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의 약속 - 불행한 자들을 위한 문화비평 ㅣ 딕테 시리즈 2
사라 아메드 지음, 성정혜.이경란 옮김 / 후마니타스 / 2025년 1월
평점 :
작년에 독서 모임 멤버들로부터 성실하다는 칭찬을 받았다. 모임에 빠지지 않고 읽어와야 할 분량을 읽어오고 정리하자고 하면 꼭 몇 글자라도 끄적여서 오고, 그래서 멤버들은 나를 모범생, 우등생, 이라고 불렀다. 나도 안다, 그게 칭찬인 것을. 그러나 나는 모범생이라는 단어를 듣는 순간부터 거부감을 가졌다. 칭찬하는 말에 적절한 대응법을 (아직도) 모르겠어서 흥흥 웃고 말았지만, 그 후로 왤까, 계속 생각했다. 뭐가 싫은 걸까.
모범생, 우등생, 학교에서 말 잘 듣고 허튼 짓 안하고 곁가지로 빠지지 않고 시키는 것(만) 잘하는 사람. 내 머릿속에는 하라는 대로 잘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만 둥둥 떠다녔다. 이건가, 내 거부감은. 사실을 말하자면 학창 시절 나는 모범생으로 보이기는 했지만 우등생은... (아주 잠깐 그렇기도 했지만 대체로 절반쯤은) 아니었다. 시키는 걸 잘하고 싶었으나 애를 쓰지는 않았다. 애를 써도 할 수가 없었다. 학창 시절도 지나고 사회 생활도 지나오고 기혼 생활도 웬만큼(?) 해본 나를 돌아보자니, 떠오르는 에피소드 속의 내 모습이 아주 적확하게 '정서 이방인'이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는다. 늘 그렇지는 않았어도 자주 그랬다. 하. 나는 뼛속까지 이방인이었어. 그걸 알아서 항상 나를 탓하며 살았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 안 돼, 이상한 짓 하지 마, 벗어나면 안 되지...
다시 모범생이라는 말로 돌아오면, 정서 이방인으로서 나는 모범생이었던 적이 없다고 해야 맞을 듯하다. (역사를 다시 쓰자.ㅋ) 좋아하는 것을 했고 약속을 했으므로 그 약속을 지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과 모범생이라는 단어는 합치될 수 없는 것이었다. 나는 그래서 그 단어로 칭찬받는 것이 싫었다. 무언가를, 누군가를, 칭찬하는 말도 새로웠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때로는 칭찬이 싫음, 기분 나쁨을 가져오기도 한다는 걸 생각했다. 이런 생각이 '올바른' 생각인지를 생각했다.
나를 수동적 인간이라고 여겼다. 사람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안 되는 거지만 대체로 그렇다고 여겼다. 그러나 알다시피 우리는 한 가지 면만 갖고 행동하지 않는다. 같은 행동이라도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내가 '정서 이방인'으로 행동한 순간들을 떠올리면 그건 단순히 수동적,이라는 단어에 집어넣을 수 있는 것들이 아니었다. 내가 불행하다고 느꼈던 것, 수동적이라고 생각했던 것, 그 모든 게 부정적이라서 내 입꼬리는 항상 아래를 향하고 있다고, 아주 불만이라고, 여겼던 것 들이 실은 자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렇게나 뒤늦게 알아차리는 거, 이거야말로 '행복'이겠지.ㅋㅋ 그런데 '어쩌면' 나는 이미 알고 있었는지도 몰라. 우등생이 되고 싶었지만 방법을 몰라서 못했던 때처럼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몰랐을 뿐일지도.
남들과 비교해 내 삶이 보잘것 없고 '실패'했다고 생각하다가, 아니다, 그런 게 어딨어, 정해진 기준은 없고 세상에 '성공'한 사람만 잘사는 건 아니다, 따라서 나는 실패한 게 아니야, 그냥 내 삶을 살고 있는 거지, 하고 생각의 전환을 이루었으나, 곧 이건 '합리화'가 아닌가 싶어 나를 의심하기를 반복했는데, 이젠 정말 그러지 말아야 한다고 책을 덮으며 또 생각했다. 세상의 모든 기존 관념의 연장선에 내 생각을 놓는다. 기존 관념을 의심하는 시각으로 내 생각을 본다. 그거 또다른 기존 관념 아니야? '합리화'라는 말로 너를 다시 옭아매려는 술책? 그렇게 생각하면 된다. 자책은 금물이다. 자책할 시간에 책을 한 글자 더 읽자.
