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면서 '경외심'을 느낀다는 건 처음이다.

내 평생에 '경외심' 같은 걸 가져 본적이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서도.


왜 그랬는지 찬찬히 더듬어 본다.


영화자체가 강력한 몰입을 강요하다시피 하지만..

물론 경이적인 연출력 탓이다.

이 양반 솜씨는 Children of Men 에서 이미 충분히 알아봤다.

Children of Men 은 언젠가 한번 더 이야기 하고 싶다.

내 생각엔 컬트 반열에 오르지 않을까 한다.

국내서는 개봉조차 안 되었지만.


이런 압도적인 심오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스토리 라인? 물론 아니다. 풀스토리를 단 한줄로 요약 할 수도 있다.

두 잘나가는 남녀의 연기? 아니죠.

우주 정거장서 로케이션했다고 생각될 정도의 초정교 CG?  그럴지도.

따블 싸이즈 70미리 필름의 아이맥스를 꽉 채운 우주?  처음에는 그렇다고 생각했다.

실제 이 스토리의 배경, 허블 망원경은 엔데버 부터 시작해서 무려 5번이나 우주왕복선이 올라가서 수리하였는데 

그때 찍은 다큐멘터리를 본적이 있다. 그것도 아이맥스 필름으로. 

우주를 배경으로 찍으면, 그것도 CG가 아닌 진짜, 무조건 매우 심오해야 할텐데 한 20분이나 버텼을까.

졸고 말았다. 어떻게 끝났는지 모른다.

우주가 나오는 영화가 어디 한둘이냐, 어딜 봐서 맨오브스틸이나 스타트랙다크니스가 심오하던가.


몇개의 정교한 장치가 있다고 본다.

오프닝에서의 일순간 텅비는 사운드트랙.

미친거 아냐? 싶을 정도로 수다를 떠는 클루니  

영어 안통하는 햄과의 개소리 대화. (이 씬 참 훌륭하다. 아들넘이 만든 단편영화라던데)

탯줄 끊겨 빙글빙글 돌아가는 산드라를 띠끌처럼 잡아내는 카메라. 

여기서 강렬하게 끌어내는 광장 공포증과 동시에 폐쇄 공포증. 그리고 버티고 그리고 고독(이게 진짜다).


최고봉의 철학SF로 공인되는 space oddesy, 난 10살때 봤지만.

전혀 이해불능이었지만 그때 부터 맘 한켠에 박혀있던 먼가가 있었는데 그게 그거다는 것을 알았다.

마지막에 HAL한테 다 털리고 우주로 뛰쳐 나간 주인공에 앞에 나타난 영원히 뻗어가는 검은 돌. 

이 장면이 같은 것이었다.


띠끌에 불과한 존재가 가장 위대한 신과 홀로 마주 쳤을때의 그 순간.

아마도 경외감은 여기서 시작되는가 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AYLA 2013-10-31 0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고 싶어요 ㅠㅠ

hanalei 2013-11-01 01:13   좋아요 0 | URL
그 동네선 아이맥스는 힘들듯.

LAYLA 2013-11-01 13:56   좋아요 0 | URL
그냥 영화관도 없어여 ㅡㅡ 한국가면 밤마다 심야 볼거에요오오오오

hanalei 2013-11-01 22:28   좋아요 0 | URL
심야는 워낙 체력소모가 심해서,,
근데 이달말에는 오세요?

2013-11-25 1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정보를 생산할때, 그냥 쉽게, 글을 쓸때 에너지가 참 많이 소모 된다는 생각은 초띵시절  독후감 숙제 할때 문득 떠 올랐다.

정말 심심할때면 이런 생각들을 한번씩 끄집어 내서 망상에 빠져 든다는.


하여간 그렇다 치고, 독후감 쓰는데 쓴 내 에너지는 어디로 갔을까?

에너지 보존 법칙을 충실히 따른다면 그 에너지는 내 머리에서 독후감으로 이동하였다...라고 밖에 설명할 수 없다.

훗날 줏어 들은 정보이론에 의하면 정보도 에너지처럼 "그 형태를 바꾸거나 다른 곳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 생성되거나 사라질 수 없다."... 고 한다. 

