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하루아침에 사실에 근거해 세계를 바라볼 수 있을까?
큰 변화는 언제나 상상하기 힘들다. 하지만 분명히 가능하며, 나는 두 가지 단순한 이유에서 그러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정확한 GPS가 길 찾기에 더욱 유용하듯 사실에 근거한 세계관은 삶을 항해하는 데 더욱 유용하다. 그리고 어쩌면더 중요한 둘째 이유는 사실에 근거해 세계를 바라볼 때 마음이더 편안하다는 것이다. 대단히 부정적이고 사람을 겁주는 극적인시각에서 벗어나 사실에 근거해 세계를 바라보면 스트레스와 절망감이 적다.
그런 시각으로 바라보면 세계는 생각만큼 그렇게 나쁘지 않다.
그리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은 여느 공간과는 다르다. 무엇보다도 입체적이다. 
나무들이 당신을 에워싸고 위에서 짓누르며 모든 방향에서 압박한다. 경치를 가로막고 당신이 어디 있는지 분간하지못하도록 한다. 당신을 왜소하고 혼란스럽고 취약하게 해놓은 다음, 마치 낯선 사람들의 무수한 다리 사이에서 길을 잃은 아이가된 것처럼 느끼게 만든다. 사막이나 초원에 서면 광활한 공간에 놓여 있음을 알게 된다. 반면, 숲에 서면 당신은 오직 그걸 감지하는게 고작이다. 숲은 거대하면서도 특징 없는, 게다가 어디가 어딘지모르는 공간이다. 
그리고 그들은 살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햄프셔 주의 작은 마을로 이사한 지 얼 마 안 돼 우연히 마을 끝에서 숲으로 사라져 가는 길을 발견했다.
흔히 마주칠 수 있는 그런 길이 아니었다. 그 유명한 ‘애팔래치아 트레일‘ 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충실성은 (국민, 국가, 종교, 문화를 포함해) 많은 것이 변화가 느린 탓에 늘 똑같이 보일 수 있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비록 사소하고 느린 변화라도 조금씩 쌓이면 큰 변화가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것이다.
운명 본능을 억제하려면 더딘 변화도 변화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 점진적 개선을 추적하라  매년 일어나는 작은 변화가 수십 년 쌓이면 거대한 변화가 될 수 있다.

 인간의 발전을 수치화하는 것에 큰반감을 보이는 사람도 많다. 그럴 만도 하다. 수치는 지구에서 벌어지는 삶의 이야기를 모두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치 없이세계를 이해할 수 없지만, 수치만으로 세계를 이해할 수도 없다.

 사실충실성은 단일 관점이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봐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현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단일 관점 본능을 억제하려면 망치가 아닌 연장 통을 준비하라.

사실충실성은 지금 희생양이 이용되고 있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개인을 비난하다 보면 다른 이유에 주목하지 못해 앞으로 비슷한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는 데 힘쓰지 못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비난 본능을 억제하려면 희생양을 찾으려능 생각을 버려라.

• 악당을 찾지 말고 원인을 찾아라
• 영웅을 찾지 말고 시스템을 찾아라

사실충실성은 지금 그 결정이 다급하게 느껴진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다급히 결정해야 하는 경우는 드물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다급함 본능을 억제하려면 하나씩 차근차근 행동하라.

· 심호흡을 하라 
• 데이터를 고집하라 
 · 점쟁이를 조심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충실성은 (크든 작든) 그 수가 인상적으로 보이지만 달랑 하나뿐이라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그 수를 관련 있는 다른 수와 비교하거나 다른 수로 나눴을 때 정반대 인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크기 본능을 억제하려면 비율을 고려하라.

• 비교하라 큰 수는 항상 커보인다. 수치가 달랑 하나만 있으면 오판하기 쉬우니 의심해야한다. 항상 비교하라. 어떤 수로 나눠보면 더없이 좋다.
• 나눠라 총량과 비율은 완전히 다른 이야기다. 비율이 의미가 더 크다. 크기가 다른 집단을 비교할 때는 더욱 그렇다. 특히 국가 간, 지역 간 비교에서는 1인당 수치를 구해보라.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설명은 범주를 이용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그 범주가 오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일반화는 막을 수 없어서, 억지로 막으려 하지 않는 게 좋다. 대신 엉터리 일반화를 피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일반화 본능을 억제하려면 내 범주에 의문을 제기하라.


• 집단 내 차이점을 찾아보라 특히 집단이 클 때는 더 작은 집단으로, 더정확한 범주로 나눌 방법을 찾아보라. 그리고………· 집단 간 유사점을 찾아보라 서로 다른 집단 사이에서 매우 비슷한 점을발견하면 내 범주가 적절한지 점검하라. 아울러…….
• 집단 간 차이점을 찾아보라 한 집단에 해당하는 것이 다른 집단에도 해당한다고 단정하지 마라.
‘다수‘에 주의하라 다수는 절반이 넘는다는 뜻일 뿐이다. 언뜻일 뿐이다. 언급한 다수가 51%인지, 99% 인지, 그 중간쯤인지 질문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