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간 아래 사람

 

 

 

 

 

     난간에 서서 아래를 볼 때

     당신은 난간 아래에서 운다.

 

 

     거리엔 피 없는 자들이 활보하고

     아아, 이럴 수는 없지!

     당신은 연옥에서 깃발로 펄럭인다

     펄럭이는 것들은 울음,

     손톱은 비통(悲痛)에서 돋은 신체다.

 

 

     당신이 난간을 붙든 채 서 있고

     나는 난간 아래 사람,

     나는 머리칼을 짧게 자르고

     당신은 나를 모른다.

 

 

     우울은 슬픔의 저지대(底地帶)다.

 

 

     푸른 벽에 못 박힌 달!

 

 

     꿈길 밖에 길이 없어 바다 속으로

     침수한다면,

     물속에서 누가 울고 있습니까?

     당신도 무섭습니까?  (P.16 )

 

 

 

 

 

 

 

          노래가 스미지 못하는 속눈썹*

 

 

 

 

 

       선량한 사람들의 소규모 살림살이,

       목청 좋은 시냇물과 종달새의 소리 없는 노래,

       한 줄로 오는 저녁을 바라보는

       벙어리들,

 

 

       꽃 지는 밤에 꽃 지는 걸 보는

       모자(母子)의 미약한 슬픔,

       쥐려고 해도 쥐어지지 않는

       한 줄 수평선,

 

 

       이건 노래,

       노래라도 지천인 노래는 아니고

       뻘에 묻힌 천년 침향 같이

       깊고 슬픈 노래,

 

 

       오직 한 사람을 위해 부르는 노래,

       속눈썹 파르르 떨며 맞는 노래!  (P.61 )

 

 

        * 파울 첼란의 시구에서 제목을 따왔다.

 

 

 

 

 

 

           광인들의 배*

 

 

 

 

 

        궁륭(穹㝫)을 떠 가는 배,

        광인들이 탑승한 배 위에 우리는

        서 있다, 이 혼돈의 바다

        한 가운데, 그 새벽 거리에

        쓰레기 수거차와 취객들, 비둘기떼와 함께,

        우리가 견딘 것은 한 줌의 편두통,

        공무원들의 직무유기와 인공 조미료와 진부한 악들,

        여자의 거짓말과 얇은 우울들,

        제 꼬리를 물고 미쳐 버린 개들,

 

 

        뼈를 갖고 시를 쓰는 당신,

        지금은 담배를 길바닥에 버리는 사람,

        콘크리트 벽에 머리를 기댄

        우리를 빚은 건 달빛과 물,

        어깨와 어깨 사이로 모래바람이 불어 가지.

        먼지거나 물이 아니라면 무엇이겠나?

        강건한 호랑가시나무는 멀리 있고

        우리가 먼 곳에서 돌아올 때

        찬 물결 일렁이고 동이 터오지.

 

 

        자주 머리가 아파!

        관자놀이를 닿는 차가운 총구(銃口),

        더러운 양말을 뭉쳐 입을 막아!

        비명이 새 나오지 않게!

        오후에는 동물원에서 빈둥거리며 시간을 보내볼까?

        양귀비를 사들고 요가를 하는 애인에게 가서

        멜론을 먹으며 생일을 축하할까?

        긴 휴가를 받아 북해(北海)로 떠날까?

        계단들은 새 계단을 낳고

        오늘 죽은 자들은 어제의 한숨을 쉬지.

 

 

        지금은 수탉이 우는 시간,

        서리 밟는 호랑이와 경쟁하는 물들,

        여기는 진창이야.

        당신과 내가 서 있는 여기가 막장이야.

        진흙, 진흙, 진흙!

        당신은 손에 도살자의 피를 묻히지 않았잖아.

        진창에 뿌리를 내려 꽃피는 식물도 있어.

        우리는 연꽃이 아니잖아?

        연꽃이 아니면 호랑가시나무로 살아야지!

        저 착한 나무짐승!

        호랑가시나무는 칼바람에 살갗이 터져

        온몸에 가시 꽃을 두른 채

        진흙 햇빛 진흙 강 무간지옥(無間地獄)에서

        한 줌 햇빛을 탁발하겠지.

 

 

        어둠 속에서 떠가는 배 한 척.

        배는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배의 갑판에서 웃고 있는 한 사람.

        저 웃고 있는 자는

        광인인가, 혹은 착한 이웃인가?

 

 

        노숙자들은 아직 깨어나지 않았어.

        문 안에서 먹고 자는 이들은

        노숙자들이 얼마나 저유로운지 모르겠지.