이게 먼 말인가 하면 원숭이가 수십억년 타자기를 두둘기게 내벼둬도 절대 햄릿이 나오지 않는다게 정보이론측 주장이고 

확률론에서는 '수십억년'이 문제지 언제가는 나온다는 입장이어서  정보이론이 확률론을 정면으로 반박할때 나오는 예이다.


그런데 에너지와 정보는 무슨 관계인가.

정보를 만드는데에 에너지가 쓰여 졌다면 에너지가 정보로 변환된 것이고 당연히 그 역도 성립할 터이니 정보에서 에너지를 뽑아 낼 수가 있어야 한다.

정보가 가득 든 책을 태우면 따뜻해지니 이게 정보가 에너지로 변한된것이라고 우긴다면 참 나쁜 예가 될 터이나..

만약에 정보가 파기될때 에너지가 나온다면  에너지가 정보로 바뀌고 정보가 다시 에너지로 변환된다는 게 증명되니 

즉 정보 = 에너지 가 되고 

에너지 = 질량 은  이미 아윈슈타인 이래 밝혀졌으니

정보 = 질량  이 된다.


정보가 질량을 갖게 되니 하드디스크에 야동을 많이 넣어 두면 노트북이 무거워 진다는 속설이 진실임이 판명되는 순간이다.


이러구 놀고 있었는데 

맙소사.... 이미 많은 사람들이 오래전 부터 똑 같은 생각을 해왔던 것이다.

정보가 없어 질때 에너지가 발생한다는게 이론적으로 증명되었고 실제 측정 되었단다.


독일연구팀, 1비트 정보 지울 때 생기는 극미량 ‘한계열’ 측정

http://scienceon.hani.co.kr/32659


올겨울 못견디게 춥다면 하드 디스크 정리라도.

500기가를 지울때 생기는 열은 얼마나 될까.....




댓글(2) 먼댓글(1)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가을밤엔 유독 옛날 생각이 많이 난다
    from 세상 모든 것에 투덜대기 2013-10-24 23:00 
    다른 건 모르겠고, 이 글을 보니 생각 난 얘기 하나.자랐던 고장에는 4층 규모의 제법 큰 서점이 있었다. 지금의 교보문고처럼, 원한다면 책 한 권을 서서 다 읽을 수도 있는. 틈 나면 거기 가서 노는 게 일이었던 이 고딩은 어느 날 뭐 재미있는 책이 없을까 책장을 훑다 웬 문고판 시리즈 앞에 당도하게 된다. 하얀색 바탕에 파란색 무늬가 들어간 표지들이 인상적이었다. 이런 식의 문고판은 중학교 때 이미 많이 읽었더랬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니,...
 
 
Mephistopheles 2013-10-23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그래서 내 노트북이 구입 때보다 무겁게 느껴지는 이유였군요.

hanalei 2013-10-23 12:36   좋아요 0 | URL
정보의 양에 따라 무게가 달라집니다.
파일이 많다고, 파일이 크다고 해서 무게가 많이 나가는게 아니라 그 파일에 얼마나 많은 양의 정보가 있냐에 따라 다르다는...
압축파일이 무게가 많이 나가고, 동영상파일은 아주 압축률이 높으므로 무게가 많이 나가고, 살만 나오는 동영상은 압축률이 더 높아져서 더 무겁고....
 

불신지옥 아줌마랑 종종 벌어지는 대화.
하나님이 있긴 있어요?
성경에 다 나와 있어요.
성경을 어떻게 믿어요?
성경은 하나님 말씀을 써 놓은거라 다 맞아요.

업체 미팅서도 종종 벌어지는 대화.
원칙대로 하겠습니다.
원칙은 어디에 있나요?
우리 사규에 다 나와 있어요.

소원바위가 있다.
원칙은 간단하다.
소원을 빌고 바위를(? 돌?) 들어 올린다.
소원이 채택되면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있고 아니면  들어 올릴 수 없다.
이 순박한 소원 바위 신령님을 간단히 혼란에 밀어 넣을 수 있으니...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없게 해달라고 빌면 된다.
(소원이 채택되면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없고 아니면  들어 올릴 수 있다.)

