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89 : 일반 백성 글자 필요 생각하다


일반 백성들은 글자를 알 필요가 없다고도 생각했고

→ 사람들이 글씨를 알 까닭이 없다고도 여겼고

→ 누구나 글을 알아야 하지 않는다고도 보았고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한솔수북, 2022) 18쪽


한자말 ‘백성’은 ‘일반 사람(일반인)’을 가리킵니다. ‘일반’이라는 한자도 ‘여느 사람(백성)’을 가리켜요. “일반 백성”은 얄궂게 쓰는 겹말입니다. 우리말로 ‘사람들’이라 하거나 ‘누구나’나 ‘우리’로 바로잡습니다. ‘-자(字)’로 붙이는 한자는 군더더기예요. ‘글자’는 ‘글’로 손보거나 ‘글씨’로 고쳐씁니다. 예부터 우두머리는 수수한 사람이 굳이 글을 익혀야 하지 않는다고 여겼어요. 웃자리에서는 중국글만 글로 여길 뿐 아니라, 사람들 누구나 글을 배우는 길이 아닌, 몇몇 벼슬아치하고 임금만 중국글을 알면 된다고 보았습니다. 이 보기글은 끝자락을 “생각했고”로 맺는데, ‘생각’은 이런 자리에 안 씁니다. “-다고 여기다”나 “-다고 보다”처럼, ‘여기다·보다’를 붙여야 알맞습니다. ㅅㄴㄹ


일반(一般) : 1. 한모양이나 마찬가지의 상태 2. 특별하지 아니하고 평범한 수준. 또는 그런 사람들 3. 전체에 두루 해당되는 것

백성(百姓) : 1.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국본·지민 2.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 생치

글자(-字) : 말을 적는 일정한 체계의 부호 ≒ 글·글씨·자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생각하다 : 7. 어떤 일에 대한 의견이나 느낌을 가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속담 俗談


 속담 그대로 → 옛말 그대로 / 삶말 그대로

 그 속담은 → 그 살림말은 / 그 말씀은


  ‘속담(俗談)’은 “1.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 언속 2. 속된 이야기 ≒ 세언·속설”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낮춤말·삿대말·거친말·막말’이나 ‘똥말·쓰레말·허튼말·구정말·더럼말’로 고쳐쓸 만하고, ‘삶말·살림말’이나 ‘수수말·투박말’로 고쳐씁니다. ‘옛말·옛날말’이나 ‘말·말씀·이야기·얘기’로 고쳐써도 됩니다. ㅅㄴㄹ



초록은 동색이요 가재는 게 편이란 속담은 아마 이럴 때 쓰는 말인 모양입니다

→ 풀빛은 같고 가재는 게 쪽이란 옛말은 아마 이럴 때 쓰는가 봅니다

→ 같은 풀빛이고 가재는 게 쪽이란 삶말은 아마 이럴 때 쓰는가 봅니다

《장미 밭의 전쟁》(이어령, 문학사상사, 2003) 325쪽


안하무인(眼下無人)이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속담을 이들은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 거드럭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옛말을 하나도 모를 듯하다

→ 우쭐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삶말을 통 모를 듯하다

《어떤, 낱말》(아거, KONG, 2019) 44쪽


이 말이 속담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 말이 삶말인 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런 옛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 오래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서울 밖에도 사람이 산다》(히니, 이르비치, 2023) 7쪽


또 속담이랑 사자성어 사전을 보느라 공부를 하나도 못 하고 있어

→ 또 옛말이랑 넉마디말 꾸러미를 보느라 하나도 못 배웠어

→ 또 삶말이랑 넉글씨 꾸러미를 보느라 하나도 못 배웠어

《쿠지마 노래하면 집이 파다닥 1》(콘노 아키라/이은주 옮김, 미우, 2023) 4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어지교



