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 주민들에게 사랑 많이 받아서 사람을 피하지 않는 고양이가 있는데 

어느 날 새벽 산책하다가 그 고양이를 그 고양이 구역에서 제법 멀리 (적어도 3-40 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갑자기 마주쳤었다. 고양이 보고 말하고 그러는 편 아닌데도 갑자기 마주치니까 

저절로 고양이에게 말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 어. 야 너 여기서 뭐해. (....) 내가 고양이에게 이렇게 말했는데 


그 때 고양이 표정이 

"앗, 그러니까...." 표정이었다.  

그리고, 그러는 넌(!) 여기서 뭐하냐, 이기도 했다. 

.... 아 이거 표현이 잘 안된다. 내게 경이로운 체험이었는데, 이렇게 쓰고 있어서야 그 경이 따위 

전해지지 않을 거 같다. 그 경이의 정체: 고양이도 나를 바로 알아보았다. 이상한 시간대에 

갑자기 마주치자 고양이도 그 사람이 자기가 아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드러냈다.............. 


뜻밖에도 오래 오래 신기했던 일이다. 고양이의: 그러는 니는 여서 모하는데?: 

앨런 라이트먼의 책에도 비슷한 얘기가 있다. 그는 어떤 새를 자기집 정원에서 정성껏 돌보았다. 

그 새는 알도 낳았고 새끼가 태어났다. 새끼가 제 힘으로 날 수 있게 되었을 때 새끼들을 데리고 

새가 날아오르면서, 날아오르는 도중에, 바깥에 나와 새들을 보고 있던 그의 눈 바로 앞으로 정주행했다. 

아마 본능에 따랐다면 그는 바로 몸을 피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라이트먼은 그러지 않았고 자기를 향해 

날아오는 새들을 마주보았다. 그리고 그는 새들의 눈과 마주쳤다. 자기를 향해 많은 말들을 하고 있던 눈들을. 

새들은 그를 향해 날아오다가 그와 눈을 마주친 다음 위로 솟구쳤다. 


이 얘기도 내가 옮겨 적으니 ㅎㅎㅎㅎ 

'어쩌라고'가 될 뿐이긴 하다. 라이트먼의 글에서도 사실 아주 조금은 그랬는데, 그랬긴 한데 동시에

그가 전하려 하던 그 신비감 '나도 압니다'이기도 했다. 




동물 심리학 주제로 나온 신간 중에 

"우리가 동물을 이해할 만큼 똑똑하긴 한가" 같은 제목 책이 있었던 거 같다. 

Are we smart enough to understand animals? 같은 제목. 


유튜브에서 베프 허스키인 Key와 Sherpa. 

Key는 "오늘 Sherpa가 올 거야"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일어난다. 

바로... 즉각 반응하고 즉각 즐거움에 가득차 뛰어 다닌다. 동물의 이런 기쁨, 그걸 우리가 이해할만큼 똑똑하긴 한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0-10-31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이해할만큼 똑똑한지도 의문이지만, 자극에 즉각 반응할 정도록 몸이 부지런한걸까요? ㅋㅋ

몰리 2020-10-31 10:29   좋아요 0 | URL
인간도 한때는 재차, 삼차 생각하기보다는
몸이 먼저 반응하는 시절이 있었던 게 분명한 거 같기도 해요. 근데 저 허스키 Key는 어린 시절 ㅎㅎㅎ 처음 만난 중요한 개가 Sherpa이긴 했는데 그 점 감안해도 Sherpa를 참으로 순수하고 강렬하게 좋아하고, Sherpa 말 들으면 바로 반응하는게 참 웃깁니다.
 




이 책도 audible에서 무료 방출되었다. 

그의 "철학에 반대한다" 때문에, 그리고 그런 입장인 과학자가 쓸만한 글을 쓰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로렌스 크라우스와 비슷하다) 와인버그에게 반감 비슷한 것이 있기도 했지만 그래도 이 책은 궁금했다. 제목도 은근히 매혹적이다. "second thoughts" 이 말의 말장난이겠지. 다시 생각해보니. 다음에, 그리고 (한 번 더) 생각해보니. 


월드와이드웹이 CERN에서 일하던 이론물리학자들이 정보 공유를 쉽게 하기 위해 발명한 거라는 

얘기 하는 글이 있다. 아........... 그랬군요. 그런데 미국 국방부가 만든 거다 어떻다 그런 얘기를 어디서 오래전 들었던 거 같은데, 그건 인터넷인가?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이 다른 겁니까. 혼란스럽긴 했다. 그러나 입자 물리학 연구하던 이들이 대용량 정보 공유를 위해 만든 것이 월드와이드웹. 그리고 나는 알라딘 서재에서 오늘... 이런 것이, 이 삶의 우연성 ㅎㅎㅎㅎ 이니까 또한 역사성, 알게 한다. 