도입부가 어려워서 어렵다고 끙끙거렸다. 다시 읽으면 덜 어려울 것같은 느낌이다. 그러나 읽으면 읽을수록 좋아서, 물론 아메드의 말을 따라 나를 생각하면서는 슬펐지만, 그 슬픔은 좋은 슬픔이었다. 나는 이제 이 느낌을 기분 좋은 슬픔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가슴이 아프지만 좋은 느낌이라고, 좀 고통스럽지만 기분이 좋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사라 아메드 덕분이다.
잘난척하는 사람을 보면 묻고 싶었다. "그래서 넌 행복하냐?" 내 눈에는 하나도 행복해보이지 않는 그 사람은 분명 행복하다고 대답했겠지. 이런 게 행복 아니겠냐고 말했겠지. 나도 내 기준에서의 행복이라는 관념을 설정해두었을 것이다. 내 기준에서의 행복. 그걸 아직 '행복'이라는 단어로 표현해야 하는 것이 아쉽다. 그땐 좀 헛발질하는 느낌으로 행복이라는 걸 상상했다면 지금은 발 끝에 단단하게 무언가가 와닿는 느낌으로 '좋음'을 상상한다. 그게 별것 아니라는 사실, 스쳐지나가는 것이라는 사실, 이미 수없이 스쳐보냈고 지금도 그러하고 앞으로도 그러하리라는 사실, 그러므로 우리는 새로운 언어를 개발해야 한다는 아메드의 말을 되새긴다. '행복'에 굴복하지 않기 위해.
자주 쓰던 단어 '어쩌면'이 심하게 더 좋아질 것같은 느낌이다. '어쩌면, (행복)'!
(밑줄들은 '결론'에서 가져왔다.)
⌈행복은, 니체가 이야기하듯, 당신이 하도록 요청받은 것을 따르는 방식일 수 있다. ...... 우리는 능동적 활동과 수동적 활동을 경험하는 방식의 질적 차이를 설명할 언어를 개발해야 한다. 그러려면 능동과 수동의 구분 자체에, 그런 구분이 존재의 계급 구분을 고정하는 방식에, 행복한 사람과 길을 건너는 닭들을 고통 받는 영혼과 움직이지 못하는 길들과 구분하는 방식에 도전해야 한다.⌋ (378)
⌈로드는 작품 내내 우리가 상처 주는 것으로부터 보호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단지 상처를 느끼기 위해서가 아니라 무엇이 상처를 야기하는지 알아차리기 위해 작업하고 투쟁해야 한다. 이 말은 알아차리지 않도록 배워 온 것을 탈-배움unlearning하라는 의미다. 힘과 피해의 관계인 폭력이 어떻게 다른 신체가 아닌 어떤 신체로 향하는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려면 이런 작업이 필수적이다. ⌋(388)
⌈이 책에서 내 목적은 나쁜 느낌들이 단순히 반작용적인 것이 아니라는 걸 살펴보는 것이었다. 나쁜 느낌들은 끝나지 않은 역사들에 대한 창조적 반응들이다(Ahmed 2004:200~202도 참조). 우리에게 불행할 의무가 있다고 말하려는 게 아니다 - 견딜 수 없는 것으로 경험될 수 있는 느낌에서 로맨스나 의무를 만들어 내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나는 단지 불행을 극복해야 할 느낌 이상의 것으로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390)
⌈가능성을 받아들이려면 과거로의 회귀, 즉 우리가 상실한 것뿐만 아니라 현재 가지고 있는 것, 포기한 것뿐만 아니라 포기하지 않은 것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가능성에 대해 배우는 것은 계보학을 하는 것, 현재의 도착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현재를 궁금해 하는 것이다. 그래서 가능성에 대해 배우는 것에는 현재로부터의 일정한 소외가 수반된다. 익숙한 것이 물러나면 다른 일들이 발생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이유로 정서 이방인들은 창조적일 수 있다. 우리는 그릇된 것들을 바랄 뿐만 아니라, 포기하라고들 하는 가능성을 받아들이고, 이런 바람들을 중심으로 생활 세계를 창조한다. 우리가 행복에서 멀어져야 일이 벌어진다. 우연 발생이 생겨나는 것이다. ⌋ (392)
⌈불행할 자유는 부적절한 방식으로 행복할 자유를 포함한다. 그런 자유는 행복 하중을 가볍게 할 것이다. 불행할 자유는 그러므로 행복을 제쳐 두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목적은 우연발생을 행복 안으로 되돌려 놓는 것이다.⌋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