 그들은 수어지교(水魚之交)라고 할 수 있다 → 그들은 한넋이라고 할 수 있다

 둘의 관계는 수어지교였다 → 둘은 서로이웃이다 / 둘은 한지붕이다

 공생할 수 있는 수어지교(水魚之交)를 지향한다 → 함께가는 길을 바라본다


수어지교(水魚之交) : 1.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수어, 수어지친, 어수지교, 어수친 2. 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면, ‘한몸·한몸짓·한몸꽃·한짓’이나 ‘한마음·한벗·한동무’라 할 만합니다. ‘한뜻·함뜻·한사람숲·한몸마음·한마음몸’이라나 ‘하나·하나꽃·하나되다·하나로’라 해도 어울립니다. ‘한넋·한얼·한삶·한살림·함살림’이라 할 수 있고, ‘한꽃·한꽃같다·한덩이’나 ‘한빛·한빛살·한사랑·한꿈’이라 하면 돼요. ‘한집·한집안·한집살림·한지붕·한꽃집’이나 ‘한동아리·한울·한울타리·한목소리’도 어울리고, ‘함께·함께가다·함께걷다·함께걸음·함께하다’나 ‘함께살기·함께살림·함께사랑’이나 ‘같이·같이가다·같이걷다·같이하다’라 할 수 있어요. ‘너나없다·너나하나·너나사랑·너나우리’나 ‘나너없다·나너하나·나너사랑·나너우리·나우누리’나 ‘나란하다·나란빛·나란꽃·나란살림’으로 나타내어도 어울리고, ‘다같이·다함께·담허물기·뜻같다·뜻맞다·마음맞다’나 ‘모두·모조리·몽땅·송두리째·죄’라 할 수 있습니다. ‘모두하나·모두한빛·모두한꽃·모두한길’이나 ‘몸꽃·몸숲하나·몸흙하나’도 어울립니다. ‘손맞추다·손발이 맞다·발맞추다·죽맞이·찰떡같다’나 ‘버무리다·서로얽다·서로이웃·섞다·쿵짝’으로도 나타내고, ‘오롯이·옹글다·옹골지다·옹골차다’나 ‘온집·온집안·온지붕·집님·집벗’으로도 그리며, ‘온하나·온한빛·온한꽃·온한길’이나 ‘우리·우리네·우리답다·저희’로 나타내어도 돼요. 가만히 헤아리면, 우리말로 우리 나름대로 풀어낼 이름과 말이 한가득입니다. ㅅㄴㄹ



“죽마고우는 아닌데.” “으음, 수어지교 아닐까요?”

→ “너나들이는 아닌데.” “으음, 함께살기 아닐까요?”

→ “마음동무는 아닌데.” “으음, 나란살이 아닐까요?”

→ “너나들이는 아닌데.” “으음, 한울타리 아닐까요?”

《쿠지마 노래하면 집이 파다닥 3》(콘노 아키라/이은주 옮김, 미우, 2023) 1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니엘의 특별한 그림 이야기 키다리 그림책 9
바바라 매클린톡 지음, 정서하 옮김 / 키다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

그림책시렁 1399


《다니엘의 특별한 그림 이야기》

 바바라 매클린톡

 정서하 옮김

 키다리

 2009.7.15.



  아이는 한참 들여다보거나 바라보거나 살펴본 끝에 그림으로 옮깁니다. 코앞에서 보든, 마음으로 보든, 꿈에서 보든, 스치는 길에서 보든, 아이는 먼저 속으로 곱게 품고 나서 옮겨요.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 그림을 볼 적에 ‘아이가 그림에 담기까지 얼마나 스스로 바라보고 느끼며 생각했는지’부터 헤아릴 노릇입니다. 아이 그림을 얼핏 보고서 손사래를 친다면, 도무지 어른이 아닙니다. 《다니엘의 특별한 그림 이야기》는 그림님이 보낸 어린날을 고스란히 담습니다. 그림님 아버지는 처음부터 그림님 눈빛을 알아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까닭이, 찰칵찰칵 찍어서 밥벌이를 하느라 바쁘거든요. ‘있는 그대로’ 찰칵찰칵 담아서 팔아야 하는 삶으로는 아이 그림을 알아볼 짬이 빠듯합니다. 이러다가 그림님 아버지는 앓아누웠고, 그림님이 어린 혼잣몸으로 ‘그림을 팔아’서 살림을 이었다고 합니다. 이러는 동안 아버지는 천천히 새롭게 눈을 떠요. ‘있는 그대로’라는 틀이 무엇인지 다시 바라보기로 하지요. 사람마다 눈이 다르고 마음이 다르니, ‘있는 그대로 보기’도 누구나 다르게 마련입니다. 빗물 마음을 읽고, 별빛 소리를 듣는다면, 이때에 ‘있는 그대로 보기’란 무엇일까요? 우리도 함께 눈뜰 노릇입니다.


#TheFantasticDrawingsOfDanielle

#BarbaraMcClintock


ㅅㄴㄹ


《다니엘의 특별한 그림 이야기》(바바라 매클린톡/정서하 옮김, 키다리, 2009)


자랑으로 여기신다면 얼마나 좋을까

→ 자랑으로 여기신다면 얼마나 기쁠까

2


그대로 그려 보기로 한 거예요

→ 그대로 그려 보기로 했어요

4


어느새 상상의 세계를 그리기 시작했어요

→ 어느새 꿈나라를 그려요

→ 어느새 꿈마당을 그려요

8


그 순간, 훌륭한 화가라도 된 기분이었어요

→ 그때, 흘륭한 그림지기라도 된 듯했어요

8


그 친구 좋은 취미를 가졌구나

→ 그 아이 반갑구나

→ 그 사람 재미있구나

11


한 푼의 돈도 남지 않았어요

→ 돈이 한 푼도 남지 않았어요

→ 돈 한 푼 안 남았어요

15


눈을 맞으며 바람 속을 당당히 걸어갔어요

→ 눈을 맞으며 바람을 의젓이 헤쳤어요

→ 눈을 맞으며 바람을 씩씩히 갈랐어요

18


어떻게 그리신 거예요?

