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사과





안동 다녀오는 길에 문경에 들러

가을빛 환한 사과밭에 간 적 있었다.



맛보기로 내놓은 두어 조각 맛보고 나서

주인의 턱 허락받고

벌레 먹었나 따로 소쿠리에 담긴

못생긴 사과 둘 가운데 하나 집어 들고

한입 베어 물었지.

입에 물린 사과,

입꼬리에 쥐가 날 만큼 맛이 진했어.

베어 문 자국을 보며 생각했지.

사과들이 모두 종이옷 입고 매달려 있었는데

이놈은 어떻게 벌레 먹었을까?

주인 쪽을 봤지만

그는 다른 고객 쪽으로 몸을 돌리고 있었어.

혹시 이 세상에서 진짜 맛 들려면

종이옷 속으로 벌레를 불러들일

그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

제 몸 덜어내고

벌레 먹은 과일 소쿠리로 들어가야 하는가?

초가을 볕이 너무 따가웠다.

상자 하나를 차에 실었다.




_황동규 시집. <봄비를 맞다> 中






시인의 눈은 참 환하다. 히아신스의 開花나, 봉지를 뚫고 들어선 벌레 먹은 단사과의 짜릿한 단맛같이. 1968년 삼인 시집 '평균율' 동인, 황동규 시인, 마종기 시인과 함께 했던 김영태 시인의 표지 컷이 이 詩集을 더욱 다정한 얼굴로 맞이한다.









"나는 나에게 늘 반듯하고 실한 사과를 먼저 꺼내어 깎아주는 사람이 될 것이다. 아삭, 달큰한 사과 향이 퍼졌다."



사과 한 상자를 열면, 싱싱한 사과, 평균치의 사과, 멍든 사과 等이 섞여있을 것이다.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사과는 공장의 제품이 아니라, 제각각의 사정이 발생하고 있는 생물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할머니께서 항상 상한 것을 먼저 드시고 손녀에게는 가장 좋은 사과를 주신 기억을 되살린다.



나같은 경우에는, 우선 상한 사과가 다른 사과까지 상하게 할까봐 먼저 따로 골라 놓고, 사과잼을 하든 아무 생각없이 상한 부분을 도려내고 그 사과맛을 본 뒤에, 만족을 하면 제일 예쁜 사과들을 먼저 골라 예쁜 사람들에게 줄 것이다. 

'사과'는 '사과'다. 사과는 최선을 다해 열매를 맺었을 것이다. 사람의 삶도 '사과'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비님이 반갑게 오시는 날, 예산사과와인 추사 40도 500mm를 선물 받아 그냥 반가운 마음에, 사과 이야기를 마니또 친구에게 보내는 쪽지처럼 적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혼 유우사쿠 1
아베 야로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야식당‘ 아베 야로의 반가운 새 시리즈. 아무 생각도 하지 않고 망중한을 완벽하게 누리게 하는 冊. 그저 책장을 넘기다 보면 모든 상황의 즐거운 미미(美味)와 술들이 인생을 좀은 행복하게 한다네. 이름은 몰라도 얼굴은 알고 있는 조연 배우, 황혼 유우사쿠 씨와 함께. 작화(作畵)도 크고 시원해 더욱 마음에 든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철 행복 - 가장 알맞은 시절에 건네는 스물네 번의 다정한 안부
김신지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한 물을 식은 몸에 끼얹듯, 시원한 물을 더운 몸에 끼얹듯 ‘사계절‘만이 아닌 보름에 한 번씩 더해지는 ‘24절기‘의 생생한 숨결로 살아간다면, 어쩜 인생도 살맛으로 풍성해질 것이다. 다산 정약용이 만든 문예 모임 ‘죽란시사‘의 규약인 ‘죽란시사첩서‘가 몹시 반갑고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에 관한 오해
이소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존재의 모습과 이름만 아는 것보다는, 존재의 내력까지 알게 된다면 같은 생명으로서 ‘관계의 확장성‘이 한층 돈독해지지 않을까. 책장정도 내용도 지극히 아름다운 이冊은, 식물에 관한 ‘오해‘에서 ‘이해‘로 치환해 주며 우리의 삶을 더욱 풍부한 삶으로 나가게 안내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년 5월 31일(금)




이곳은 나의 성이다. 착한 물고기들이 조용하게 살고 있고, 작은 식물들이 저마다 자신의 생의 리듬대로 푸른 잎들을

돌돌돌 펼치고 있는 곳. 



























오늘도 성게알 단새우 감태 삼합과 스시를, '처음처럼'을 살짝 연한 설탕물처럼 하염없이 마시는 그저 그런 날.

김미옥 님의 '감으로 읽고 각으로 쓴다'는 재야의 고수란 명성답게 단단하고 야무진 견과류처럼 가차없이 날리는 땅콩같이 고소하고 유용한 책이고,

'살 것만 같던 마음'은 지독한 生에 對한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反語法이며, 강봉희 님의 책은, 우리 모두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