18년에 나온 책이고 실린 글 다수가 이미 발표되었던 글들이긴 한데 전부 2000년 이후, 다수가 2010년대에 쓰인 글들이다. 서문에서 "이게 이렇게 나올 나의 마지막 책이 아니기를 희망한다"고 하는데 그는 33년 생이고 올해 87세, 18년에 85세였다. 그의 나이를 감안하면 사실 여기 실린 글들 전부가 놀라워질만하다. 정신이 늙지 않는다. 이것의 표본. 


다른 역사는 아닐지 몰라도 과학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진보를 가정하는 관점에서 볼 수밖에 없는 역사라는 얘기를 강하게 하는 글이 몇 편 있다. 이것 과학사 안에서 반복해서 논쟁 주제가 되었나 보았다. 역사의 휘그(Whig) 관점. 과학사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휘그 관점에 반대하는 이들이 다수라고 한다. 휘그 관점의 과학사는 인종주의적 과학사, 성차별주의적 과학사처럼 지탄받는 과학사가 되었다..... 는 와인버그의 말을 근거로 하면. 과학사는 과거의 과학을 그 시대의 맥락 안에서 보는 것이어야지, 현재 도달해 있는 성취와 연결해 과거의 그들은 어떻게 부실했는가, 진보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보는 것이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다수 의견. 


나는 일단 지금은 와인버그 쪽이 더 옳다 쪽이다. 휘그 관점 과학사에 반대하는 이들의 과학사 안에서도 

굉장히 쉽게 휘그 관점 찾을 수 있을 거 같다. 진보를 가정하지는 않더라도, 현재에 근거하는 관점, 입장을 완전히 떠나는 일이 어찌 가능함. 진보를 가정하지 않음, 사실 이것도 불가능할 거 같은데? (....) 아무튼 만일 이 문제에서는 와인버그가 더 옳다 쪽이라면, 그가 이 문제에 보이는 이 강경함, 이 완고함이 든든하다 느껴질 수도. 내 편되면 좋은 분. 






그는 과학사에 늦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공부를 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 

그리고 학부 과학사 과목을 가르치겠다고 자청했다.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이게 아마 그가 70대에 있은 일? (어쨌든 60대 아니면 70대다. 흔히들 은퇴하는 나이 이후....). 그 과목의 

강의노트에서 나온 책이 위의 책이다. 


이런 일이 미국 대학이라고 어디서나 흔히 일어나는 일인 건 아니겠지만 

........... 어쨌든 한국에서도 이런 일이, 높은 수준에서 많이, 일어난다면 좋을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0-10-28 0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본인이 배우려고 가르치려는 선생이 있다는 것을 학생때 알았어야 했는데 ㅠㅠ ㅋㅋㅋㅋ

몰리 2020-10-28 07:24   좋아요 0 | URL
으아아아 제 말이요!
정말 할많하않. ㅜㅜ

han22598 2020-10-31 08:14   좋아요 0 | URL
과학사...배우신것들 이곳에서도 많이 풀어놔주세요.
그러고 보니. 과학사 전공하신 정이경 샘이 쓰신 통통한 과학책 보고 있어요. 그 책은 잼나요 ㅎ

몰리 2020-10-31 10:25   좋아요 0 | URL
전 아직은 쌩초보. 근데 과학사가 재밌긴 해요. 명저들 골라서 쌓아두고 하나씩 하나씩 착착 읽고 싶어집니다!
 
















여기서 오른쪽 책. 

명성이 자자한 책이다. 

알고 보면. 알기 전엔 명성이 자자함의 정반대겠으나 알고 나니 명성이 자자함 그 자체. 

아무튼 굉장히 유명하고, 게다가 중요한 책이라고 하고 조금 읽어 보면 어찌하여 그런가 

알 거 같기도 하다. 그런데 굉장히 읽기 힘들고 (이건 독자들 사이 차이도 클 거 같다. 아마존엔 

이게 뭐가 힘듦? 이러는 독자 있다. 개념과 문장이 가장 명료하고 최상 급의 철학하기를 보여주는데? 

.... 그래요? 이런 것이 철학에서 명료함의 이상이라면, 혁명을 원합니다. 같은 심정이 되었었다) 지금의 

내겐 pointless하다 느껴진다. 칸트 철학 안에서, 칸트 철학의 맹점 하나를 수정하기. 이런 걸 하는 거 같다. 

개념적 사유, 이것으로도 우리는 자연과 의미있게 연결되며 공존할 수 있다? (....) 아닐 수도 있는데, 저런 

작업을 하는 걸로 보이는 책. 