먼가 나타나서 소원 한가지를 들어 주겠다고 한다.
들어 준 소원보다  하나 더  소원을 들어 달라고 소원 해 보자.
 이쪽 업자 용어로는 이런 걸 소위 '메타'소원이라고 한다.
소원을 정의하는 소원,,,어렵다. 그냥 '구타를 유발하는' 쯤으로 이해 하면 되겠다.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라고 그러면 왠지 절대 불변으로 들리지만...
수학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은 이미 증명된 것들을 꿰 맞추어 또 다른 것들을 증명한다는 말이고 
증명 밑에 증명 밑에 증명,,,,하다 보면 바닥에 무엇이 있을까?
오늘날의 수학 그 자체인 유클리드 기하학은 맨 밑바닥에 10개의 가정을 깔고 시작한다. 
(5개의 공준  5개의 공리. 
 공준은 머고 공리는 머냐?  둘 다 너무나 명확해서 증명 할 필요 없는, 정확히는 증명이 불가능한, 것 들인데 그 중에서 좀 불안하고 깨질것 같은 건 공준, 또는 요청이라고 해서 꼬리를 내린것이다.
처음부터 불안불안 했던 평행선 공준은 이미 깨져 버렸고 거기서 가지 쳐 나온 것이 비유클리드 기하학.)
그래서 수학하는 사람은 저 가정을 무조건 믿고 들어가야 된다. (불신자는 수학 못한다.)

나 보기에는 너무나도 분명한 원칙이란게     
그 원칙 관계자 제위분들의 확실한 합의에서 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불신지옥 아줌마 부터  수학적 증명 까지 모두 동일한 케이스로 보인다.

합의가 안되어 있다면 (즉 불신자에게는) 불신지옥 아줌마가 지옥으로 가는게 당연한지도.

더 나쁜 케이스는, 미신이 과학의 탈을 쓰고 여전히 횡횡대는, 중세와 달라진게 아무것도 없다는 칼 세이건의 주장처럼
원칙이나 법칙이나 증명이나 등등 머 그럴싸한 포장을 씌운 자기 도취적 고집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킹의 새 영화가 20일 영국에서 개봉하였다.

http://www.hawkingfilm.com/


이 영화 프리미어에서 한 호킹 이야기다. 

가디언에 어저께 실렸다. 


I think the brain is like a program in the mind, which is like a computer,
 so it's theoretically possible to copy the brain on to a computer and so provide a form of life after death.

뇌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뇌를 컴퓨터에 카피해 넣어 죽은 뒤에 삶을 주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뼛속까지 유물론적 입장에서 본다면 (난 모태 유물론자)

영혼,정신,마음,지성,지능,이성,,,,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그 무엇, 그게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역시 DNA 어딘가에 들어 있고   

전달될 것이기 때문에 찾아 내는 것은 방법론적 문제일 뿐이다. 시간문제란 말이다.


그런데 그 무엇, 공각기동대 식으로 고스트라고 해 보자.

고스트를 찾아 낸다는 일은 이제 절망적인가 보다.

고스트가 무엇인지도 모르니 당연한 결말.

그래서 고스트가 들어 있는 것으로 확실시 되는 뇌.

그 뇌와 똑 같은 기계를 만들어 놓으면 어떻게 되나 한번 보자 는 식으로 전환되어 버렸다. 

내가 보기엔 자포자기로 밖에 안보이지만.


10년동안 1조 5천억을 써서 만들어 본단다. 머 잘만 된다면 돈도 아니지만.

 ===> http://www.humanbrainproject.eu


최근 근황이다

 ===> http://techneedle.com/archives/11890


이게 제대로 작동한다면, 고스트가 짠 나타난다면, 고스트는 뇌와 같이 좀 복잡한 구조물의 필연적 부산물 이라는 결론이 된다.

아,, 그러나 심정적으로는 왠지 병에 썩은 고기를 넣어 놓고 구데기가 생기나 기다리는 것과 같아 보인다.

 


좋다. 잘 되어서 고스트를 만들었다고 치자.

그러나 새로운 고스트를 만드는 건 불멸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

이미 70억개의 고스트가 있는데 말이다.


요는 내 고스트를 죽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

고스트는 뇌 구조체에서만 존재 하기 때문에 뇌가 망가지면 사라진다.

다른 뇌에다 이 고스트를 옮겨야 한다. 카피해야 한다는 말이다.

뇌는 굳이 탄소화합물일 필요는 없다. 뇌와 똑 같은 기계면 더 좋다.

이제 불멸인가?


나를 나이게 하는 그 무엇, 정체성이라고 부른다. 

