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빈부를 결정하는 데 경제제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그 나라가 어떤 경제제도를 갖게 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정치와 정치제도다.
정치 및 경제 제도의 상호작용이 한 나라의 빈부를 결정한다는 것이 우리가 제시하는 세계 불평등 이론의 골자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문이 슬몃 웃더니 공손히 향로를 옮겨왔다. 내가 앉아 담배를 피우다가 행문에게 말했다.
"한 가지 화롯불인데, 방금 전 네가 향을 사를 때 연기는 향 연기가 되고, 이제 내가 담배를 피울 때 연기는 담배 연기가 되는구나. 앞의 연기와 뒤의 연기가 같은 연기는 아니니, 네가 말한담배 연기와 너의 향 연기가 서로 인연이 있겠느냐 없겠느냐?"
행문이 합장하고 대답했다.
손님께서 앞 연기는 앞 연기고, 뒷 연기는 뒷 연기라 하셨으니, 뒷 연기와 앞 연기가 무슨 인연이 있겠습니까?"
내가 말했다.
훌륭하도다. 앞 인연과 뒤 인연이 아무 인연이 없다면 저 뒷연기는 이 앞 연기의 생김새도 모르고 성명도 모르고 서로 아는사람도 아닐 터인데, 어찌 반드시 앞의 연기가 뒷 연기의 처지를 위해줄 것인가? 앞 연기가 향 연기요. 뒷 연기가 담배 연기든, 앞연기가 담배 연기요 뒷 연기가 향 연기든, 향 연기와 담배 연기는 각각 제 연기를 피울 뿐이니 어찌 반드시 뒷 연기가 앞 연기의 복을 아껴주겠는가?"
행문이 합장하며 가만히 탄식해 마지않았다.
- 이옥 <연경 煙經> 중에서 - P250

그저 주는 눈길에 사물은 결코 제 비밀을 열어 보이지 않는다. 볼 줄 아는 눈, 들을 줄 아는 귀가 없이는 나는 본 것도 없고 들은것도 없다. 워낙 환한 조명 속에 살다 보니 이제 우리는 좀체로 제 그림자조차 보기가 어렵다. 도시의 밝은 불빛 속에는 그림자가 없다. 그림자는 삶이 빚어내는 그늘이다. 그림자가 없는 삶에는 그늘이 없다. 녹슬 줄 모르는 스테인리스처럼, 언제나 웃고 있는 마네킹처럼, 0과 1 사이를 끊임없이 깜빡거리는 디지털처럼 그늘이 없다. 덧없는 시간 속에 덧없는 인생들이 덧없는 생각을 하다가 덧없이 스러져간다. 도처에 바빠 죽겠다는 아우성뿐이다.
- P279

천하에서 옛 법도에 따라 차례를 지켜 조금도 어그러질 수 없는 것에 계절의 차례만한 것이 없다. 하지만 2월에 있어야 할 절기가 정월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한 달 중에 단지 한 번의 절기만 있는 경우도 있고, 한 달 중에 세 차례나 절기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일 년 중에 입춘을 두 번 만날 때도 있고, 일 년 중에 입준이 없을 때도 있다. 또 일 년이 열세 달이 될 때도 있어, 해마다 달력이 같은 법이 없다. 내가 어릴 적에 군영에 순라하는 군사를 살펴보니, 4패로 나누어 각 패마다 장교 하나에 병졸이 넷이었다. 4패 뒤에 또 한 패가 있는데, 5패라고 부르지 않고, 별4패로 불렀다. 장교가 하나고, 병졸 또한 한 사람뿐이기 때문이었다. 내가 말했다. 이것이 바로 문장의 법이다. -홍길주
...
글쓰기가 같은 원리 위에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말을 이렇게 돌려서 했다. - P283

 그저 활자를 읽는 것만이 독서가 아니다. 글로 쓰는 것만 작문이 아니다. 글로 쓰여지지 않고, 문자로 고정되지 않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그럴 때 천하 사물은 명문 아닌 것이 없다.
- P298

