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건축 5 - 너와집
강운구 사진 / 광장 / 1979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사진책

사진책시렁 70


《韓國의 古建築 5 內雪岳 너와집》

 강운구

 광장

 1978.11.1.



  ‘한국의 고건축’ 꾸러미는 ‘너와집’ 같은 살림집을 처음부터 제대로 못 보았습니다. ‘전통문화 건축물 가운데 한 자리쯤 낄 만하다’고만 여겼습니다. 그러나 《韓國의 古建築 5 內雪岳 너와집》을 ‘첫 자락’으로 삼을 수 있었다면 깊이랑 너비가 달라졌겠지요. ‘역사가 얼마 안 된 너와집’이 아닌, 아득히 멀디먼 옛날부터 흙사람이 손수 지은 살림집 발자취를 제대로 읽었다면, 임금·벼슬아치·나리·먹물이 아랫사람을 시켜 떵떵거리게 지은 그런 집은 ‘전통문화’ 아닌 ‘권력질서’인 줄 처음부터 알았겠지요. 흙사람은 숲사람입니다. 숲사람은 여느 사람이며, 마을사람입니다. 숲 한켠에 보금자리를 틀고서, 언제나 숲을 마시며 푸른 들녘처럼 파란 하늘빛처럼 살림을 지어요. 이 숨결을 강운구 님이 속속들이 읽거나 넉넉하게 바라보았다면 ‘내설악 너와집’은 사뭇 다른 빛으로 엮었으리라 봅니다. 안승일 님이 1997년에 빚은 《굴피집》이란 사진책이 있어요. 1978년 무렵까지만 해도 낮보며 후줄근하게 담은 ‘한국의 고건축’을 1997년에 비로소 사랑으로 마주하면서 살뜰히 엮어낸 분이 나왔는데요, 그래도 1978년에 너와집을 찍기는 찍었으니…….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고건축 4 - 칠궁
임응식 지음 / 광장 / 1977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사진책

사진책시렁 69


《韓國의 古建築 4 七宮》

 임응식

 광장

 1977.9.20.



  ‘한결 잘 찍을 수 있을 텐데’ 하고 생각한다면, 누구나 한결 잘 찍는 사진길을 갑니다. ‘멋있잖아’라든지 ‘훌륭하네’ 하고 생각한다면, 누구나 그 자리에 머무는 사진이 됩니다. 한결 잘 찍도록 거듭나기에 낫지 않아요. 그렇게 나아가는 길이 하나요, 그 자리에 오래오래 머물면서 곰삭이는 길이 둘입니다. 한국사진은 이 두 갈래 가운데 어느 쪽으로도 못 갔다고 느낍니다. 눈부시게 거듭나는 길도, 두고두고 삭여서 새로운 빛을 슬기로이 길어올리는 길도 아니었지 싶어요. 사진이란, 한국에서 비롯한 살림빛이 아닌 서양에서 태어났고, 일본을 거쳐 들어왔으니, 이런 얼개로만 보면 ‘워낙 우리 살림빛이 아니니, 우리 나름대로 우리다운 사진빛을 짓지 못할 만하다’고 핑계를 댈 수 있어요. 전통문화란 무엇일까요? 《韓國의 古建築 4 七宮》은 오랜 살림빛을 드러내는 자취 가운데 하나일까요? ‘임금·벼슬아치·먹물’은 이 나라에서 몇 줌쯤 되는 자리였을까요? 고샅을, 우물을, 빨래터를, 아기를 낳아 세이레 동안 돌보는 외딴곳을, 멍석을, 바심질을, 논둑을, 물꼬를, 시냇가를, 이 갖가지 무지갯빛을 바라볼 줄 안다면 사진도 확 달라집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고건축 3 - 종묘
임응식 지음 / 광장 / 1984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사진책

사진책시렁 68


《韓國의 古建築 3 宗廟》

 임응식

 광장

 1977.4.1.



