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stella.K > 꽃차 만드는 방법




































진달래꽃 차

재료 : 진달래꽃 200g, 꿀, 잣

만드는 법 :
1. 진달래꽃을 채취하여 깨끗히 씻은 다음 물기를 말린다.
2. 꽃잎과 꿀을 용기에 겹겹이 하여 15일 정도 재워둔다.
3. 끓는 물에 15g을 넣고 풀어서 마신다. 이때 잣을 띄워 마시기도 한다.
재스민 차

매운 요리와 잘 어울리는 쓴맛이 강한 재스민차는 꽃향기를 넣어 만든 대표적인 화차로 여성의 생리통은 물론 기분 전환에도 도움이 된다.

재료 : 재스민차 5g, 물 110g, 거름망이 있는 머그잔

만드는 법 :
1. 머그잔의 뚜껑을 열고 거름망을 끼운 채 뜨거운 물을 붓고 잔을 데운 뒤 물을 버린다.
2. 따뜻하게 데운 잔에 재스민 찻잎을 넣는다.
3. 찻잎을 넣은 잔에 뜨거운 물을 붓고 뚜껑을 덮은 뒤 10초간 우린다.
4. 10초간 재스민차가 우려지면 뚜껑을 열고 그 위에 거름망을 꺼낸 뒤 차를 마신다.

장미꽃 차(Rose Tea)

재료 : 장미꽃(식용) 10송이, 설탕 1/2컵, 소금 1/4작은술---(3인분)

만드는 법 :
1. 장미꽃 10송이를 꽃잎만 따서 하룻밤 정도 물에 담가둔다.
2. 꽃잎을 건져서 물기를 닦은 다음 꽃잎위에 설탕과 소금을 뿌려 1주일 정도 둔다.
3. 꽃 색깔이 우러나면 찻잔에 꽃잎을 2스푼씩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신다.



































벚꽃차

벚나무는 앵도과에 속하며 낙엽 활엽교목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관상용으로 주로 심으며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수피는 약용으로 쓰여져 왔다.

재료 : 벚꽃 200g, 꿀

만드는 법 :
1. 싱싱한 벚꽃을 채취하여 꽃잎을 따서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2. 벚꽃에 꿀을 넣고 버무려서 용기에 15일 정도 재워둔다.
3. 찻잔에 벚꽃청을 15g을 넣고 끓는 물을 살며시 붓는다.

국화차

재료 : 먹을 수 있는 노란 국화(한방 약국에서는 말린 것을 판다) 생국일 때는 꽃만을 따서 소금을 넣은 물에 말갛게 데쳐내어 냉수에 행군 다음 물기를 짜고 바싹 말려 쓴다.

만드는 법 :
1.국화 꽃잎은 소금을 넣은 뜨거운 물에 데쳐다
2. 소쿠리에 건져 냉수로 행구고 물기를 빼내어 보관한다.
3. 찻잔을 뜨겁게 해두었다가 국화꽃을 서너 송이 넣고 끓는 물을 부어 잎이 펴 오르기를 기다렸다가 마신다.
기국차

만드는 법 :
1. 들국화, 구지자, 찻잎을 1:4:5의 비율로 넣고 지마(참께, 검은께)조금과 함께 볶는다.
2. 가루로 만들어 체에 쳐 둔다.
3. 마실 때 한 수저씩 넣고 소금을 조금 넣어 먹는다. 향수(참기름)는 기호에 따라 적당히 넣고 끓는 물에 타서 마신다.
송화차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 송화는 소나무 꽃을 말한다.

만드는 법 :
1. 송화를 모아 말린 뒤에 가루로 만든다.
2. 끓는 물에 송화가루를 타서 마시면 된다.
3. 단물을 내려면 꿀물이나 설탕을 첨가하기도 한다.




























매화차 (1)

만드는 법 :
1. 음력 섣달이 지난 후 대나무 칼로 반 쯤 핀 매화꽃을 따서 꿀에 재워 항아리에 차곡 차곡 담는다.
2. 차를 마실 때 끓는 물을 잔에 붓고 꿀에 재운 매화를 넣는다. 맑고 향긋한 꽃 향기로 차맛이 매우 훌륭하다.
매화차 (2)

만드는 법 :
1. 오매(말린 매실)의 씨를 발라내 살을 발라낸다.
2. 꿀물을 끓여서 매화 가루를 넣고 묽은 풀과 같이 만든다.
3. 자기 항아리에 담아 두었다가 더운 여름철에 물에 타서 마시면 해열에 좋다
백목련차

백목련은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4~5m가량으로 잎은 대생하고 거꿀달걀꼴이며, 이런 잎은 잎 뒤에 잔털이 있다.