        우리를 퇴화시킨 건 무지와 신념이야.

        지옥에서 헤매게 놔둬.

        제 신앙심 부족을 가슴 치며 후회하도록 놔둬.

        사랑의 그림자를 견디고

        우리는 구백구십팔 번 째의 실패에도 꿋꿋하지.

 

 

        진흙에 뿌리를 묻었다 해도

        호랑가시나무와 함께

        눈은 성간(星間) 우주의 숨은 별들을 보자.

        구백구십팔 번의 실패와 천 번의 실패 사이에

        우리는 서 있지, 아무것도 바랄 게 없다.

        무릎 끓는 건 마른 갈대의 일.

        쓰러질 때마다 일어서는 것.

        솟구쳐 일어섬만이 우리의 일인 것을!

 

 

        가장 먼 곳을 스쳐가는

        광인들의 배여,

        안드로메다 대은하 M31 은 여기서 얼마나 먼가.

        별자리와 함께 움직이자.

        아직 우리는 무엇인가.

        아직 우리는 무엇이 아닌가.  (P.33 )

 

 

          * 이 시의 제목은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그림 제목 [광인들의 배 The Ship of  Fools]

          (1490-1500, 루브르 박물관 소장)에서 빌려온 것이다.

 

 

 

 

           -장석주 詩集, <일요일과 나쁜 날씨>-에서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2-13 23: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5-12-14 00:14   좋아요 0 | URL
아, 마침 일요일이 저무는 하루로군요.
그나저나 어제오늘은 전라남도도 서울도
모두 `나쁜 날씨`는 아니었고 `좋은 날씨`였지 싶습니다.
새로운 한 주도 즐거운 날로 기쁘게 누리셔요 ^^

appletreeje 2015-12-14 10:49   좋아요 1 | URL
월요일이 되었네요.^^
숲노래님께서도~ 새로운 한 주
즐거운 날로 기쁘게 누리시길 바래요 ^^

2015-12-14 0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0: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0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0: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1: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18: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19: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5 22: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7 16: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7 19: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고화정담 - 간송미술관의 다정한 그림 간송미술관의 그림책
탁현규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선물로 감사히 읽고, 나도 친구한테 선물하려 다시 구매한 책이다. 조선 진경시대의, 사군자 영모 진경산수 풍속 도석이, 윤득신 심사정 윤두서 정선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무엇보다 중국풍이 아닌 조선사람의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제목처럼, 아름다운 옛그림의 다정한 이야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2-13 23: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4 1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닉네임 전성시대

 

 

 

 

 

          먼 옛날에는

          호(號)나 자(字)를 썼었지

          지금은 에스엔에스나

          아이디에 별칭이 따로 있지

          나의 닉은 무엇이라 지을까

          한참을 궁리하다

          힘든 세상이라

          강호의 웃음을 잃지 않는,

          소림강호(笑林江湖)라 지었지

          강이나 호수의 물을 퍼담지는 못해도

          냉수 한 사발 뜰

          그릇 하나는 간직하며,

          인형과 인간이 공존하는 곳

          중심을 지키는 모습되기

          가상의 공간,

          세상에 휘둘리지 않도록

 

          얼굴 없는 영혼의

          전성시대

          실명에 금이 가지 않도록  (P.13 )

 

 

 

 

 

 

 

            국수를 말다

 

 

 

 

 

             나이 숫자만큼 면 가락을 빼내어

             냄비에 붓고 휘젓는다

             공기와 힘의 회전이 생명이다

             얇은 국수가 성질도 얇진 않을 거란 생각을 한다

             쫄깃한 인생과 퍼진 생이 한순간이다

             국수처럼 길고 가늘게 먹는 생활이

             한밑천이라 한다

             재빨리 넘어가는 것은 국물이다

             살다보면

             국물의 힘도 밑거름이지

             얇지만 긴 그것이 얼마나 힘이 있으랴

             백합처럼 하얗게

             익은 국수가 센 입김에도 부러지지 않는다

             그 생애만큼 엉키고 감겼던

             인생들을 읽어본다

             구수한 향만 나지 않았으리라

             뜨거운 물과 찬물을 오가야만

             오묘한 끈기를 내는 맛,

             그렇구나, 그렇구나

             생(生)은 국수처럼

             뜨거움과 차가운 것이 서로

             교차하는 탱탱한 줄다리기구나  (P.14 )

 

 

 

 

               -임낙균 외 지음,<닉네임 전성시대>-에서

 

 

 

 

 

 

 

 

 

 

 

 