진정 놀라운 건, 이 숨막히는 책이 

강의록이다. 아도르노의 그 무거운 문장들 강의록도 놀랍지만 

맥도웰의 이 강의록이 더 놀랍다. 맥도웰의 강의 들으면서 (매번, 어김없이) 잠이 들지 않은 사람 

없었을 거 같다고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다. 




칸트 철학의 개요를 알고 읽는다면 덜 괴롭겠지. 

어쩌면 이 모든 괴로움은 칸트를 모름에서 오는 걸수도. 

그래서 미리 준비해두었다, 칸트 개론서. 


실제로 칸트 개론서 하나를 최근 구비했다. 앨런 우드가 쓴 Kant. 

이 책도, 겨우 개론서가 시작부터 심상치 않게 괴작 같던데 

(앨런 우드. 이상한 맥락에서 버럭, 하시는 분.... 그게 사실 매력이기도) 

칸트 이름만 아는 독자들을 위해 썼다... 투로 '내가 이 정도까지 해야 했었니?' 같은 서문도 있고 그렇다. 


1장이 칸트의 짧은 전기인데 이런 대목이 있다. 

"18세기의 쾨니히스베르크는 바다를 통해 바깥 세계와 연결된 도시였고 나름의 풍요하고 다양한 지적인 문화를 자랑했다. 그랬긴 한데, 현대 철학에서 가장 위대한 혁명이 있을 것으로 기대할 도시는 전혀 아니었다." 


밑줄 부분이 웃겼는데, 웃긴 얘기 아니라고 버럭할 거 같다. 



*옮겨 오려던 이미지가 옮겨지지 않아서 상품 이미지로 대신. 

옮겨 오려던 이미지에는 왼쪽엔 실비아 플라스의 시집이 있고 오른쪽에 이 책이 있었다. 

............. 어느 고생하는 독자의 책상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0-10-27 0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앨런우드의 서문에도...몰리님의 밑줄 부분에도 웃지 못하고 지나갑니다. ㅋㅋㅋ

몰리 2020-10-27 08:22   좋아요 0 | URL
앞에서 몇 번 버럭버럭 하시다가
저 밑줄 부분도, 버럭의 메아리가 들리는 가운데 말할 거 같은 느낌이어서
(수업으로 듣는다면 그의 저 축적된 분노가 갑자기 웃겨서 나 혼자 웃을 거 같은데....
그러다 노려봄 당하겠.......)

저런 거였어요. ;;; 실제 내용이 조금 웃기기도 했지만 그보단 앨런 우드의 기이함.
 

Disturbing the Universe by Freeman Dyson




어제 어쩌다 알라딘 중고샵 가서 보고 있게 되었고 

4권 구입했다. 뭐 다 잘 산 책들이긴 하다. 가끔 

받은 다음, 이건 잘 산 책이 아니다.... 생각할 때 있는데 어제의 4권은 아니었다. 

어제 밤에 받고 쓰담 쓰담.  


오늘 적립금 천원 입금된 걸 보고 

설마 어제 샀는데 오늘 또 사겠? 

그냥 휙 보고 나오려고 알라딘 중고샵 들어갔는데 

universe 키워드로 검색해 보았다. 뭐 별 거 없겠지. across the universe가 다수 찾아지겠지. 


실제 살 생각이 없었다면 

검색 키워드를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튼. 다수 검색 결과 중 프리먼 다이슨의 위의 책이 있었다. 




The Elegant Universe: Superstrings, Hidden Dimensions, and the Quest for  the Ultimate Theory by Brian Greene







그리고 이것도. 

이 책은 사실 지금 집에 있을 수도 있다. 

브라이언 그린이 쓴 다른 책 The fabric of the cosmos 이 책은 확실히 있어서 

지금 앉은 자리에서 보이기도 한다. The elegant universe는 앞의 몇 페이지를 읽고 

대학원 시절 쌤과 얘기를 했던 기억이 있는데 ㅎㅎㅎㅎㅎ (얘기라야 뭐... 두 마디?) 

그 때 읽은 게 내가 갖고 있던 책이었던 걸로 기억하지만 ...... 이상하게 적어도 지난 몇 년 간 본 적 없는 책. 





Programming The Universe: A Quantum Computer Scientist Takes on the Cosmos:  Amazon.co.uk: Lloyd, Seth: 9780099455370: Books







그리고 이것. 

이렇게 세 권을 일단 장바구니 담고, 담아는 두었다가  

아효 올해가 가기 전 이 중 하나라도 1/3이라도 읽을 책이 있겠니, 없을 테니 

사지 않겠다, 잠시 버텨 보다가 주문했다. 주문하고 나니 홀가분 (씩이나) 하다. 


프리먼 다이슨의 Disturbing the universe는 그의 자서전이다. 

