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커튼이 드리워지듯 하늘에서 부슬비가 자욱하게 내렸다.
끼룩끼룩 음을 고르던 바닷새들은 입을 다물고 바다도 잠잠해졌다. 객석 조명처럼 바다를 비추던 빛은 회색으로 흐릿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PET 스캔을 받으러 갔지."
그가 말을 멈추고 담배를 입에서 빼내고는 이를 악물었다.
내 인생 대부분이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 앞에서 울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데 소모되었기 때문에 어거스터스가 뭘 하고 있는지 잘 알았다. 이를 악문다. 고개를 든다. 사람들이 내가 우는 걸 보면 상처받을 거라고,내가 그들의 삶에서 ‘슬픔‘이라는 존재밖에는 되지 못할 거라고, 단순한‘슬픔‘으로 전락할 수는 없으니까 울어서는 안 된다고 스스로에게 말한든 울음을 삼키고서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쳐다보고 미소를 짓는다.
 그가 비뚜름한 미소를 짓고서 말했다.

우리의 작은 무한대에 대해 내가 얼마나 고맙게 생각하고 있는지 말로 다할 수가 없어. 난이걸 세상을 다 준다 해도 바꾸지 않을 거야. 넌 나한테 한정된 나날 속에서 영원을 줬고, 난 거기에 대해 고맙게 생각해."

나도 좋아, 어거스터스
나도 좋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 말이죠. 그런 거예요. 그러니까 수류탄 같은 거라고요, 엄마, 전 수류탄이고 언젠가 터져 버릴 테니까 사상자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싶다고요. 아시겠어요?"
아빠가 마치 혼이 난 강아지처럼 고개를 옆으로 살짝 기울이셨다.
"전 수류탄이에요. 그러니까 그냥 사람들에게서 떨어져서 책을 읽고생각을 하고 두 분이랑 함께 있고 싶어요. 두 분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것만은 어떻게 할 수가 없으니까요. 두 분은 저에게 너무 많은 걸 쏟아부으셨어요. 그러니까 그냥 제가 이러게 놔둬 주세요. 네? 전 우울한 게 아니에요. 더 자주 나갈 필요도 없고요. 그리고 전 절대로 일반적인 십대가 될 수 없어요. 수류탄이니까요."

아빠는 내 책상 의자에 앉아 눈물을 흘리지 않고서 말씀하셨다.
"넌 우리에게 수류탄이 아니란다. 죽음을 생각하면 슬프지만, 헤이즐, 그래도 넌 수류탄은 아니야. 너는 근사해. 넌 모를 테지, 우리 딸, 아이를 낳아 그 아이가 영리하고 독서를 좋아하며 부수적으로 끔찍한 텔레비전쇼를 보는 취미가 있는 청소년으로 자라나는 걸 본 적이 없으니까. 하지만 네가 우리에게 준 기쁨은 우리가 네 병 때문에 느낀 슬픔보다 훨씬더 크단다."

어거스터스가 읽기 시작했다. 그가 읽는 동안 나는 잠이 드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랑에 빠졌다. 천천히, 그러다가 갑작스럽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NA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복제의 방법이다. 새로운 DNA 분자를 만들어야 할 시기가 다가오면, 나선을 이루는 두 개의 사슬이 재킷에 붙어 있는지퍼처럼 중간이 열리게 되고, 각각의 사슬이 새로운 짝을 형성하게 된다.
한 사슬에 붙어 있는 각각의 염기는 정해진 염기하고만 짝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사슬은 새로운 짝이 될 사슬을 만드는 주형(鑄型)의 역할을하게 된다. DNA의 한쪽 사슬만 가지고 있으면, 필요한 짝을 찾아서 다른사슬을 쉽게 만들 수가 있다. 한쪽의 가장 위쪽에 있는 가로대가 구아닌이라면, 짝이 될 사슬의 가장 위쪽 가로대는 사이토신이어야만 한다(구아닌G은 언제나 사이토신C과 결합하고, 티민T은 언제나 아데닌A과 결합한다). 그런 식으로 사슬을 따라 내려가면서 염기의 짝을 찾으면, 결국 새로운 분자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암호를 알아내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은 바로 그런 것이다. 다만 자연에서는 그런 일이 아주 빠르게 이루어진다. 놀랍게도 몇 초 만에 그런 일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DNA의 복제가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지지만, 100만번에 한 번 정도씩은 글자가 잘못된 자리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런 경우를 단일 염기 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그런 스닙들은 비(非)유전자 DNA 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몸에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가끔씩 문제가 되기도 한다. 어떤 병에 쉽게 걸리도록 만들기도 하지만 약간의 이득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보호기능이 우수한 색소를 만들어 주기도하고, 높은 곳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적혈구 세포를 더 많이 만들어주기도 한다. 세월이 흐르는 동안에 그런 작은 변화들이 개인은 물론이고 집단 전체에 축적되어서 두드러진 개성을 가지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쾨펜은 빙하기의 원인을 혹독한 겨울이 아니라 서늘한 여름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여름이 너무 서늘해서 일정한 지역에 내린 눈이 녹지 않게 되면, 들어오는 햇빛이 모두 눈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더욱 악화되면서 더 많은 눈이 내리게 된다. 그런 일은 계속 반복되게된다. 눈이 쌓여서 빙원이 만들어지면, 그 지역은 더욱 추워지고 얼음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빙하학자 권 슐츠에 따르면, "빙원이 만들어지는 것은눈의 양 때문이 아니라 눈이 녹지 않기 때문이다. 빙하기는 한 번의 이상 냉각으로 시작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은 눈이 열(햇볕)을 반사해버리면 냉각효과는 더욱 증폭된다. 맥피에 따르면, "그런 과정이 스스로 증폭되면, 멈출 수가 없으며, 일단 늘어나기 시작한 얼음은 움직이게 된다." 빙하가 확대되면서 빙하기가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일곱 살 겨울 후반에 엄마는 내가 우울증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아마도 내가 집에서 거의 나가지 않고, 침대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보내며, 같은 책을 읽고 또 읽고, 잘 먹지 않고, 내 어마어마하게 많은 자유시간 대부분을 죽음에 대해 생각하며 보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모든 구원이란 일시적인 거야. 난 그 애들에게 일 분쯤 시간을 벌어줬어. 그 일 분으로 한 시간을 더 벌 수도 있고, 그 한 시간으로 일 년을 벌 수도 있지. 아무도 그들에게 영원한 시간을 줄 순 없어, 헤이즐 그레이스. 하지만 내 인생이 그 애들에게 일 분을 벌어 줬어. 그건 무가치한 게아니야."
어거스터스가 쏘아붙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