정체성의 정체는 '연속된 기억' 이라고 한다.

단기 기억은 뇌속의 전기적 신호, 장기 기억은 단백질 구조라고 알려져 있다.

OK. 이 정도 스캔해서 카피 하는데에는 아무  문제 없다. 이미 고스트를 만드는 기술 수준인데 머.

이제 불멸인가?


정체성을 복제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The 6th Day' 에서 스왈츠제네거가 온몸으로, 아주 이해하기 쉽게 보여 준다.

http://www.imdb.com/title/tt0216216/?ref_=sr_1


복제를 했다. 

원본도 남아 있다.

나의 정체성은 원본에 그대로 있는가? 아니면 복제본으로 넘어 갔는가?

누가 나인가?

'The 6th Day' 의 결론은 둘다 나이다.


이와 똑 같은 이야기가 'Oblivion' 에서 반복된다.

Tom Cruise는 죽었는데 그 와이프는 누구랑 살게 되는가?

탐 크루저 다.


자 여기서 정체성의 정체를 눈치 챌 수가 있다.

여기의 정체성은 타인의 시각이다.


진짜 나는 어디로 갔는가.

'The 6th Day' 에서 이 해답도 나와 있다.

복제된 쌩쌩한 인간을 쳐다 보면서 죽어 가는게 바로 나다.


호킹이 평생을 휠체어에서 보낸데에 원한을 품고 컴퓨터에 자신의 고스트를 복제하고 로봇을 수족으로 삼아 세계정복에 

나섰고 성공했다 치자. (이건 론머맨 이야기네)

세계를 정복한자가 호킹인가?

호킹이다.

복제해 주고 죽은자는?

호킹이다.


그럼 고스트를 복제하지 말고 이동하자고 주장 할 것인가?

이동 = 복제 + 삭제

삭제를 아주 빨리 하자고?

나를 아주 빨리 죽이자는 말이잖아.


아쉽게도 호킹의 염원대로 컴퓨터에 고스트를 복제하는 방식으로는 불멸이 될 수가 없다.

그냥 복제된 자기와 똑 같은 그 누군가를 보는 것 외는.

  

우습게도 자기를 복제해서 불멸이 되는 방법은 이미 아주 아주 오래전부터 행해져 오고 있었는데 

지금 70억이 그 결과물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13-09-23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이 페이퍼의 50%이상 이해가능하다고 생각하는게 메피스토인가?
메피스토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50%정도를 몰라도 퉁치고 이해했다고 우겨보는 것도 메피스토인가?
메피스토이다.

우와 2013-09-23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혼자만 여전히 똑똑하다니. 흥.

paviana 2013-09-23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레이님 격하게 반가와욧!!!

조선인 2013-09-24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본적으로 왜 내가 그토록 오래 살아야 하는지 그 지독한 자만이 혐오스러워요.

무해한모리군 2013-09-26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걸 볼때면 한 백년후를 타임캡슐을 타고 가보고 싶어요...
(미래에 대해 딱히 낙관은 없습니다만)
미래 사람들이 우리의 이런 고민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요...
흑인도 사람이냐? 같은 명제처럼 우스워질지..
 

오십을 훨 넘겨서도 

머리나 수염이나 저 모양을 하고서도  

(줌 땡기는데 솜털까지 보이는 저 맨 얼굴에 노뽀샵이라니)

남자가 저렇게나 멋 있을 수 있다는 건

나날이 늙어만 가는 남자에게도 

턱 없지만 가슴 뛰게하는 희망 이구나.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13-06-24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앞 가르마 단발 머리, 게다가 나이 쉰을 넘겼는데 여전히 섹시해요. 아휴, 꿈에도 나왔다니까요. 어찌나 마음이 왈랑거리던지...ㅎㅎㅎ

Mephistopheles 2013-06-24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턱이 없다는 건 희망적인 겁니다. (이중)턱으로선 희망도 가질 수 없죠.

LAYLA 2013-06-24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고 있는 산골마을에 영화관이 없어요. 10시간 버스 타고 나가야 영화관이 있다는데...

라일라님 2013-06-25 09:22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그 "산골마을"의 이름을 알려 주세요. 그래야 8월 여정에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

조선인 2013-06-25 0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스토님의 댓글에 절망합니다.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