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에 볼일이 있어 서울에 잠시 다녀왔었다.
자가용으로 움직이다 보니 다 같이 움직이자!
일사분란하게 새벽에 눈 뜨자마자 씻고,
착착착착착(다섯 명) 자리에 앉았다.
올라가는 길에 차창 밖으로 본의 아니게 일출 광경을 무심하게
쳐다보다가, 뒷좌석을 넘어다 보니 애들은 곯아 떨어져 있었다.
장거리다 보니 중간 중간 휴게소에 들러 끼니를 때우고,
주전부리를 먹다 보니 내 얼굴이랑 다리가 빵빵 부풀어 오르는 느낌이 든다. 이래서 장거리 여행에 나이 드신 부모님들이 왜 부담스러워 하시는지 알 듯도 했다.
그나마 압박 스타킹이라도 신었으니 조금 안심이다.
긴 시간 남편이 운전해 준 덕분에 도착한 서울은 처음엔 놀라움이다. 차도 많고, 빌딩도 많고, 사람들도 많고, 한강은 이쁘지만 미세먼지 뿌얘서 저만치 앞이 잘 보이지 않고...모든 것이 낯설고 생경하다. 서울 사람들은 이곳에서 어떻게 살아갈까? 재미나게 살고 있을까? 아니면, 그냥 그렇게 살고 있을까?
어느 곳을 여행하다 그 곳에 처음 도착하게 되면 늘 이 생각이 먼저 든다. 이 곳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는 걸까?
서울은 지방 소도시에 사는 우리들에겐 우리나라 중심도시란 인식이 박혀있긴 하지만, 살짝 먼 나라처럼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모든 것들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기에, 의료시설 혜택을 받고 싶을 때는 다들 서울로 올라가 치료나 수술을 받고 온다. 그래서 서울 쪽 병원에 다니러 갔다.라고 하면 큰 병? 인가 보다.라고 짐작만 한다. 실제로 친정 엄마도 서울에서 큰 수술을 하셨던지라, 서울 톨게이트 입구에 들어서면 늘 엄마 병원을 오르내렸던 그 무거운 기억에 짓눌려 썩 들뜨는 기분이 들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서울은 공연이나 전시회를 보러 가는 곳이기도 하다. 모든 큰 공연과 큰 전시회는 서울에서 열린다. 아이들에게 서울은 좋아하는 아이돌 콘서트를 구경하러 놀러가는 곳이다. 아이들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팬카페에 회비를 걷어 고속버스를 대절하여 하루만에 콘서트를 다녀오는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개인으로 KTX를 타고 올라가 콘서트를 보고 오는 것도 같다.
그래서 서울은 내게 있어 치료하러 가는 곳, 공연보러 가는 곳으로 인식된다.
그러다 이번엔 볼일도 보면서 둥이들이 여기도 가보고 싶다, 저기도 가보고 싶다고 성화를 부려 바쁜 일정에도 지하철을 타고 두 세 군데 돌아보고 왔는데, 그동안 뭔가 너무 많이 바뀐 환경에 조금 놀랍고 어리둥절하여, 그야말로 나 홀로 촌놈 표시를 팍팍 내고 왔었다. 둥이들이랑 길을 걷다, 마침 이대 앞을 지나는 길이었는데 젊은 언니들이 넘 이뻐서 멍~
둥이들이랑 이대 들어가보자! 셋이서 쫓아들어갔었다.
들어갔더니 마침 졸업식 날이었나 보다.
이쁜 졸업생들이 더 많았다. 다 예뻐!
미모지상주의인 나로선, 그야말로 헤~ 하면서 힐끔힐끔 훔쳐봤다.
젊음은 이렇게 보나, 저렇게 보나, 모든 게 다 이쁘다.
나도 저럴 때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부러웠다.
사회 초년생이 될 그들,
앞으로 펼쳐질 그녀들의 생이 반짝반짝 빛났음 싶다.
그녀들이 사는 세상은 부디 좀 더 나은 세상이길!
딸을 키워서인지? 그녀들이 예사롭지 않게 보였다.
둥이들이랑 왜 다들 저렇게 예쁜 것이야?
젊어서 이쁜 건가? 수다 떨며 우리집 남자들을 만나, 지하철을 타고, 광화문 교보문고로 갔다. 막내가 해운대 교보문고를 다녀오더니 서울 교보문고에 꼭 가보고 싶대서 광화문을 갔었다.
그런데 교보가 광화문에만 있었던 게 아니란 걸, 다락방님과 댓글을 나누다 뒤늦게 알았다.
나는 거기에만 있는 줄 알고 애들을 데리고 갔더니 아니, 이 녀석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문구류 쪽으로 냅다 달려가는 것이다. 교보에 책을 보러 간 게 아니고, 문구류 보러 간 것이었다. 이럴 거면 왜 왔을까? 허탈해 하며 왼쪽으로 고개를 돌린 순간, 헐~~ 남편과 둘이서 어마어마 하다이!!!!
