에서 안자네요. ㅎㅎ

appletreeje 2013-01-21 09:43   좋아요 0 | URL
신랑 잠에 방해 될까봐..보슬비님의 고운 마음이
저의 오늘 하루를 열어 주네요~^^
진눈깨비가 내리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