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시다모 디카페인 - 200g, 홀빈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1년 10월
평점 :
품절


시다모 난세보를 뇸뇸 맛있게 마시고 시다모 디카페인도 사 봤다. 지난 달 커피쿠폰 다 써서 가족 아이디 털었다...다른 곳에서 산 디카페인 드립백이 맛없던 기억에 큰 기대 안 해...했지만 알라딘은 디카페인인데 왜 맛있어! 오후에도 드립커피를 마실 수 있다니! 너무 신나서 금세 다 마셔 버렸다. 향이 생각보다 약하지 않았다. 그런데 디카페인이라고 맘 놓고 너무 퍼 마셔서 문제...ㅋㅋㅋ이번엔 그냥 원두 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하는 습관 - 위대한 창조의 순간을 만든 구체적 하루의 기록
메이슨 커리 지음, 이미정 옮김 / 걷는나무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0510 메이슨 커리.

원제: 
Daily Rituals: Women at Work

전작 ‘리추얼’이 있는데, 후속작으로 여성 예술가들만 다룬 이 책을 냈다고 한다.
책 광고를 보고 무척 궁금해서 사?말아? 했었는데 알라딘 램프에어 이벤트에서 한 달 무료 대여를 해줘서 너무 신나하며 빌렸다.
전에 읽은 ‘미친 사랑의 서’처럼 다수 작가들의 이야기를 나열하는 형식이었는데, 음, 앞으로 이런 식의 책은 더 읽을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기대에 비해 지루하고 재미없었다. 더디게 겨우 읽었다. (공짜로 봐놓고 미안해요…)

이유를 생각해보니, 엄청 많은 예술가들-소설가, 시인, 작곡가, 가수, 화가, 조각가, 행위예술가, 배우 등등-이 나오지만, 아는 사람이 거의 없는 게 첫번째 이유이다. 그래도 정말 흥미로운 작가들은 구글로 검색해가며 그들의 작품과 초상을 찾아보았다. 모르던 예술가들을 알게 된 건 나름의 소득, 감사할 일. 

또다른 이유는 작가들의 일상-언제 일어나서 개랑 몇 시까지 어디를 산책하고 식사는 무슨무슨 음식을 먹고 줄담배나 알코올을 달고 살거나 입에도 대지 않거나 등등의 사람 사는 일이 계속 반복되니까 지루하고 의미 없게 느껴졌다. 그냥 사람 사는 일은 다 똑같고, 먹고 사는 일은 구차하다, 하는 기분만.

줄줄이 달린 아이에다 뒤치닥거리해야 할 남편에다 먹고 살기 위한 일자리(하필이면 가르치는 일 하는 사람이 많았다…)까지 유지하며 창작활동을 한 작가들을 보면 내가 게으른 건가, 저들이 초인인건가, 이걸 보고 투지를 불태워야 하나, 아니면 부조리에 분개하고 저게 정상이냐, 이게 삶이냐, 가정이냐, 나라냐, 하고 열을 내야 하는지 혼란스러웠다. 
반대로 창작을 위해 결혼도, 아이도 선택하지 않은 삶을 누린 사람들을 보며 괜시리 부럽기도 했다. (부러워하지마...이번 생은 망했어…)

표현주의 화가 알마 토마스 작품. 이 블로그 어마어마하다. 국내 최대 온라인 미술관 인정. 가끔 놀러가야지.
 https://m.blog.naver.com/leespider/221142911198

로사 보뇌르의 말 시장 그림. 신통한 구글.
https://g.co/arts/PQYVmNRkQE8xit7x8


범상치 않은 에너지와 아우라, 퍼포먼스 아티스트 르네 콕스
홈페이지 https://www.reneecox.org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5-10 18: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10 18: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10 18: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10 19: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식쟁이 2020-05-11 2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돌아오셨군요. 오실줄 알았어여. (배시식)

덕분에 알마 토마스 적어가요. 아이들이랑 함께 더할수 있는 부분들이 보여요. ㅎㅎ
아유~ 감사하기도 하여라..

2020-05-11 21: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손길이 닿는 순간 당신에게 일어나는 일 - 촉각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의 과학
마르틴 그룬발트 지음, 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20200506 마르틴 그룬발트.