중소도시 작은 서점만 보다가 대도시 대형 서점을 바라보니 현기증 살짝 날 것 같았다. 그리고 책을 보는 많은 사람들!!!
그동안 집에만 틀어박혀 너무 사람 구경을 안 한 탓인가?
사람들이 가는 곳마다 많았다. 그리고 책을 읽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았단 말인가?
그런데 교보에도 중년 여성들이 눈에 띄었었는데 또 예뻤다.
아니, 왜 다들 예쁘지? 저들 중에 알라디너들도 혹시 있나?
상상하니 재밌었다.
암튼 휘휘 둘러보며, 기념으로 책을 사려는데 막상 뭘 골라야 할지 몰라 계속 둘러보다 결국 습관처럼 이승우 작가의 소설책을 집었다. 그리고 마침 <흰옷을 입은 여인> 보뱅의 책이 눈에 띄었다. 잠자냥님 리뷰를 읽은지 며칠 안되었기에 더더 눈에 들어왔었다. 그렇게 서울 교보 들른 기념으로 두 권만 사고, 북마크는 왕창 사고....ㅜㅜ
다음 날은 코엑스에 잠깐 들렀다가 집으로 일찍 내려왔다.
삼성동 코엑스에 들른 김에 결혼 전, 잠깐 다녔었던 회사 사무실을 찾아보느라 걸어갔는데....음! 외국에 온 줄 알았다.
너무 많이 바뀌어 있어 깜짝 놀랐다. 특히나 저 건너편은 한전 본사 건물이 있었던 것 같은데 그 사옥은 온데간데 없고, 다른 사옥을 짓느라 한창이었다. 저 곳이 저럴진대, 내가 다녔던 작은 건물이 여적 남아있을 턱은 없겠지만, 어디가 어딘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곳이 되어 있는 모습은 뭔가 허탈함으로 사람을 멍~하게 만들었다. 약간의 광장 공포증도 몰려오는 느낌이 들어 얼른 아이 손을 잡고, 집으로 내려왔다.
고요하고 적막한 우리 동네.
이 고요함을 느껴야 이제 우리 집에 왔다는 안도감이 밀려 오곤 했었는데, 이번엔 좀 기분이 싱숭생숭하여 며칠 째, 이 기분이 이어져 온다. 그래도 어제보다 오늘이 조금 더 낫긴 하다만...
어젠 울집 막내, 남편 차에서 내릴 때, 안경을 놓고 내렸다.
안경을 안 쓰니까, 눈이 자꾸 뱅글뱅글 도는 것 같단다.
어제 아침 자고 일어나더니 갑자기 아빠한테 안경 찾으러 가겠다고 했다. 금요일 저녁에 아빠가 가져 올텐데?라고 말을 해도 녀석은 안된단다.
그래서 또 녀석이랑 고속버스를 타고 안경 가지러 거제도에 갔다.
고속터미널에 내리니 차멀미가 살짝 나 기분이 좋지 않았다.
해서 딸이랑 시내를 한 바퀴 돌았다.
거제 고현은 시장 쪽만 사람들이 붐볐고, 반대 쪽은 한산했다.
며칠 전만해도 사람들 북적이는 서울에 있다가, 조용한 거제에 있으니 괴리감이 들었다. 그래서 또 이곳 사람들은 뭘 하고 살까? 그 생각을 하며 걷다가, 걷다가 작은 다리 위에서 물 위를 떠 다니는 오리 구경을 하니 멀미도 얼추 달아났다.
막내랑 물 구경을 하니 이 곳에 진정 여행을 온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신호등 맞은 편에 작은 카페가 보여 허브차를 시켜 둘이서 마주보고 마시며, 들고 간 김혜진의 소설을 조금 읽었다.
남편은 곧 퇴근하여 ˝니 일부러 아빠 차에 안경 놓고 내렸제? 고단수다. 고단수야! 아빠한테 놀러오고 싶어가 난리네. 난리야˝
반가우면 반갑다고 하면 될 것을,
꼭 저렇게 말을 빙빙 돌리는 걸 보면 역시 변하지 않는 나의 반려인답다.
고현 시장 안에 남편이 자주 들른다는 횟집에 찾아가 모듬회랑 물회를 먹고 다시 고속버스를 타고 늦은 밤 집에 도착했다.
며칠 새, 이 곳 저 곳, 왔다 갔다 하니 정신은 좀 없었다만...
뭐랄까? 사람 사는 모습이 참 다양해 보이긴 하지만, 다 거기서 거기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여행 후유증이 많이 사그라 들었다는 말인 것이다.
밥도 하기 싫고, 반찬도 하기 싫었는데...
다시 또 시작해야 할 것 같다.
내 삶은 내가 또 꾸려나가야 할테니..
그동안의 게으름 걷어내자고 주문을 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