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의 빨간 외투 비룡소의 그림동화 75
애니타 로벨 그림, 해리엣 지퍼트 지음,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세 번 읽었어요" 초등 2학년인 작은 아이가 책을 가져 온 그 날 세 번을 거푸 읽었을 정도로 재미를 느낀 책이다. 딱 초등 저학년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그런 책인데, 주인공이 여자 아이란 점 옷을 소재로 이야기한 점이 우리 아이의 성정엔 딱 맞았나 보았다. 다 읽고 나서는 "엄마 우리도 이렇게 해봐요"한다. 아이에겐 안나가 외투를 얻게 된 과정이 자신도 겪어 보고 싶은 하나의 이벤트 정도로 생각된 듯 하다. 하지만 엄마인 나는 첫 장면부터 가슴이 아렸다. 전쟁의 폐허를 부옇게 처리한 첫 페이지의 그림부터,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해 딸의 물건을 마련 해 주는 엄마의 마음까지.

양털을 얻고 실을 자아서 산딸기를 따서 염색을 하고 천을 짜서 재단을 하는... 그런 과정에서 등장하는 사람들과 양과 안나와 엄마의 관계맺음이 차분하고 감동적으로 읽혔다. <안네의 일기> 중 한 편의 에피소드를 보는 듯한 생각도 들고, 가난한 날의 행복이 주는 그런 따듯함으로 미소짓게도 하는 그런 책. 인간이 사는 것은 결코 혼자 일 수 없으며 자연과 이웃들이 서로 돕고, 돌고 돌아 삶을 유지함을 이야기하는 한 편의 드라마. 요즘 아이들에게 주변에서 너무 쉽게 얻어지는 물건들의 소중함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난꾸러기 개미 두마리 국민서관 그림동화 38
크리스 반 알스버그 글 그림, 이지유 옮김 / 국민서관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장난꾸러기 개미 두 마리>는  쉽고 재미있는 책이다.

개인적인 취향으론 제목을 <개미 두 마리>라고만 했으면 훨씬 더  당기는 맛이 있었을 텐데...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스타일과 시선의 각도가 새롭다는 점에서 신선하다. 작은 개미와 대비되는 주방용품들의  큰 크기가 아이들에겐 새로움 일 수 있겠다는 생각, 반대로 아이들의 시선에서 보는 일상적인 집안의 큰 가구가 이런 모양새일 수 있겠다는 두 가지 생각이 동시에 들었다.이런 의미에서라면 어른에겐 발견을 아이에겐 공감을  주지 않을까.

원경에서 잡은 풍경만이 시원한 느낌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근경을 확대해도 이렇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구나...감탄을 하면서 봤다. 아이들에겐 세밀한 부분을 관찰하는 효과와 세상을 다르게 보는 시선을 선사할 수 있겠다. 독일 현대 사진에서 얘기하는 '인간의 흔적을 읽을 수 있는 공간'과 같은 의미에서 '개미의 흔적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사진을 보는 느낌도 들었다. 그림이 감각적이고 이야기도 은근히 재미있어 부담없이 즐기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쪽 나라 자장가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59
다이앤 딜론.레오 딜론 그림, 낸시 화이트 칼스트롬 글, 이상희 옮김 / 보림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 눈이 왔을 때 나뭇가지에 소복이 쌓인 눈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아,,이래서 북구에 있는 나라들이 환타지가 발달한 거구나...' 눈 덮힌 그 세계는 광활한, 째째하지 않은 그 무엇이 있었다.

북쪽나라 자장가는 째째하지 않은 스케일의 그림이 시선을 압도한다. 그런데 그 큰 스케일은 권위와 복종을 강요하는 무거움이 아니라 세계를 품어 안는 넉넉함과 신비함이다. 그리고 글의 내용 또한 그림의 광활함 만큼이나 넓고 깊어서, 신화의 세계로 환타지의 세계로 읽는 이를 안내한다. 특히 아이들이 엄마의 음성으로 자장가를 듣는다면 아이들은 자연과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을, 자연의 그 크고 넉넉한 품을 온 몸으로 느낄 것만 같다.