예전엔 촉각 꿈을 자주 꿨다. 꿈에서도 누군가, 뭔가를 만지고 느낄 수 있었다. 요즘에는 꿈 자체가 줄었고 촉각 꿈도 안 꾼지 한참 됐다. 
감각에 대한 책을 갖춰 놓았다. 감각의 박물학, 터칭. 그 책들을 아직 읽지도 않았는데 이 책 제목에 눈길이 꽂혀 빌렸다. 
제목이 나긋나긋하지만 내용과 별로 어울리지 않는다. 제목에 낚였다. 으악.
첫 장부터 과학, 의학용어가 쏟아지고 딱딱해서 혼났다. 그래도 참고 읽으면 건질 게 있겠지 싶었는데 끝까지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굳이 알게 된 걸 한 줄 요약하면.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자세한 걸 잘 알 수 없지만 촉각은 많은 분야에서 중요하다. (그러니 저자가 속한 연구소가 많은 연구를 하도록 펀딩해다오…)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신체나 피부를 통해 감각하는 원리부터, 신생아, 중증환자, 신경과적 손상을 입은 사람, 거식증 등 특수사례에 이르기까지 촉각이 건강이나 지각,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데 다소 중구난방이었다. 게다가 중간중간 오타, 비문, 이해가 안 되는 번역투까지… 책 자체가 전문 지식 나열인 것도 난제인데 저런 단점들이 더해져 별로 즐겁지 않은 독서였다. 마지막 햅틱 기술 부분은 아예 휙휙 넘겨 버렸다...하아… 누군가에겐 좋은 책이겠지...내가 이 책을 읽을 만한 준비가 안 된 거겠지...
쟁여놓은 책들이 위로가 되길 빌 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5-10 16: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10 18: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5-10 2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왜 다른 사람과의 섹스를 꿈꾸는가 - 성 심리학으로 쓴 21세기 사랑의 기술
에스더 페렐 지음, 정지현 옮김 / 네모난정원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20200505 에스더 페렐.

원제가 Mating in Captivity인 걸 생각하면 제목은 별로 못 뽑은 것 같다. 오히려 저자의 최근작 우리가 사랑할 때 이야기하지 않은 것들-이 이 책 제목과 근접한 내용이다. 그 책이 꽤나 좋았어서 저자가 10여년 전 쓴 전작도 궁금했다. 그래서 구해 읽었다.
원제를 구글에 돌리면 포로 짝짓기,로 번역한다. 웃긴데 또 어울렸다. 이제는 식상해질 수준의 가족끼리 그러는 것 아니라는 자조 섞인 농담, 잡은 물고기에게는 먹이를 주지 않는다는 잔혹한 말, 요즘 인기인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외도와 이혼과 복수 같은, 안정과 평온이 깨진 가족이라는 소재가 너무 흔해진 상황. 권태기라는 말.

이 책은 부부 또는 오래된 연인이 어떻게 하면 관계를 잘 유지하면서 동시에 열정을 되살리고 서로의 욕망을 충족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친밀감과 열정은 양립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안전함과 모험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도 현대의 사랑과 결혼생활은 만능통치약처럼 모든 걸 이루는 해결책이길 기대받고, 그래서 현실에서는 그 어려운 과제에 좌절한 사람들이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어 마지못해 같이 살거나 헤어진다. 
애초에 어려움을 인정하고, 내려놓고, 더 노력할 부분을 짚어준다는 점에서 좋은 책이었다. 좋은 책이고 많이 읽힐만한 책인데 책 기획이랑 한국어판 제목 선정이 좀 아쉬웠다. 
오스카 와일드의 말을 인용한 게 와 닿는데 정작 본인이 임신한 부인 까 버리고 새로운 남자들과 어울려지낸 걸 생각하면 좀 속이 터지기도 한다. ㅎㅎ
“이 세상의 비극은 두 가지다. 하나는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다.”
연인이나 배우자를 애초부터 소유, 독점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 자체가 문제의 시작일지도. 관계가 영원하지 않다는 걸 깨닫는다면, 언제라도 이 사람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사랑은 내내 절실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주로 못 풀어 낼 인생고민은 없다 - 돈, 섹스, 인연이 고민인 그대에게
김희숙 지음 / 리텍콘텐츠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0430 김희숙.

왜 이런 책을 골랐나 싶었는데 ㅋㅋ읽다보니 사람 사는 이야기 읽는 재미도 있었다.
저자는 사주보는 역술인인데, 글로 풀어낸 사례는 그냥 일반적인 심리 상담에 다르지 않았다. 인간관계에 집착하고 되도 않는 욕심부리는 사람들에게 내려놓는 법을 권한다. 상담 사례 뒤에 에필로그처럼 편지글과 함께 자신이 읽은 책을 인용해서 더 하고 싶은 말을 전한다. 역시 무슨 분야에서 일하든 책을 읽어야 해.
관계에 대해 조언하고 읽은 책 구절을 소개하는 건 흔한 책의 구성 방식인데 거기에 내담자의 사주를 곁들여 이런 점이 특징이고 이런 부분이 부족하고 하니 또 새로운 장르가 되긴 했다. 그딴 거 안 믿어 하던 사주에 갑자기 관심이 갔다. 막 인터넷에서 무료 사주 같은 거 찾아봤다. 그래도 그딴 거 안 믿어. 하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