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만하면 괜찮은 부모 - 세상의 나쁜 것을 이기는 부모의 좋은 힘
김진영.고영건 지음, 고정선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10월
평점 :

아이를 통해 요즘 많은 생각과 갈등 두려움 화남 등등이 있다. 그런데 이 책 제목을 보는 순간 "그래! 난 이만하면 괜찮은 부모 맞다"고 박수를 쳤다는 것이다.
인생에서 겪게 되는 나쁜 것들을 물리칠 만한 좋은 것을 아이에게 어떻게 선물해야할까?를 참 많이 생각하게 되는데 이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세상의 나쁜 것을 이기는 부모의 좋은 힘을 주자
부모가 자녀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 하버드 대학의 성인발달 연구에서 밝혀진 행복한 삶을 위한 여덟가지 최상위 긍정감정 기쁨,희망,사랑,연민,믿음,용서,감사,그리고 경외감을 알아간다
자녀가 대학을 졸업한 직후부터쓰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사실 나자신도 그때쯤 책을 쓰고 싶었다, 저자를 보면서 사실 누가 뭐라고 해도 나자신은 정말 괜찮은 부모였다고 생각한다
음,,,자칭 아이들은 뭐라고 할지 모르나 나자신 스스로에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심정인데 이 책을 통해 더더욱 괜찮은 부모였을것이라고 자칭하게 된다
이 책의 목적은 부모를 위한 심리학 지식과 기술을 소개하는것이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어떤 것에 관한 얘기를 하려고 한다고 한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는 훨씬 더 좋은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바로 부모와 자녀가 "좋은 선물을 주고 받는 것"이다 제아무리 "주는 기쁨 또는 "받는 기쁨"이 크다 할지라도 "주고 받을 때의 기쁨"에는 모소 미치는 법이다
부모와 자녀가 아낌없이 주고받는 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를 이해하려면 "삶의 순환"이라는 곡에 담긴 메시지를 요약하면 "삶에서는 볼 수 있는 것보다 볼거리가 더 많고, 할 수 있는 일보다 할일이 더 많으며 자신이 주는것보다 결코 더 많이 받으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가 아낌업시 주고받는 과정은 "자연의 섭리"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이 책은 인생의 섭리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녀가 배불리 먹는 모습을 바라보기만 해도 부모가 배부른 느낌을 받는 것은 부모의 마음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중요한 심리 현상 중 하나다. 이 심리학에서는 바로 "심리적 동화"라고 한다. 심리적 동화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마음속으로 담아낸다는 뜻이며 물리학적으로는 불가능할지라도 심리학적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하며 하버드 대학의 성인발달연구에서 행복한 삶을 위한 비결중 하나로 제시 되어지고 있다
위 그림은 <아이는 먹고 있지만 부모는 포크만 들고 있다>

아기가 내민 손을 부모가 안정감있게 잡아주는 모습이 담겨졌다. 좋은 부모가 되고자 하는 마음을 간직하고 있기만 하다면 누구든지 해낼 수 있는 일이다
이 그림은 <아이가 내민 손을 포근하게 감싸 안아주기>
아이가 내민 손을 아기가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끔 잡아주는 것인데 따뜻하고 사랑스럽게 잡아준다
이 책을 통해 세상에 나쁜 것을 이기는 부모의 좋은 힘을 내 아이에게 물러주고 싶다
부모가 내 아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선물들을 생각해보면 그중에서도 나한테 와 준것만으로 축복이고 말로 표현을 다 못한다.
아이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힘인데 아이를 통해 좋은 부모로 갈 수 있는 것 또한 아이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것에 감사를 할 따름이다
그동안 많은 어려움과 힘듬이 있었지만 이 책 한 권으로 <이만하면 괜찮은 부모>였다는 것을 알고 부모인 나자신 스스로 위로와 힐링이 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