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월은 없다 - 미중관계의 미래와 한국
이호철 지음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미중관계의 미래를 주축으로, 그 상황 속에서 한국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를 엄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를 두고 분석, 예측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모자를 기다리며
미레이유 메시에 지음, 샤를로트 파랑 그림, 신유진 옮김 / 보림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이 붙어있는 한, 끝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럼프는 김정은에게 무엇을 원하는가 - 트럼프 2.0 시대, 한반도 지정학
김동기 지음 / 해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럼프 2기를 맞이하여 불안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 국가가 많아졌다고 한다. 트럼프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공과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긍정적이다. 트럼프 신정부 시대가 오히려 한국에 기회로 작용될 수 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day’s Book

 

 

 

인문무크지 아크 9: 품격| 아크 시리즈 9

_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은이) 호밀밭 2024-12-30

 

 

 

품격은 바깥으로 한눈에 드러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안에서 익어 은은하게 풍기는 향기 같은 것이다. 품격은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낼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건강검사 때 피를 뽑으면 평소 그 사람의 생활 습관이 수치로 나타나는 것처럼 매일 매일의 삶 속에서 조금씩 스미고 배어들다 어떤 국면에서 은근하게 우러나오는 고귀하고도 존엄한 가치이다.” (P. 51)

 

 

상지건축의 인문무크지 아크 ARCH-’ 9호의 주제는 품격(品格)’이다. 아크는 ‘archive, architecture, archi’와 같은 단어가 공유하는 인간과 세계의 근원에 대한 성찰을 담은 ‘ARCH’와 방주의 뜻이 담긴 ‘Ark’에서 영감을 얻어 인문학의 방주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만든 이름으로 철학, 역사, 문학을 기반으로 예술, 공간, 도시, 건축, 미디어, 일상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삶과 이야기를 매개로 우리 사회의 인문적 고양에 이바지하고자 창간되었다.

 

 

무크지()라고 해서 결코 가볍지 않다. 다방면으로 인문학적 성찰을 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책에 실린 저자와 글 제목은 다음과 같다.

 

 

허동윤 - 한 사람, 한 사람을 소중히 하는 마음

고영란 - Editor's letter

장은수 - 품격, 이타성의 다른 이름

이명원 - 품위와 적막, 루쉰을 생각하며

장현정 - 조용히 이 세계를 사랑하는 마음, 품격

김 언 - 성난 얼굴인가? 부끄러운 얼굴로 돌아보라

천정환 - 품격의 문화정치 : 그를 돼지라 불러도 될까?

류영진 - 품격의 파시즘에 대한 소고

오진혁 - 제국이 지켜온 가치와 품격(관용과 포용, 조화와 공존)

차윤석 - 욕망의 품격

강동진 - 품격 있는 도시, 그것은 본질을 지킬 때 잡을 수 있는 것

심상교 - 한국 전통미학의 품격

김종기 - 품격과 아우라에 대하여

박형준 - 고고함이 아니라 비루함에서

조재휘 - ‘문화 강국아름다운 나라는 가능한가?

이상헌 - , 품격의 동시대 가치

박찬일 - 식당에서 일어나는 품위의 순간들

조봉권 - 꾀죄죄와 오종종을 넘어동동숲에서 만나요

정 훈 - 이 학교를 보라, 명문(名門)의 정신과 형식

이성철 - 마르얀 언덕의 훈풍 : 길 위에서 만난 품격들

 

 

#오늘의책

#품격

#인문무크지아크9

#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호밀밭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무크지 아크 9호 : 품격 아크 시리즈 9
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음 / 호밀밭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크지(誌)라고 해서 결코 가볍지 않다. 다방면으로 인문학적 성찰을 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