재료 : 백목련 200g, 잣 약간

만드는 법 :
1. 싱싱한 백목련을 채취하여 물로 깨끗히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한다.
2. 꽃잎과 꿀을 용기에 겹겹이 하여 15일 정도 재워둔다.
3. 끓는 물에 15g(1인분)을 넣고 풀어서 마신다. 이때 잣을 띄워 마시기도 한다.
허브꽃 차

허브는 잎 못지 않게 꽃 또한 향이 강하고 색깔이 예쁘다.
뜨거운 물을 부어 차를 끓이면 독특한 향기와 색깔을 내어 차로 마시기에그만이다.

재료 : 허브꽃(헬리오트러프, 클러브 핑크)6~10송이, 물 300cc---(3인분)


만드는 법 :
1. 물이 담긴 볼에 허브꽃을 담고 부드럽게 씻는다.
2. 미리 데운 찻잔에 허브꽃을 넣는다.
3. 끓는 물을 찻잔에 부어 허브가 1~2분 정도 두었다가 허브가 우러나면 마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水巖 > 연말 연시 음주시 주의할 점

날마다 술·술·술…송년모임 술술 넘기려면

음주 전 우유.인삼차로 속 달래라









'소주 한 병이면 치사량'이라고 스스로 여기는 40대 직장인 K씨는 매년 이맘때가 괴롭다. 수첩엔 각종 송년 모임이 빼곡히 적혀 있는데 어떤 성격의 모임이든 예외없이 술을 권하기 때문이다.

주당에게도 연말은 위험한 시기다. 간밤에 필름이 끊길 정도로 과음을 하고 아침에 멀쩡하게 나와 앉아 있긴 하지만 그의 간은 '침묵의 장기'답게 속으로 신음하고 있다. 술자리가 많은 12월엔 절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연간 술 소비량의 거의 절반이 이때 소비된다. 술을 해독하는 장기인 간에게 쉴 틈을 주지 않는 것이다. 송년 술자리에서 '살아남는 법'을 알아보자.

◆빈속에 마시지 말자=공복에 술을 마시면 취기가 빨리 오른다. 알코올이 위를 빨리 통과해서다. 대부분의 알코올이 소장에서 흡수돼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반면 저녁 식사를 든든히 먹으면 위에서 상당량의 알코올이 분해돼 천천히 취한다. 위.간을 보호하려면 술 마시기 전에 부드러운 유동식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서양에선 음주 전에 우유를 마실 것을 권한다. 한방에선 인삼차다. 인삼이 알코올 중독을 예방한다는 이유에서다.

물을 넉넉히 마시는 것도 중요하다. 알코올이 물에 희석돼 덜 취한다. 음주 뒤 숙취의 원인 중 하나인 탈수도 예방해준다.




◆한가지 술로 끝내자=술은 섞어 마시지 말아야 한다. 알코올 농도가 15 ~20%인 술이 몸에 가장 잘 흡수되기 때문이다. 양주와 맥주를 섞어 만든 폭탄주의 알코올 농도가 이쯤이다. 양주에 탄산수를 섞어 거품이 생긴 술의 알코올 농도도 15% 내외다. 따라서 폭탄주나 회오리주를 마시면 곧바로 취기를 느낀다. 부득이 여러 술을 섞어 마실 경우엔 알코올 농도가 낮은 맥주부터 시작해야 한다.

술안주론 간세포의 재생을 돕는 단백질 함유 식품이 추천된다. 두부.우유가 이 조건을 잘 충족시킨다. 그러나 단 음식과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부적절하다. 짠 안주도 갈증을 일으켜 술을 더 많이 마시게 한다.

◆즐기면서 천천히 마시자=대화를 나누며 천천히 마시는 것이 건강 음주수칙 1호다. 그러면 뇌세포로 가는 알코올의 양이 적어진다.

알코올의 혈중 농도는 술 마신 뒤 20 ~120분 사이에 최고로 오른다. 알코올을 처리하는 능력(대사 속도)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한 시간에 체중 1㎏당 0.1g을 분해한다. 체중 70㎏ 남성의 경우 시간당 7g의 알코올을 처리하는 셈.

대부분의 술 한잔엔 약 15g의 알코올이 들어 있다. 성인 남성의 하루 적정 음주량은 맥주의 경우 2캔, 위스키와 포도주는 제 잔으로 두잔, 소주는 소주잔으로 서너 잔이다. 그러나 여성과 50세 이상 남성은 이의 절반이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적정 음주량이다. 알코올 분해효소가 적고, 해독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30% 정도가 알코올 분해효소가 없거나 적다. 이들에게 술을 권하는 것은 '건강을 포기하라'고 강요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올바른 음주문화의 시작은 상대방의 주량과 건강 상태를 배려해주는 마음에서 시작된다.

