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ㅣ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추리소설이 갖는 의혹의 중층구조라든가 대중적 흥미를 자아내는 요소들을 고루 배치하여 사건속에 독자를 매몰시키는 작품이다. 화자인 의금부 도사 이명방을 중심으로 ‘열하일기’를 작품의 핵심 제재로 하여 등장인물과 당시대의 배경, 사건의 재미, 그리고 넌지시 권하는 고전의 소개에 이르기까지 자연스럽게 융합하고 연결되어 오늘의 우리에게 거시적인 문명사적 인식을 선사한다.
작품 곳곳에 등장하는 열하(熱河)로 상징되고 대표되는 당시 실학파 인물들의 작품집들이 열거된다. 조선후기 인문학 사전을 방불케 하는 작가의 권유가 낯설지만은 않다. 이 작품을 꼼꼼하게 집어준 조선조 한문학을 친근하게 소개하고 있는 안대회 선생에게 고마움을 표하는 ‘작가의 말’에서와 같이 우리에게 생경한 한자어(용정호목, 몽롱춘추등)와 고어, 그리고 원전(原典)의 소개에 이르기 까지 우리의 고전들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느끼게 한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개혁과 노론 기득권계층간의 어두운 투쟁이라는 거대한 시대적 사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군왕은 군왕만의 편”일 뿐이다는 인식과 같이 어느 계층이나 세력에 치우친 것은 아니라는 이해를 펼친다. 군왕 정조의 종친인 의금부 도사 이명방이 열하일기가 상징하는 북학에 대한 실사구시와 새로운 문풍인 패관소설(稗官小說)과 소품(小品)을 추구하는 현실의 문체(文體)를 주창하는 신진세력의 중심인물로서 이덕무, 박제가, 박지원, 유득공등과 친교하는 세력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또한, 사적으로도 많은 비판적 주제가 되고 있는 정조(正祖)의 군사론(君師論)의 요체로서 친왕세력의 육성과 개혁이론의 전파를 위해 설치한 규장각을 무대로 하였다는 측면에서 자못 흥미롭고 지적 열망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당시 청이라는 선진적 문명의 창구역할을 하던 연경의 방문을 통해 접한 그 새로움의 세계는 민중에게 가히 환호를 불러일으킬 만 한 대세적 충격이었을 것이며, 이에 실리적이고 대중적인 삶에 더욱 가까이 하는 소설적 문체와 사실주의적 표현기법을 사용한 작품의 등장은 기존의 사대부들에게는 기득권 유지에 심각한 도전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작품은 이렇듯 밀려오는 개혁의 밀물에서 일어나는 왕과 기득권 세력과 신진개혁 세력과의 아슬아슬한 줄다리기를 연쇄살인사건이라는 추리물로서 흥미롭게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있다. 독자들은 범인을 쫓느라 어느새 상권을 읽어치우고 하권의 중반을 달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 할 것이다. 기막힌 반전, 반전이라는 언어로 가당키나 할까? 그 재미에 푹 빠져 컥! 하고 손뼉을 칠만큼 카타르시스를 전해줄 것이다. 완벽하다할 소설적 구성과 작품의 사적가치, 그리고 친절한 작품소개에 이르기까지 그냥 지나쳐 버릴 곳이 없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