 서둘러 내달려 정자 아래 수문에 이르렀다. 양편 산골짝 사이에서는 이미 고래가 물을 뿜어내는 듯하였다. 옷자락이 얼룩덜룩했다. 정자에 올라 자리를 벌여놓고 앉았다. 난간 앞의 나무는 이미 뒤집힐 듯 미친 듯이 흔들렸다. 상쾌한 기운이 뼈에 스미는 것만 같았다.
이때 비바람이 크게 일어나 산골 물이 사납게 들이닥치더니 순식간에 골짜기를 메워버렸다. 물결은 사납게 출렁이며 세차게흘러갔다. 모래가 일어나고 돌멩이가 구르면서 콸콸 쏟아져내렸다. 물줄기가 정자의 주춧돌을 할퀴는데 기세가 웅장하고 소리는 사납기 그지없었다. 난간이 온통 진동하니 겁이 나서 안심할수가 없었다. 내가 말했다.
"자! 어떤가."
모두들 말했다.
"여부가 있나!"
- 정약용 <유세검정기 遊洗劍亭記>중에서
- P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사합니다. 오영제 치과입니다."
승환은 전화를 끊었다. 상황의 윤곽이 잡히는 느낌이었다. 오영제와 팀장은 전혀 다른 의미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위태로웠다. 오영제는 살해당한 아이의 아빠였다. 충돌지점을 향해 폭주하는 자동차였다. 팀장은 범인일 가능성이 높았고 침몰하는 난파선이었다. 두 극점 사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게 어떤 일인지 도무지 짐작이 되질 않았다. 짐작할 만한 단서가 없었다. 그래서 무서웠다.
....

많은 것을 말하는 눈이었다. 분노와 두려움, 현실에서 자신을 탈출시키고자 하는 자의 절박함, 어둠으로 치닫는 자의 절망.
- P3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묘하기도 하구나! 이 인연이 하나로 모임은, 누가 그 기미를 알겠는가? 그대는 나보다 먼저 나지 않고, 나 또한 그대보다뒤에 나지 않아 나란히 한 세상에 살고 있고, 그대는 흉노처럼얼굴 껍질을 벗기지 않고 나도 남쪽 오랑캐같이 이마에 문신하지 않으며 함께 한 나라에 살고 있소. 그대는 남쪽에 살지 않고 나는 북쪽에 살지 않아 더불어 한 마을에 집이있고, 그대는 무(武)에 종사치 않고 나는 농사일을 배우지 않으며 같이 유학에 힘을 쏟으니, 이것이야말로 큰 인연이요 큰 기회라 하겠소. 비록 그러나 말이 진실로 같고 일이 진실로 합당하다면, 차라리 천고(千古)를 벗삼고 백세(百世)의 뒤를 의혹하지 않음이 나을 것 같구려.
- 박지원<여경보與敬甫>
- P219

꽃병에 11송이 꽃을 꽂아 팔아 동전 스무 닢을 얻었소, 형수님께 열 닢을 드리고, 아내에게 세 닢, 작은 딸에게 한 닢, 형님방에 땔나무 값으로 두 닢, 내 방에도 두 닢, 담배 사느라 한 닢을 쓰고 나니, 공교롭게 한 닢이 남았소. 이에 올려보내니 웃고 받아주면 참 좋겠소.
- 박지원<여무관 與무官> 이덕무에게
...

