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에게서 인간으로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
박영택 지음 / 스푼북 / 2023년 4월
평점 :

종교화의 차이로 중세시대에는 그림을 그릴때 대상을 눈에 보이는 대로, 사실적으로 정확하게 그리지 않았고 눈에 보이는 세계가 아니라 영적인 느낌을 창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종교적 교리롸 그 필요에 따라 또한 그려지는 인물의 중요성에 따라 그 크기와 배치가 서로 달랐다. 공간 구성과 색채 역시 정해진 규칙을 따랐다고 한다. 원근이 없는 납작한 평면의 화면 중심부에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마리아를 가장 크게 그리고 그 주변으로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게 천사나 성경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을 정해진 양식에 따라 그리는 식이었다
성당에서 예배를 드리는 대상의 그림을 우리는 종교적 도상화, 이콘 혹은 이콘화라 부른다.
이콘과 같은 중세의 종교화는 당시 글을 모르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좋은 교육수단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종교가 지배했던 중세는 종교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했고 교황 그레고리아 1세는 "글이 글을 읽을 줄 아는 이에게 제공하는 것을 그림은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에게 제옹한다. 문맹인은 그림을 봄으로써 그들이 무엇을 하였야 하는지 보기 때문이고 글을 모르는 사람은 그림을 보고 읽는다"라고 말을 했다.
중세시대에 제작된 이콘은 크리스트교의 추상적 개념들을 담고 있으며 지옥,천국,천사,악마등 현실세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사람들의 의식 속에는 확고히 존재하는 종교적인 것들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해 주는 경이로움을 연출해 주었다.
르네상스시대의 종교화는 같은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중세시대의 종교적 도상화와는 달리 마치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장면을 그대로 옮긴 듯 이것은 이전과는 사뭇 다른 이성적이고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창의성을 지닌 미술이 탄생했다는 것을 뜻한다.. 정확성과 엄밀성, 관찰의 중요성이 커졌고 그에 따라 수학,해부학에 기반한 회화와 조각이 나타나기 시작 중세시대 그림, 이콘과는 확연히 다른 사실적이고 자연주의적인 그림이 생겨나기 시작

중세의 대표적인 건축물, 뾰족한 청탑을 보니 공통점을 알 수 있다
가톨릭교회의 건축물로는 프랑스 파리의 노트르담대성당,랭스대성당, 아미앵 대성당과 샤르트르 대성당, 독이르이 쾰른 대성당, 이탈리아의 밀라노 대성당등을 꼽을 수 있다.

<아르놀피니의 약혼>, 얀 반 에이크
그미 속 서명으로 "얀 반 에이크가 여기에 있다"라고 쓰여 있고 역사상 처음으로 미술가가 진정한 의미에서 주인이 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이 그림은 항상 관심있는 그림이었다
도대체 무엇을 의미할까? 그림으로 읽고 싶은데 다양한 의견들만 많아 이 그림을 보는데로만 읽으면 되는지 하는 생각이 드는데 일단 "얀 반 에이크가 여기에 있다"고 쓰여 있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된다.
중세시대와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을 만나 볼 기회이다.
그동안 몰랐던 작품들을 통해 이제 정확히 알아가게 된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