썰매 타고 하늘을 날아 올라 아이들과 북쪽나라를 여행하고 싶은 엄마 아빠들에게 권할 만한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수유


 

 

 

 

 

 

 

 

 

 

 

산수유...우리 집 근처에서 제일 먼저 볼 수 있는 꽃이다. 막연히 산수유가 제일 먼저 피는 꽃이라고 생각했는데 남녘엔 매화가 한창이란다. 나는 봄에 피는 꽃들이 좋다. 잎나기 전의 마른 가지에서 노란색 분홍색 보라색으로 꽃들을 피우는 것을 보면 귀엽고 어여뻐서 내 마음이 미칠라고 한다. 이제 산수유를 시작으로 개나리 진달래 라일락 목련들이 골목골목 피어날 것이다. 곷피기를 기다리자면 해마다 이 맘때가 제일 지루하다. 하지만 산수유가 드디어 꽃망울을 터뜨렸다. 이제 시작이다.

 

 

 

 

 

 

 

 

 

 

목련


 

 

 

 

 

 

 

 

 

 

이 목련들은 오후에만 햇빛을 볼 수 있는 곳에 서있는 나무들이다. 겨울눈은 언제부턴가 이렇게 보송보송하게 물이 올랐지만 아마도 양지에 목련이 져갈때쯤 꽃망울을 터뜨릴 것이다. 나는 봄을 늘려주는 그늘의 목련나무가 그래서 좋다.

 

 

 

 

 

 

 

 

 

 

 

혹시나 하고 단풍나무를 올려다 보았더니 단풍나무도 새 싹이 날 준비를 하고 있다. 청단풍이었는지 홍단풍이었는지 생각이 잘 안난다. 가을엔 붉은 잎을 본 것 같기는 한데...연두색 새잎이 날지 붉은 색 새 잎이 날지...지켜봐야 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2004-03-09 23:24   좋아요 0 | URL
이번 주에는 반드시 산에 가서 아이들과 봄 산의 정기를 받고 와야 겠네요.
오늘은 날이 너무 포근해서 정말 지루한 하루였어요..
아...폭설이 한 번 더 와야 해! ^^
 
우리들이 사는 집 자연과 나 34
로렌 스트링어 그림, 린다 애쉬먼 글 / 마루벌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동굴일까? 나무 구멍일까? 이렇게 이쁜 빨간 지붕 집을 어디에서 누가 내려다 보고 있지?"

라고 얘기하면서 앞표지와 뒷 표지를 무릎 위에 앉아 있는 아이에게로 활짝 펼쳐 보자. 웅크린 채 잠을 자고 있는 곰이 보이고, 동굴 밖 나무에 집을 짓고 사는 꿀벌들이 낮잠자는 곰에게로 웅웅거리며 날아 온다 아...조마조마하면서도 유머스런 장면이다. 이런 유쾌한 기분을 안고 첫 장을 넘기면 종이 상자 안에 웅크리고 앉아 책을 읽는 아이들이 보인다.

한 장 한 장 페이지를 넘기면 새, 거북, 거미, 게, 불가사리,뱀, 달팽이, 거미...온갖 동물들이 집 안에 있는 모습이 부드럽고 포근하게 그려져 있다. 따뜻하고 안정감있다. 개인적으론 이 책을 보면서 완다 가그의 '백만마리의 고양이'를 떠올렸는데, 왜냐하면 '백만마리의 고양이'에서 본 그 둥근 이미지들이 이 책에서도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크릴 물감을 이용한 그림은 둥실둥실 직선의 느낌이 없다. 직선이 간혹 사용되었어도 부드럽게 처리를 하여서 날카로운 느낌이 없기 때문에 모두 요술경 안의 풍경을 보듯 둥글둥글하다. 이런 둥글림은 자궁의 이미지를 연상하게 해서 그림의 내용 뿐만 아니라 형태에서도 포근함과 평화의 이미지를 준다. 내 안에 깃든 평화가 중요한 만큼 다른 이들의 평화 또한 존중해주어야 함이 절로 느껴진다.

읽어주는 5세 이전의 유아들에게 아주 적합한 이 그림책은 새와 벌레, 토끼등 지구상의 온갖 동물들을 '우리'의 범주에 묶어줌으로써 아이들이 자연과 어떻게 공생해야 하는지도 은연 중에 일러준다. 또 돋보기를 대고 들여다 보듯 한 공간을 자세히 들여다 봄으로써, 거기에 존중해주어야 할 생명이 있다는 것과 세계와 자연에 대한 자세히 보기를 할 수 있어 여운이 길게 남는다. 더불어 동물의 종류나 사막이나 바다 하늘 등 자연 환경에 대한 인지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달님 안녕'이나 '구두구두 걸어라' 류를 좋아하는연령대의 아이들 책꽂이에 꼭 있으면 좋을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4-03-08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깃든 평화... 유익하고 자상한 리뷰 잘 읽고 갑니다.~~

2004-03-09 2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화롭게 다녀 가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