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걸려버렸다 - 불안과 혐오의 경계, 50일간의 기록
김지호 지음 / 더난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가 정말 끈질긴것 같다

2차 3차 유행이 계속되고 미국이나 유럽은 더 심한걸 보면

이놈의 코로나가 언제 끝날련지 모르겠다

이 책의 지은이는 코로나에 걸려 50일간 국립의료원에서 입원신세를 져야했다

물론 그의 글을 보면 격리생활이 힘든지 안힘든지 모르지만

그가 격리생활을 결국 끝내고 나오면서 바이러스에게 욕을 퍼부었다는걸 보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얼마나 무섭고 힘든대상임을 짐작하게 한다

글쓴이는 마스크 안쓴 사람보면 화가 나고 욕을 퍼붓고 싶다고 하는데

정말 예의를 지키고 살아야지 안지키고 살면 안될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벅스에 간 소녀 라임 청소년 문학 28
소피 킨셀라 지음, 이혜인 옮김 / 라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피킨셀라가 쓴 책이라서 경제를 배우는 아이들에 관한 내용인줄 알았어요
그런데 뭔가 힘든 10대 소녀에 대한 이야기라서 감정몰입이 되네요
청소년 문학이지만 저도 많은 교훈을 얻는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의 노래 La mélodie d’étoile
고은별 지음 / 재정사(JJBooks)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예쁜 시들이 많네요
저도 이런시를 지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예쁘고 톡톡튀는 리듬의 시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의 신 오늘 메디컬북스 베스트 시리즈 7
로빈 쿡 지음, 문용수 옮김 / 오늘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빈쿡은 예전에 정말 유명한 작가인데 저번에 알라딘 서점에 갔다가 이 책이 눈에 띄어서 별생각없이 집어 들었다

이 책이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였다는데 약간 이해가 안갈수도 있다

의사인 입장에서 '그냥 이럴수도 있겠구나'할수 있는 소재라서...

이 책에는 미국 의료계에서 잘나가는 의사들이 등장한다

우선 이 책의 악역은 외과의사인데 정말 이해불가의 인물이다

사회의 성공가도를 달리는 유망한 의사가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이유없이' 죽이는지 아무도 모른다

게다가 마약에 도취되고 마약에 취한채 수술을 한다

로빈쿡의 소설은 미국의료계의 비열하다는 현실을 '고발'하는 작가인데

사실 그도 미국의료계의 잘나가는 의사이다

그런 그가 이런 소재로 책을 여러편 냈다는 사실이 참 아이러니 하다

요즘도 의료계가 말이 많다

먼저 의사가 되려는 사람들도 의사고시를 무단으로 거부하는 등 

의료를 받는 입장에서도 약간 공포심을 느끼게 되는 사회적 상황이 많이 연출되고 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 '낭만의사' 등의 공영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드라마는 그저 연출일 뿐인것 같다

물론 여기 이책에서도 로맨스는 등장한다

외과의사의 아내 캐시의 초반의 완벽하고도 행복한 결혼생활과 남편과의 결혼전에 결혼신청을 한 남자들이다

하지만 이 로맨스는 남편 토마스 킹슬리의 엽기적인 행각으로 비극적이고도 끔찍한 파국을 맞게된다

로빈쿡이 그 좋은 의사커리어를 마다하고 이런 의학소설을 썼던 이유가 뭔지를 모르겠지만

그가 독자들에게 알리려고 했던것은 바로 이런것이 아닐까 싶다

'눈에 보이는데로 믿어서는 안된다'

이말인 즉슨...의사는 물론 다른 휘황찬란한 커리어를 가진사람이라고 해서 그사람 '편'만들고

'옹호'만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 화려한 사람의 내면을 누가 알겠냐?? 자기만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조나 레러 지음, 최애리.안시열 옮김 / 지호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쓴 조나 레러는 젊은 나이에 성공한 잘생긴 저널리스트이다 

그는 또한 신경과학자이기도 하는데 신경과학과 인간에 대한 책을 많이 쓴것 같다

이 책에는 다양한 예술가가 등장하는데

시인 휘트먼, 조지 엘리엇, 요리사 에스코피에, 마르셀 프루스트, 세잔, 스트라빈스키 등등 다양한 예술가가 등장한다

인간의 오감은 과학적으로 분석가능하다

왜냐면 뇌라는 것이 물질이기 때문에 

하지만 인간의 의식은 '과학 너머에' 있다고 보며 분석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인간들은 예술작품을 만들며 '인간의 행동과 의식 등등'에 관해서 이해한다

나는 가끔 예술은 과학을 모사한다고 생각한다

과학에 근접하기도 하고 과학을 그냥 비꼬기도 하며

과학을 흐릿하고 이상하고 기묘하게 접근하는것이 예술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 조나 레러는 콜럼비아대학에서 신경학을 전공한 신경과학자인데 

본인의 전공과 접목하여 예술에 대해 이 책을 썼는데

만약에 다른 과학자 -예를 들어 천문학자, 물리학자, 수학자, 화학자 등등이 예술에 대해 글을 썼으면 인간의 인식이나 감각과 예술에 대한 내용 대신에 어떻게 예술이 입자물리학을 바라보는가?

어떻게 예술이 수학과 관련있는가?를 썼을 것이다

아무튼 과학은 냉랭하고 딱딱하지만 예술이란것은 정말 아름답다

하지만 과학과 예술이 서로를 모사한다는 사실이 흥미로운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