 책머리에

 
<시와 여백〉 동인들의 엔솔로지가 어느새 6번째 생일을 맞이하였습니다. 이는 동인들이 『시문학』과 『문예 감성』 등의 문예지를 통해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해온 결실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지난 세월을 짚어보니 동인들의 작품 활동이 주로 탈경계의 담론으로 전개되어 온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탈경계.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만 보아도 이제 무역협정이 국가 간, 지역 간의 경계를 넘어 탈경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볼 때, 세계가 ‘경계-탈경계-경계-탈경계’ 등으로 새롭게 묶여져 감을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이버 머니 은행 등이 생기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의 경계가 새롭게 재편되고, 전문 영역 간의 탈경계가 이루어지면서 문학에서도 탈경계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순수소설과 대중소설의 경계가 없어지면서 중간 소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탈장르화가 진행되면서 시에 소설적인 스토리와 대사, 수필적인 산문율, 희곡적인 구성이 원용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가운데서 〈시와 여백〉동인들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물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무선 상상(無線想像)이나 컨시트의 기법에 관심을 가지기도 하였습니다. 동인들의 관심은 공간으로 따지면 시골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골은 자연과 도시가 탈경계로 만나 독특한 공간을 이루는 곳이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자연미와 인공미가 만나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이는 미래에 인간이 현실과 상상을 어떻게 가로지르기 하며 아름다운 마음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시와 여백〉은 『시문학』 『시와 반시』 『애지』 『현대시』 등의 문예지를 내는 출판사에서 동인지를 출간해 왔습니다. 이는 경계를 넘어 포월적 시선?현실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 사물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시선?으로 사물의 본질을 모색하는 탈경계적 태도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6년을 서로의 인간미를 챙기며 지속하여 온 동인들의 한결같은 끈기에 박수를 보내며, 탈경계의 정신이 영원으로 나아가기를 기원하여 봅니다. 행복합니다.

 

 

 

 

 

 

 

 

 

 

 


 

 

 

 


댓글(26)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2-08 23: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8 23: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5-12-08 23:43   좋아요 3 | URL
아무도 댓글 안달았네. 빨리 달자. 1등하려면 빨리 달자. 헥헥.ㅋㅋ

국수를 말다, 이 시 참 근사합니다. 핑크빛 글씨랑 잘 어울려요. 누가 쓴 시인가요?

appletreeje 2015-12-08 23:54   좋아요 3 | URL
아이쿠, 이런 황공할 수가 있을까욤~ 우리 컨디션님의 호흡을 가쁘게 하다니요~

국수를 말다, 근사하지요~?^^ 이 詩는 2015년 <시와 여백> 작가회 대상 수상자인
임남균 님의 시입니담~~

컨디션 2015-12-08 23:43   좋아요 3 | URL
아, 이럴수가.. 2등이라니..ㅠㅠ

appletreeje 2015-12-08 23:56   좋아요 3 | URL
흑흑흑, 이럴수가...소인은 그저...눈물이 앞을 가릴뿐입니다..ㅠㅠ
고맙습니닷.

2015-12-09 00: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9 0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장소] 2015-12-09 00:16   좋아요 2 | URL
저는 그럼 ㅡ장려 ㅡ인걸로 ^^

appletreeje 2015-12-09 00:57   좋아요 2 | URL
ㅋㅋㅋ, 그장소 님의 사랑스러운 멘트~ 감사드립니당~~
편안하고 좋은 밤, 되세욤~~~ ^-^

커피소년 2015-12-09 00:55   좋아요 1 | URL
안녕하세요. appletreeje님 제 글에 좋아요를 많이 눌러주셨지요. 감사드립니다.

appletreeje 2015-12-09 00:59   좋아요 2 | URL
안녕하세요. 김영성 님~~ 워낙 좋은 글들을 올려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편안하고 좋은 밤~ 되십시요.*^^*

숲노래 2015-12-09 02:10   좋아요 0 | URL
곰곰이 돌아보면,
옛날에는 `한문 쓰던 이`만 자나 호를 썼고,
흙을 만지는 사람은 `이름`만 썼어요.
닉네임이든 무엇이든,
이러한 이름은
내가 나한테 스스로 붙이는
가장 사랑스러운 이름이리라 느껴요.

appletreeje 2015-12-09 08:49   좋아요 1 | URL
먼 옛날 `한문 쓰던 이`들이 자나 호를 썼듯,
SNS 세상에서 우리는 숲노래님이나 저나 다른 분들처럼
태어날 때 받은 이름 외에, 닉네임을 통하여
정말, 내가 나한테 스스로 붙이는 사랑스런 이름을 지으겠지요.ㅎㅎ

2015-12-09 1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9 15: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9 11: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9 16: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단발머리 2015-12-09 13:37   좋아요 0 | URL
<닉네임 전성시대>, 시 너무 좋은대요.
저도 요즘에 시집 풍년이라 시집을 쌓아놓고 읽고 있는데, 아무래도 ㅎㅎㅎ
나도 모르게 시집은 성경 볼 때처럼 정좌하고 앉아서 읽어야할 것 같구요.
소설은 막 누워서 펼쳐읽고 하잖아요.

