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에서 같이 읽었는데 생각외로 처음 읽는 사람이 많았다. 뮤지컬로 먼저 접한 사람들은 줄거리가 너무 판이하여 놀랐다고. 생각해보면 프랑켄슈타인은 유독 2차 저작이 많은 작품이고, 그 과정에서 아예 새로운 이야기가 탄생한 경우도 많았다. 내가 어렸을 적 봤던 B급 영화에서는 프랑켄슈타인이 엘리자베트를 사랑하게 되는 3각 치정물도 있었으니까.
한 마디로 메리 셸리는 프랑켄슈타인 장르의 어머니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녀는 메리 울스턴크래푸트의 딸이자, 17살에 사랑의 도피를 하고, 남편과 동생과 바이런과 함께 추문에 휩싸이며 엿보기의 대상이 되기도 했고 19살에 프랑켄슈타인을 썼다. 와우, 20살도 되기 전에 이렇게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게다가 19세기 초에 교회 앞마당은 육신의 저장소에 불과하다는 냉소적 표현을 거리낌없이 쓸 뿐 아니라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무명의 생명체를 만들어냈고, 스스로 신이 되고자 했던 과학자의 책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했다. 그녀가 프랑켄슈타인 박사에 몰입을 했는지 무명의 생명체에 더 감정이입을 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하룻밤새 폭포처럼 쏟아져나온 무명의 생명체의 고백을 읽노라면 똑같은 종족, 똑같은 결함을 가진 반려자를 원하는 존재에게 연민이 생기게 된다. 왜 박사는 자신이 창조한 생명체가 괴물로, 악마로 변모하게 방치했단 말인가.
무명의 생명체가 몰래 들은 ‘제국의 몰락‘, 스스로 읽은 ‘실낙원‘,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책이 전체 소설에서 어떤 것을 상징하는지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으나, 이후 일정 때문에 말도 못 꺼내본 게 아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