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이다. 도저히 새벽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엏는 시간이다. 여태 안자고 뭐했느냐, 신고식을 치러라. 내면의 목소리가 조르고 조르니 난 그저 못이기는 척 해야한다. 이토록 기념비적인 불면이 언제 또 오랴. 간략하게라도 기록하지 않으면 내 머릿속 지우개가 갈짓자로 게걸음을 치다가 게거품을 물고 쓰러지는 활약상을 보여줄 게 틀림없다.

안자고 뭐햏냐면, 책을 읽었다. 찔끔찔끔과 홀짝홀짝 사이에서 말이다. 녹색평론 정기구독자를 패밀리로 둔 덕분에 나는 녹평을 거의 읽지않게 되는 부작용(이라 쓰고 작용으로 읽겠다)에 처하게 된지 꽤 되었다. 이런 내가 오늘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꼴랑 12쪽 분량의 글을 읽었다. 이문재의 `나를 위한 글쓰기 강좌(3)-관계의 발견, 의미의 탄생`이다. 이 글에서 그는 지그문트 바우만(들어보긴 했다)이 명명했다는 `액체근대` 라든가 최근 신경과학 분야 최고의 발견 중 하나로 꼽힌다는 `거울신경세포`와 <이야기의 기원>이라는 책에 나오는 `눈동자`의 의미 등등을 잠깐 언급했다. 이는,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써제끼다 보면 잘못된 양상의 글쓰기가 되기 쉬우니 당연히 경계해 마땅하다는 것을 일깨워주려고 인용한 이론적 예시인 셈이다. 관계지향성(타자와 함께하거나 타자에 대한)을 통한 새로운 의미의 글쓰기를 얘기하면서 막판에 결정적 팁을 던진다. 이른바 글쓰기의 3단계(생각하기-쓰기-고치기)와 3요건(명확한 문장ᆞ문단 구성ᆞ새로운 의미)이다. 이를 실행하기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은,주제문(핵심만 추린 단문형태)을 정하는 것과 동시에 개요를 짜라는 것이다. 마음 속 주제가 없다면 의미를 상실한 빈껍데기가 되기 쉽고, 개요(흐름이 보이는 밑그림)도 없이 무작정 덤벼들면 길을 잃는 건 시간 문제라서 퇴고는 커녕 이렇다할 초고 조차 손에 넣기 힘들다는 얘기였다.


아, 이럴려고 한 게 아닌데.. 이런 식이라면 신고식 두 번 했다가는 죽을지도 모르겠다.


아, 그리고 잠 안자고 한 게 한 개 더 있다. 식물도감을 펼쳐놓고 내가 본 풀과 꽃들을 하나하나 대조해서 이름을 맞춰봤다.(요즘 이거 하느라 머리를 조아리기도 하고 조지기도 한다)
이때가 아니면 안되는 거라서, 이 봄이 다 가기전에, 여름이 오기 전에, 봄의 풀꽃들이 다 지기 전에 해야 하는 일이라서 나의 하루하루는 꽉차도록 바쁜 와중에도 오장육부가 벅차도록 즐거울테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24 05: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4-25 01:14   좋아요 1 | URL
우와 엄청 일찍 일어나셨네요^^ 해가 뜨고 지는 일이 인간의 삶과 밀착되어 갈수록 하루의 질도 조금씩 나아지는 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오늘도 푹, 잘 주무시고 내일 상큼하게 맞이하세요^^

2016-04-25 01: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25 0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26 20: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4-27 18:52   좋아요 1 | URL
네, 어제 많이 더웠지요. 아니 더웠다고만 알고 있어요. 실은 꼼짝않고 집에만 있었거든요. 그제 아침에 일어나려는데 글쎄 목이 움직이지 않는거예요. 병원에 가는 대신 일을 안나가고 어제까지 푹 쉬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오늘은 목이 좀 돌아가네요. 완전히는 아니고 위아래좌우 조금씩요.^^ 오늘 비오네요. 오는 김에 밤새도록 푹 오고 낼 아침엔 화창하게 개었으면 좋겠네요. 잘 지내시길 바래요~ 늘^^

한수철 2016-04-27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농부의 일.. 같은 제목으로 틈틈히 기록을 하시고 계시겠지연?


즐찾에 있어서 왔습니다.

안녕히 계새연.^^

컨디션 2016-04-27 18:58   좋아요 0 | URL
틈틈이 기록, 그런 거 안한지 오래되었어요.ㅜㅜ

다만, 농부의 일..은 달력에 그날그날 적어놓고(농사일지를 겸하는 농사달력) 있지요.

즐찾,에 있으면 오고 없스면 아예 안가는.. 저는 이거에 능통한지 좀 되었다고 자부(?)하는데, 한수철님 단계는 잘 몰라서 ㅎㅎ

안녕히 계시라는 말은 안녕히 주무세요 보다 정나미는 없지만ㅋㅋ 더 재밌긴 하구만요^^
 

빈혈까진 아닐테고.. 왜 어지럽지? 빈속에, 그닥 땡기지도 않는(몰랐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꿀물을 마셔서 그런가? 속이 미식거리고 느닷없이 목뼈까지 아파온다. 아, 이런 소리나 하려고 아침부터 들어온 게 아닌데. 하고 싶었던 말은 비댓인데..

이 정신머리없는 내가, 실수로 비댓에 공댓으로 답해놓을 때가 있다. 북플로 들어오면 자주 이런다. 그리고 어떨 땐 일부러(일관성없이 그때그때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공댓으로 답할 때도 있다. 물론 이때는 정신 바짝 차려서 실명(누구누구님)을 생략한 채 답글을 한다. 오늘도(이번에도) 이런 일이 있어서 깜짝 놀라(아이고 우짠다냐 이 컨디션아, 를 외치면서) 화급히 수습(?)했고 그 여세(!)를 몰아 잠깐 끼적이고 나갑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23 11: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23 2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어라 와이파이 터지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부지방에 목련이 피었습니다. 도처에 피어난 꽃들이 있습니다. 서해 먼바다에 풍랑이 일고 있고 강원 산간지방에 서리가 내렸고 제주 앞바다에 이슬이 맺혔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13 0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13 14: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김영하의 말하다를 삼십여쪽 읽었다. 처음부터는 아니고 앞부분 중간. 술술 잘 읽혀서 좋긴 했지만 그게 문제가 아니었나 싶다. 새로운 게 별로 없어서 그렇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익숙한 전개, 익숙한 내용. 멘토링(?)화된 방식. 그리고 언어를 다루는데 능숙한 손놀림과 혀. 더 읽어봐야 알겠지만(이러니 저러니 해도 완독의 조짐은 보인다) 그러니까 배울 건 배울 거니까, 지금 현재의 이 느낌과는 달라지기를 기대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4-09 2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6-04-10 08:50   좋아요 2 | URL
네~^^ 잘 읽히는 이유가 있었네요. 강연을 정리한 구어체 문장. 이런 문장치고 막되먹은 건 없다지만 정신이 번쩍 드는 강렬한 임팩트도 없다는 게.. 그래서 나쁘다는 건 아니구요ㅎㅎ

2016-04-10 08: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