→ 어떻게 그리셨어요?

24


질문이 참 많기도 하구나

→ 참 이모저모 묻는구나

→ 참말 궁금하구나

26


일주일치 주급을 미리 주는 거야

→ 이레삯을 미리 줄게

→ 이레치 일삯을 미리 줄게

26


흐뭇한 표정으로 바라보았어요

→ 흐뭇하게 바라보았어요

3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들의 아이 미나
에릭 바튀 지음, 이수련 옮김 / 달리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

그림책시렁 1400


《새들의 아이 미나》

 에릭 바튀

 이수련 옮김

 달리

 2003.12.5.



  어릴 적에 새노래를 듣고 자랐어도, 나이가 들면서 차츰 새하고 등진 곳에서 지내면, 그만 새를 잊고 새노래를 잃고 새넋이 사라집니다. 하늘하고 땅 사이를 오가면서 기쁘게 노래하는 새입니다. 새를 새벽과 밤마다 다르게 맞아들이기에 누구나 스스럼없이 새롭게 마음을 틔워요. 새가 둥그스름하게 짓는 집인 둥지를 느끼기에 사람도 곁에서 이 둥지살림을 배우면서 아이를 사랑으로 보듬어요. ‘보금자리’로 나아갑니다. 《새들의 아이 미나》는 아주 자그마한 아이 ‘미나’가 조용하면서 가벼운 춤짓으로 살아가다가 ‘새우리’에 갇힌 길을 보여줍니다. 작고 여린 아이를 돌아보고 지키는 숨결은 ‘작은새’입니다. 작고 여린 아이를 노리개로 삼아서 돈벌이를 일삼으려는 장사꾼하고 벼슬아치입니다. 임금이라는 이는 ‘그깟 새노래와 작은이 춤 따위’는 이녁 드넓은 뜰에서 얼마든지 본다면서 시큰둥히 여깁니다. 우두머리란 이렇지요. 작은이를 돌보는 길이 아닌, 웃자리를 거들먹거릴 뿐입니다. 오늘날 마을과 배움터는 어린이한테 ‘우리·가두리’입니다. ‘우리·한울·한우리’하고 멀기만 합니다. 새가 깃들 자리를 빼앗은 사람들은 어린이가 뛰놀 자리와 짬도 빼앗습니다. 그리고 이 작은 그림책도 일찍 판이 끊겼습니다.


#EricBattut #Mina


+

《새들의 아이 미나》(에릭 바튀/이수련 옮김, 달리, 2003)

새들은 모두 도망을 쳤어요
→ 새는 모두 달아나요
→ 새는 모두 날아가요
2

지휘봉을 휘두르며 새들에게 노래를 시켜요
→ 채를 휘두르며 새한테 노래를 시켜요
→ 작대기를 휘두르며 새한테 노래를 시켜요
4

그러면 유명해질 수도 있고, 너한테 나쁠 건 하나도 없을 거야
→ 그러면 이름을 날릴 수 있고, 너한테 나쁠 일은 하나도 없어
6

폐하께서 자네의 공연을 보시면 분명히 좋아하실 거야
→ 임금님이 자네 놀이를 보시면 참말로 기뻐하시겠어
→ 나라님이 자네 놀이마당을 보시면 무척 반기시겠어
8

긴부리 영감이 새장 속에 미나를 가두고
→ 긴부리 할배가 새우리에 미나를 가두고
→ 긴부리 할아범이 새집에 미나를 가두고
10

그보다 훨씬 더 아름다운 저택을 갖게 될 꿈에 부풀었어요
→ 그보다 훨씬 더 아름답고 큰 집을 얻는 꿈에 부풀어요
12

새들의 노래가 시작되고 미나가 춤을 추었지요
→ 새가 노래하고 미나가 춤을 추었지요
14

내 정원에서 들려오는 새들의 노랫소리가 훨씬 좋은걸
→ 우리 뜰에서 들려오는 새노래가 훨씬 고운걸
16

춤을 추고 싶으면 무도회에 가면 되고
→ 춤을 추고 싶으면 춤마당에 가면 되고
→ 춤을 추고 싶으면 덩실판에 가면 되고
1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