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Book

 

 

 

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 | 역사를 알고 떠나는 인문기행 2

_제러미 블랙 / 진성북스

 

 

 

“18세기의 프랑스 사회와 지금의 프랑스 사회는 매우 달랐다. 18세기 프랑스 사회는 남녀와 계급에 있어 차별이 만연했다. 현대사회의 관점에서 보면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 것이 당연하게 느껴질 정도로 18세기 프랑스는 매우 불평등한 사회였다. 그러나 한발 뒤로 물러나 관찰하면, 18세기 불평등한 프랑스 사회는 1789년에 시작된 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었다.” (P. 184)

 

 

 

그렇다면, 프랑스 혁명의 숨은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이 책의 지은이 제러미 블랙은 영국의 역사학자이다. 지은이는 불평등과 불안정이 프랑스뿐 아니라,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까지 만연했다고 한다. 지은이는 혁명의 기폭제가 된 것은 정부정책의 충돌과 종교적 갈등이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국민들은 식량 부족문제와 전염병 창궐로 고통을 받고 있었다. 국민들은 이 모든 것이 루이 15세 탓이라고 생각했다.

 

 

프랑스는 혁명과 예술, 사상이 화려하게 꽃핀 유럽 역사의 심장이라고 한다. 이 책의 원제는 France: A Short History이다. 번역과정에서 세상에서 가장이 붙었다(그렇게 짧지는 않다). 프랑스의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다룬 책이다. 선사시대부터 중세 봉건제와 절대왕정의 시기를 지나 거센 혁명의 불길이 타오르던 순간들, 나폴레옹의 도전과 실패, 그리고 오늘날 유럽 연합의 심장으로서 활약하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역사의 결정적인 장면들이 담겨있다. 부록으로 프랑스 여행자를 위한 핵심 가이드가 추가되었다.

 

 

#세상에서가장짧은프랑스사

#제러미블랙

#진성북스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 역사를 알고 떠나는 세계인문기행 2
제러미 블랙 지음, 이주영 옮김 / 진성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원제는 『France: A Short History』이다. 번역과정에서 ‘세상에서 가장’이 붙었다(그렇게 짧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day’s Book

 

 

명언 필사- 책을 덮은 뒤에도 마음에 남는 문장들

_고두현 / 토트

 

 

눈으로 읽고, 손으로 옮겨 적으면, 마음에 새겨진다.”

 

 

살아가며 방향 감각을 상실 할 때가 있다. 대부분 이런 상태에선 제자리에서 맴돌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길을 잃고 헤매다 숨진 도보 여행자 대부분이 처음 길을 잃은 곳으로부터 불과 1.6킬로미터 안쪽 거리에서 발견된다는 리포트도 있다. 마음의 방향감각이 약해졌을 때 인생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더러 있겠지만, 그 중에 명언(名言)을 빼놓을 수 없다. 명언은 널리 알려진 말 가운데 사리에 맞는 훌륭한 말을 일컫는다. 어느 결에 내 마음 한 구석에 남아있던 말들이 내 안에서 나를 일으켜 세워주는 버팀목이 되어주기도 한다. 이 책은 전체가 명언 필사로 된 것이 아니다. 저자의 단상 중간 중간에 필사부분이 담겨있다.

 

 

어쨌든 필사 1일차

 

 

#명언필사

#고두현

#토트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첫 번째 불교책 - 중심을 잡아주는 불교의 기본과 핵심
곽철환 지음 / 김영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 입문자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저자는 불교의 중요한 교리적 흐름과 개념의 포인트를 짚어서 간단명료하게 정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나라의 평범한 심리상담소 - 누구에게나 상담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이원이 지음 / 믹스커피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우울증’이 화두로 등장했다. 정신과 진료를 더욱 미루고 피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을까 염려된다. 오랜 시간 상담소에서 내담자와 상담하며 사람들의 마음건강 증진에 기여해온 저자는 상담일에 대해 내담자와 ‘함께 걷는 일’이라고 소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