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청한 백인들
마이클 무어 지음, 김현후 옮김 / 나무와숲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본서는 풍자와 기지로 가득찬 한편의 토크쇼를 보는 것 같다. 부시와 앨 고어간의 치열했던 지난 미국대통령 선거에서 본인의 능력보다는 아버지 부시의 후광과 지원으로 대통령직을 훔쳐간 아들 부시에 대한 야유와 조롱으로 가득차 있다.

우리 입장에서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강탈한 오노의 기억과 단종 기종인 에프15를 팔아먹으려고 압력을 넣는 등등으로 미국에 대한 감정이 좋지 못할 수밖에 없는데 미국의 주류 세력의 실체를 더 적나라하게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저자가 부시에 대한 비난과 조롱으로만 시종했다면 한 당파의 입장에서 그런다할 수 있겠지만 저자는 미국 사회에서 소외된 소수(흑인,여성 등)를 멍청한 백인놈들이 어떻게 소외시키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한 당파의 입장이 아닌 인간적인 양심에 호소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지난 미 대선에서 랄프 네이더의 선거운동의 경험담과 관련해서는 현재 대선을 앞두고 있는 우리에게도 극우 보수세력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하나의 타산지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쾌도난담
김어준 김규항 공저 고경태 글 / 태명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김규항은 'B급좌파'를 자처하는 사람이고 김어준은 인터넷 황색저널리즘의 선두 주자인 딴지일보의 '총수'이다.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 범상치 않으리라는 것은 이들의 이력에서도 간단히 드러나지만 이책에서 더욱 유감없이 발휘되는 것 같다.

아직까지도 우리의 비판문화는 남이 자기를 비판하면,특히나 자기와 동류의 범주에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비판을 하면 비판을 당한 사람은 배신감에 몸서리를 치고 극히 감정적으로 응수하는 사례를 많이 보아왔다. 혹자는 이를 우리 지식인들의 마음이 아직도 여린 감수성을 지니고 있다고 했는데 본서의 난담 주자들과 같은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이 나라를 경제적 도탄에 빠뜨린 전 대통령의 충실한 심복의 강직한 주장(?)도 귀엽다(??)고 이야기하는 이들이고 보면 세상의 사물과 제 현상을 반드시 정해진 시각으로만 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나는 귀엽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팔다 Mafalda 1
끼노 글.그림, 조일아 옮김 / 비앤비(B&B)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어른 만화 작가들이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경우는 대개 어린이용인 경우가 많지만 짱구나 마팔다같이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키지만 독자층은 어른인 만화들은 어린이들의 돌출행동으로 어른 사회를 풍자하거나 비꼬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마팔다도 그런 점에서 주인공인 마팔다와 그의 친구들이 어른들 흉내를 내거나 비판하는 내용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림의 선도 분명하고 우리와 정서적인 측면도 비슷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어 낯선 남미만화라는 느낌은 별로 들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일반에 대한 정치 허무주의적인(정치인들은 백이면 백이 다 나쁜 놈들이라는 식)요소들이 종종 눈에 띄는 것은 거슬리는 부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양장)
이케다 가요코 구성, C. 더글러스 러미스 영역,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 접해야할 정보의 양도 많아진 세상이고 본인 스스로 그다지 머리가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책은 후딱후딱 읽고 치우는 편이다. 책은 나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고 세상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게 하고 먹고사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는 기준으로 살아왔다. 이책을 구입하고는 단 30분만에 다 읽었다. 처음에는 뭐 이런 책을 돈 주고 샀나하는 생각이 들었고(생각보다 책이 너무 얇았다),읽보니 나의 세계적 위상이 결코 낮지 않다는 안도감을 가졌다. 나같은 생각을 한 사람도 적지 않았으리라고 본다. 그러나 이책이 사람들에게 주려고 했던 메시지가 그것 뿐이라고보기는 어렵다.(메시지가 그서 뿐이라면 얼마나 허무할 것인가?) 환경,인간애,인류애,박애정신 등등 일텐데.. 너무 함축적으로 담다보니 나에게는 그런 고귀한 정신이 읽히거나 주입된 거 같지는 않다.실용주의적인 책읽기의 가벼움이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무현, 상식 혹은 희망 우리 시대의 인물읽기 2
노무현 외 지음 / 행복한책읽기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금년에 있을 대선과 관련해서 노무현후보를 주제로 다룬 책들이 몇권나왔다. 정치인들이 선거철만 되면 자서전이니 에세이니 출간을 해서 간접적인 사전선거운동을 했는데 대체로 그 내용은 자화자찬으로 일색하여 오히려 혐오감만 가중시키는 그런 류의 책들이었다. 그러나 노무현을 다루는 책들은 현재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왜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지,왜 이인제가 민주당 후보가 되면 안되는지 등 좀더 설득력있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다루고 있는 듯하다.본서는 노무현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대부분은 지지자들)과 그의 인간적 측면,정치에 투신하는 과정 등을 본인의 육성을 통해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책 광고처럼 눈물을 흘리거나 신나게 웃지는 않았지만 일반인들과는 거의 관계가 없는 것처럼,때때로 술자리의 안주감으로만 존재하는 듯 했던 정치가 나와도 상당히 가까운 거리에 있음을 해주었다. 노무현에 대한 비판은 진보정치 편집장인 이광호의 글이 유일했던 것 같은데 비판의 내용중 일정 부분은 노무현이 고치거나 경청할 만한 것도 있다는 생각이지만 전체적으로는 노무현 말고 진보진영에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는 듯한 논지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과연 현재 시점에서 노무현 말고 진보진영에서 수용할 만한 현실적 대안이 있는지 궁금하다. 물론 일부 진보진영에서 밀었던 김대중이 대통령이 된 후에 보여주는 모습은 실망스러운 구석이 너무도 많으나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서는 것 자체가 어느 정도는 발전이 된 것으로 평가해도 되지 않을까한다.

이전의 진보진영의 독자후보들이 얻었던 표는 너무도 미약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실을 인정하고 좀더 실현가능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대통령은 나온 후보중 좀더 진보적인 성향이 있는 후보를 밀어주고,진보진영은 우선 국회진출을 목표로 가장 당선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서평에서 이야기로 옆길로 샌거 같은데 돈없고,힘없는 서민들이 정치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는 대선이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