  틀은 언제나 틀일 뿐입니다. 틀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아요. 언제나 틀로 있습니다. 담벼락이나 울타리도 좋거나 나쁘지 않습니다. 담벼락이나 울타리일 뿐이에요. 때로는 돌보는 노릇이요, 때로는 막거나 가두는 몸짓입니다. 때로는 얽매일 뿐이고, 때때로 그곳에서 새롭게 길을 찾기도 합니다. 사진은 왜 네모낳게 찍을까요? 세모나 동그라미나 별처럼 안 찍는 까닭이 있을까요? 틀을 새로 갖추려는 사람이 나타나며 ‘사진이 아닌 예술’로 갑니다. 글이나 그림도 그래요. 밥짓기도 그렇습니다. 솥이나 수저라는 틀이 있어요. 이 틀을 틀로 여기지 않고 연장이나 징검다리로 삼아도 좋고, 새로운 살림이나 세간을 지어도 됩니다. ‘긴네모(파노라마)’를 굳이 안 쓰고 ‘3×5’ 크기로 담을 적에는 못 벗어나는 틀이 있으면서도, 이렇게 얽매인 자리에서 새롭게 틔우는 눈이 있습니다. 《韓國의 古建築 3 宗廟》는 이 대목을, 틀을 새롭게 보고 다루는 길을 열어 준 사진책이라 할 만합니다. ‘집밥맛’을 떠올리면 좋아요. 더 낫다는 사진기를 써야 더 나은 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손맛을 손멋으로 살려서 손빛을 가꿀 줄 안다면 ‘값싼 사진기’로도 눈부십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고건축 2 - 경복궁
임응식 지음 / 광장 / 1981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사진책

사진책시렁 67


《韓國의 古建築 2 景福宮》

 임응식

 광장

 1976.10.5.



  1976년부터 2020년 사이에 얼추 마흔너덧이라는 해가 흐르는데, 이동안 아직 《韓國의 古建築 2 景福宮》만한 ‘경복궁 사진’이 없다고 느낍니다. 한국사람 손으로 찍은 사진 가운데 말이지요. 이웃나라 일본에서 찍은 사진 가운데에는 《한국의 고건축 2》이 댈 수 없을 만큼 잘 담은 빛살이 있어요. 한국사진은 아직 그 아름다운 빛살에 다가서지 못하기도 하지만, 1976년 사진책 빛살만큼도 닿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그렇다면 임응식 님이 사진을 훌륭히 찍었을까요? 어느 만큼 잘 찍기도 했는데, 임음식 님 사진빛은 일본에서 일찌감치 이룬 빛살을 꽤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그 빛살을 조금 더 살리거나 북돋우면서 새롭게 가꾸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고 느껴요. 왜 그럴까요? 임응식 님을 비롯해 ‘건축사무소 공간’이며 ‘김수근’ 같은 분들이 스스로 세우느라 스스로 못 넘고 만 담벼락 같은데, ‘한국문화’라는 이름에 얽매여 ‘수수한 살림살이’는 미처 쳐다보지 못했어요. 임응식 님이며 사진님이나 집님(건축가)이 골목집에서 살림을 하며 골목이웃을 사귀다가 문득 골목빛을 사진으로 담아 보았다면 경복궁을 보는 새빛을 찾았겠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고건축 1 - 비원
임응식 지음 / 광장 / 1979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사진책

사진책시렁 66


《韓國의 古建築 1 秘苑》

 임응식

 광장

 1976.9.1.



  오늘날 한국을 보아도 지난날 한국을 보아도, 나라에서는 뭔가 아름답게 나아가는 길은 아직 없지 싶습니다. 나라에서는 틀림없이 우리한테서 세금이란 이름으로 돈을 거두지만, 이 살림돈으로 참말로 살림빛을 가꾸는 길보다는, 벼슬아치 뒷주머니를 찬다든지, 엉뚱한 겉치레에 자꾸 기울더군요. 이런 나랏길을 나무라다가 지쳐서 등돌리는 사람이 있고,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는 미덥잖으니 스스로 새길을 닦는 사람이 있어요. 집짓기 일을 하는 이들이 뜻을 모아 ‘광장’이란 출판사를 차리고, “한국의 고건축”이란 이름으로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사진책 일곱 자락을 선보입니다. 나라에서 진작 해야 할 일을 여느 사람들이 한 셈이랄까요. “한겨레 옛집” 꾸러미 첫 자락은 임응식 님이 담은 《秘苑》입니다. ‘숨은뜰’이에요. 또는 ‘뒷뜰’입니다. 첫 자락을 앞뜰 아닌 뒷뜰을, 또는 숨은뜰을 다룬 눈길이 남다릅니다. 비록 여느 살림집을 첫 자락으로 담아내는 눈썰미로 나아가지는 못했으나, 한겨레 옛집 가운데 ‘뜰하고 마당하고 집을 잇는 길목’을 찬찬히 알아차리면서 널리 나누려 했어요. 한국사람이 제 손으로 집살림을 고이 담은 첫길인 셈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