과학자들이 쓴 교양과학서들도 놀라울 때 많지만 과학자들의 자서전, 회고록이 

놀라울 때도 많았다. 엄청들 잘 쓰심. 정말........... 


기대되는 universe 책들 3권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20-10-22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천원 주는 바람에 만이천원 짜리 책을 사지 않았겠습니까?!

몰리 2020-10-22 13:30   좋아요 0 | URL
천원의 놀라운 효과!
받으면 꼭 삼. 아 또 사잖아요 차라리 주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심정이기도 했어요.

syo 2020-10-22 14: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15년쯤 전에 읽었던 <우주의 구조>의 어떤 대목이 아직도 기억납니다. 이 비슷한 이야기였어요. ˝당신을 이루는 모든 입자가 다음 순간 갑자기 달의 뒷편에서 휙하니 나타날 확률은 당신이 니콜 키드만으로부터 청혼을 받을 확률보다 낮긴 하지만 0는 아니다.˝

몰리 2020-10-22 16:01   좋아요 0 | URL
본격 과학책들의 세계로 가면 전혀 다른 세상이겠지만, 과학자들의 자서전이나 회고록, 교양과학서들은 특유의 매력이 있더라고요. 과학하는 삶, 과학 정신과 인문 정신은 당연히 만나기도 하고 당연히 근원에서는 같겠지만, 구현되는 방식은 아주 다르다? ㅎㅎ 하튼. 정말 머리카락 쪼개는 거 같아서, 숨막혀서 읽을 수 없는 철학책들 읽다가 <코펜하겐의 파우스트> 같은 책을 읽으면 신선한 바람이 불어 옵니다.

 




예일대가 주관하는 문학상이 있나 봄. 매년 시상식이 열리는데 

시상식에서 수상 작가가 Why I Write 주제로 강연을 한다고. 몇년도 수상인지 모르겠지만 크나우스가드도 

수상했고 그의 강연은 18년에 책으로 나왔다. 


audible이 무료 방출 안했다면 지금 만나지 못했을 책이다. 

지금 만날 수 있었다는 게, 고맙게 느껴진다. 책을 공짜로.... 정말 감사하다. 양잿물도 감사할텐데 책이. 


일단 시작은 미미하다. 이러는 것도 그의 고유 스타일일 거라 짐작 되는데 

"나는 왜 쓰냐고? 이 주제를 앞에 놓고 나는 사흘 동안 아무 진척도 내지 못했다. 내가 떠올릴 수 있던 건 

몇 년 전 TV에서 보았던 어느 작가가 다였다. 그는 스튜디오에 나오면서 "나는 죽을 것이기 때문에 씁니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바지 바깥으로 삐져 나온 셔츠를 바지 안으로 집어 넣었다. 나는 웃었다. 그가 한 말의 그 엄중함과 그의 행동의 그 일상성 사이 간극이 날 웃게 했다" 


저렇게 시작한다. 

사실 미미함이 끝까지 지속되는데 

그런데 그 미미함이, 격렬한 진정성과 함께 하는 미미함? 

미미함의 닻 덕택에 간신히 진정되는 진정성의 폭풍?  


<나의 투쟁> 1권은 사두었으나 읽지 않음. 그가 뉴욕타임즈였던가에 썼던 긴 미국 여행기가 있는데 

그것에 강렬한 인상 받지 않았었다. 아휴 그냥 침울한 아저씨네.... 정도 끝. 크나우스가드와 인연은 

이게 다인데, 그런데 이 강연 들으면서 그의 매력이 무엇인가 알 거 같았고, 그 매력이 내내 있다면 <나의 투쟁>은 국제 센세이션 될만한 책이겠구나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는, 21세기초 베스트셀러로 23세기까지 읽힐 드문 책 아닐까, 읽지도 않은 책을 망상 속에 평가함. 



위의 미미한 시작에 이어 그는 이렇게 말한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 이 말이 합당하게 표현되고 그 말이 받아 마땅한 반응을 받으려면, 이 말에 

담긴 진실이 전해지려면, 그 말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먼저 창조되어야 한다. 바로 그것이 글쓰기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That is what writing is: creating a space in which something can be said)." 


글쓰기 =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강연 서두에서 이렇게 못박고 나서, 이어지는 강연 내용 전부가 이 말이 무슨 뜻인가 해명하는 데 바쳐지는데 

적당히 진부하고 (이렇게 말하면 욕같지만, 칭송으로.... 하는 말이다. 딱 알맞게, 딱 절묘하게, 마치 진짜 진부함이 아니라 진부함에 대한 사유이고 논평인 것처럼....), 동시에 예측 불허로 열정적이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이것 정말 실은 엄청난 전언이지 않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