그래서.... 진도가 안 나가고 있어요.
님 페이퍼 읽고 나니 이 시집도 읽고 싶어져 저는.... 바빠졌답니다.

from 시집 읽기 바빠진 단발머리

appletreeje 2015-12-09 16:13   좋아요 1 | URL
<닉네임 전성시대>, 시 저도 참 좋아서 올렸는데~ 단발머리님께서도
함께 좋아해주시니~ 고맙고 감사합니다~~
제게도 시집은 늘 풍년인데~ 가장 조용한 시간에 대부분 앉아서 읽지만
뜨끈한 전기장판에 배 깔고 누워서도 읽고 벌렁 등 대고 누워서도 읽어욤.ㅋㅋ
언제 나중에 기회가 되시면 함 읽어보셔요~

from 함께 시집 읽기 바쁜 나무늘보 ^^

2015-12-09 18: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9 19: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0 1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2 04: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1 19: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2 05: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별이 빛나는 크리스마스 신나는 새싹 23
소피 드 뮐렌하임 글, 에릭 퓌바레 그림, 권지현 옮김 / 씨드북(주)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없이 고요하고 잔잔한 이 책을 읽으며, 또 다시 눈물을 글썽였다. 서로를 원수처럼 여기는 두 부자들이, 본의 아닌 우연한 경쟁심에.. 헐벗고 굶주린 두 아이에게 행한 선의(?)가 피어날 때마다, 깜깜한 밤하늘에 빛나는 밝은 별들이 태어났다.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책.^^

댓글(26)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2-04 23: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4 2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00: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08: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4: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8 00: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8 0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01: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09: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5-12-05 09:38   좋아요 0 | URL
하늘에 별이 빛나는 까닭이 다 있겠지요

appletreeje 2015-12-05 10:00   좋아요 1 | URL
사람들마다 제각기~
하늘에 별이 빛나는 까닭이 다 있겠지요.^^

2015-12-05 12: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19: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5-12-06 16:03   좋아요 0 | URL
(위에 서니데이님 댓글을 읽고나서 다는 댓글)

트리제님, 오늘은 일요일이예요. 거의 다 지나고 있는 일요일요.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제 곧 크리스마스트도 다가오는데 트리는 장식하셨나요. 별이 빛나는, 이란 말도 아름다운데 거기다 크리스마스라니.. 제목만으로도 울컥.ㅠㅠ

appletreeje 2015-12-07 09:08   좋아요 1 | URL
(위에 서니데이님 댓글을 읽고나서 다는 댓글 2)

컨디션님, 오늘은 월요일이예요. 새롭게 시작하고 있는 월요일요.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제 곧 크리스마스트도 다가오는데 아이들이 장대처럼 커버려서
트리 장식도 안하고 등짝만 시려오네요.ㅎㅎ
예~ 별이 빛나는, 이란 말도 아름다운데 거기다 크리스마스라니...
정말 왠지 울컥합니담..^^
기분 좋은 월요일, 즐거운 한 주 되세욤~


2015-12-06 18: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09: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5: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7: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7: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7 17: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8 21: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8 23: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1 16: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2 05: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곳에 한 아이가 있었다 어린이작가정신 어린이 문학 10
레아 필리기 지음, 강효원 옮김, 이인아 그림 / 어린이작가정신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1885년 5월 31일 아이다호 교도소에, 열 살 제이크라는 아이가 들어 왔다. 이 책을 읽으며 여러 번 눈물을 글썽였다. 참 이런거구나, 사람에 대해서는. `그곳이 어디든`, `어떤 사람들이라도` 마음을 모아 작은 아이 하나를 키우는 것. 그런데 세월호의 우리 아이들이 생각나 또 한번 눈물이 났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2-04 2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00: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01: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09: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살리미 2015-12-05 08:02   좋아요 2 | URL
아... 추운 겨울에 너무 따뜻한 이야기네요!!

appletreeje 2015-12-05 10:11   좋아요 2 | URL
예~추운 날씨인데, 마음 따뜻해지는 이야기였어요!!^^

2015-12-05 1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05 1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2-11 19: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