내가 마침 구멍난 창을 바르려 했지만 종이만 있고 풀이 없었는데, 무릉씨(武陵氏)가 내게 돈 한 닢을 나누어주는 바람에 풀을 사서 바르는 일을 마쳤다. 올해 귀에 이명(耳鳴) 이 나지 않고손이 부르트지 않는 것은 모두 무릉씨의 덕분이다.
- 이덕무의 답장
- P2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혹시 이른바 장차 올 후생이 과연 두려워할 만하다면, 뒤에송생과 같은 자가 또한 적지 않을 것인데 내가 또 무엇을 슬퍼하겠는가? 비록 그러나 설령 송생으로 하여금 더 오래 살게 하여 그 사업을 채우게 하였더라도 세상은 송생의 어짊을 오늘날처럼 알아줌이 없을 것이다. 그럴진대 비록 송생으로 하여금 오히려 살아 있게 하였더라도 한낱 궁한 선비가 되는 데 지나지 않았을 따름일 터이니, 내가 비록 슬퍼하지 않고자 해도 그럴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그 삶도 죽음도 모두 슬퍼할 만하여, 한결같이 슬프지 않음이 없으니, 내가 어찌 송생을 위하여 슬퍼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내가 송생을 슬퍼하는 것이 그 홀로 송생만을 슬퍼함이겠는가?
- 조찬한 <宋生傳> 중에서 - P165

내(茶山)가 황상에게 문사(文史) 공부할 것을 권했다. 그는 쭈뼛쭈뼛하더니 부끄러운 빛으로 사양하며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제가 세 가지 병통이 있습니다. 첫째는 너무 둔하고,
둘째는 앞뒤가 꼭 막혔으며, 셋째는 답답한 것입니다."
내가 말했다.
"배우는 사람에게 큰 병통이 세 가지가 있다. 네게는 그것이 없구나, 첫째 외우는 데 민첩한 사람은 소홀한 것이 문제다. 둘째로 글 짓는 것이 날래면 글이 들떠 날리는 게 병통이지, 셋째 깨달음이 재빠르면 거친 것이 폐단이다. 대저 둔한데도 계속 천착(穿鑿)하는 사람은 구멍이 넓게 되고, 막혔다가 뚫리면 그 흐름이 성대해진단다. 답답한데도 꾸준히 연마하는 사람은 그 빛이 반짝반짝하게 된다. 천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부지런히 해야 한다. 뚫는 것은 어찌 하나? 부지런히 해야 한다. 연마하는 것은 어떻게 할까? 네가 어떤 자세로 부지런히 해야 할까? 마음을 확고하게 다잡아야 한다."
- P182

황상은 도중에 스승의 부고를 듣고, 그 길로 되돌아와 스승의 영전에 곡을하고 상복을 입은 채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1845년 3월 15일 황상은 스승의 10주기를 맞아 다시 두릉을 찾았다. 다산의 아들 정학연(丁學淵)은 10년 만에 기별도 없이 불쑥 나타난 황상을 보고 신을 거꾸로 신고 마당으로 뛰어내려왔다. 황상은 이제 예순을 눈앞에 둔 늙은이였다. 꼬박 18일을 걸어와 스승의묘 앞에 섰다. 검게 그을린 얼굴에 부르튼 발을 보고 학연은 아버지 제자의 손을 붙들고 감격해 울었다. 그의 손에는 그 옛날 스승이 주었던 부채가 들려 있었다.
아들은 아버지가 그립고 제자의 두터운 뜻이 고마워, 늙어 떨리는 손으로 아버지의 부채 위에 시를 써주었다. 그리고는 정씨와 황씨 두 집안간에 계를 맺어, 이제로부터 자손 대대로 오늘의 이 아름다운 만남을 기억할 것을 다짐했다. 그 정황계안(黃契案))은 황상의 문집에 실려 있다.  - P193

매탕(梅宮) 이덕무(李德愁)가 한 번은 처마 사이에서 늙은 거미가 거미줄 치는 것을 보다가 기뻐하며 내게 말하였다.
"묘하구나! 때로 머뭇머뭇할 때는 생각에 잠긴 것만 같고, 잽싸게 빨리 움직일 때는 득의함이 있는 듯하다. 발뒤꿈치로 질끈밟아 보리 모종하는 것도 같고, 거문고 줄을 고르는 손가락 같기도 하구나."
- 박지원 <夏夜연記>
- P1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