◆숙취를 예방하자=우유를 따뜻하게 데워 마시면 우유에 든 칼슘이 숙면을 도와준다. 비타민C를 한 알 복용하고, 잠에서 깰 때마다 물도 충분히 마셔야 한다. 아침에 숙취가 느껴지면 물을 마시고, 당분 보충을 위해 묽은 과일주스.꿀물을 마시거나 바나나를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콩나물국.북어국.선지국 등 해장국도 권할 만하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tkpark@joongang.co.kr>

2004.12.07 18:05 입력 / 2004.12.07 18:11 수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sooninara > 단축키

Ctrl키 사용




워드나 인터넷의 정보를 복사하고 싶을 때는 해당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하고 Ctrl 키 버튼을 누르고 알파벳 C를 누르면 ‘복사’가 되고 복사한 내용을 다른 곳에 붙이려면 역시 Ctrl 키 버튼을 누르고 V버튼을 누르면 된다. 선택한 내용을 잘라내고 싶은 때는 Ctrl 키를 누르고 X를 누른다. 실수로 잘못 잘라냈다면 ‘Ctrl + Z’를 사용하면 실행취소 기능이 수행된다. 드래그를 해서 일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선택할 때는 ‘Ctrl + A’를 사용하면 된다.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즐겨찾기 창을 열고 싶으면 'Ctrl + I' 또는 'Ctrl + B'를 누르면 된다. 현재의 창을 그대로 두고 같은 주소의 새로운 창을 열고 싶을 때는 'Ctrl + N'을 사용한다. 'Ctrl + O' 또는 'Ctrl + L'을 사용하면 인터넷 주소 창만 따로 뜨는데 그 창에 주소를 넣으면 가고자 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로 바로 갈 수 있다. 검색을 하고 싶다면 'Ctrl + E’를 누르면 검색 창이 떠 쉽게 검색을 할 수 있다. 현재 화면을 인쇄하고 싶다면 ‘Ctrl + P'를 사용한다. 'Ctrl + W'를 누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창이 닫히고 윈도우의 시작메뉴를 열고 싶으면 'Ctrl + Esc'를 누르면 된다.






Ctrl키 사용 단축키 정리




Ctrl+C (복사)
Ctrl+V (붙여넣기)
Ctrl+X (잘라내기)
Ctrl+Z (실행 취소)
Ctrl+A (모두 선택)
Ctrl+I 또는 Ctrl+B (즐겨찾기)
Ctrl+N (현재 열려 있는 창과 같은 주소의 새 창 띄우기)
Ctrl+L 또는 Ctrl+O (주소창 만 따로 다른 띄우기)
Ctrl+E (검색 창 열기)
Ctrl+P (인쇄 대화 상자 열기)
Ctrl+W (현재 창 닫기)
Ctrl+Esc (시작 메뉴 표시)


Alt 키 사용




인터넷을 하다가 Alt 키를 누르고 왼쪽 화살표 버튼(<-)을 함께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반대로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앞 페이지로 이동한다. ‘Alt + F’ 를 누르면 화면 상단의 메뉴 중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Alt + V’는 상단 메뉴 중 ‘보기’를 실행하고 싶을 때 누르면 된다. ‘Alt + F4’ 는 활성화 되어 있는 창을 닫는 기능으로 ‘Ctrl+W’ 기능과 같다. 또한 ‘Alt + Ese’ 를 누르면 컴퓨터 안에서 실행했던 화면이 순서대로 뜬다.






Alt 키 사용 정리




Alt + <- (이전 페이지로)
Alt + -> (다음 페이지로)
Alt+F (파일 메뉴 표시)
Alt+V (보기 메뉴 표시)
Alt+F4 (활성화 된 창 닫기)
Alt+Esc (창을 연 순서화면을 순서대로 띄우기)


Window 키 사용




키보드에 있는 Window 모양의 로고가 있는 버튼을 이용하면 역시 다양한 기능을 마우스 없이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 일단 Window 버튼을 그냥 누르면 시작메뉴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Windows+D’ 를 누르면 바탕화면으로 바로 갈 수 있고 ‘Windows+E’를 누르면 ‘내 컴퓨터’ 가 실행된다. 파일이나 폴더 검색을 손쉽게 하려면 ‘Windows+F’ 를 누르면 누르고 ‘Windows+R’ 을 누르면 실행 대화상자가 뜬다.






Window 키 사용 정리




Windows 버튼 (시작 메뉴를 표시하거나 숨김)
Windows 버튼+D (바탕 화면 표시)
Windows 버튼+E (내 컴퓨터 열기)
Windows 버튼+F (파일이나 폴더 검색)
Windows 버튼+R (실행 대화 상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stella.K > Tokumori의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stella.K > Yuko Kitazawa의 일러스트














츨처:http://blog.naver.com/anectar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개 2005-06-27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름 바꾸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