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이 좋게도 내가 다녔던 회사는 항상 공원을 끼고 있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장충단 공원, 남산공원, 목동공원에 이어
지금은 건물 나서서 주차장만 지나면 바로 월드컵경기장 공원이 이어진다.
어쩌면 무의식의 발로일 수도 있는데
지금 다니는 회사로 옮기기 전 다른 회사에서도 제안을 받았었는데,
그 회사는 연봉도 더 높고 직원복리후생도 더 좋지만
왁자지껄한 유흥가 그것도 모텔촌에 둘러싸인 곳이었다.
표면상으로는 친정과 멀다는 이유로 그곳을 고사하고 여기를 선택했는데,
저 밑바닥 심리에는 다른 마음이 숨어있었을 지도 모른다.

나중에 그 회사에서 나온 성과금 액수를 듣고 배야 아팠지만
요즘같은 봄날이면 그까짓 돈쯤이야 콧방귀를 뀔 수도 있을 것 같다.
화사한 봄바람에 싱숭생숭한 건 나뿐이 아닌 듯,
늘 블라인드를 내리고 살던 사무실 사람들이 창밖이 훤히 보이게 올려놓고 있다.
흐드러진 벚꽃과 개나리와 진달래와 산수유와 목련의 향연에
이번주부터는 제법 신록도 어우러지고 있어 가히 눈이 호사하고 있는데
오늘은 결국 참다 못해 우체국 갈 일을 억지로 만들었다.

신입사원은 군심부름 안해서 좋고
나는 공원따라 조성된 벚꽃길을 즐길 수 있어 좋고
우체국 심부름은 그야말로 일석이조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리석게도 나는 오늘 하나 부치고 내일 또 하나 부치면 될 것을
홀랑 두 개 다 보내는 우를 저질렀놓고 이제와 사람들에게 기웃거린다.

"혹시 누구 우체국 갈 일 없어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11-04-19 2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저요 저요~~
요즘 풍경이 참 예쁘죠. 낼은 저도 핑계대고 나갈래요.

꿈꾸는섬 2011-04-20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체국 가는 길이 참 좋군요. 전 그제 남편 심부름으로 다녀왔는데 우리 동넨 영 아니에요.ㅜㅜ

조선인 2011-04-20 0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실님, 사진기도 꼭이요~
꿈꾸는섬님, 이궁, 꽃세상이 아닌가봐요. 이렇게 좋은 날인데 말이죠.
 

원어데이에 '아르미안의 네딸들'이 떴습니다.
소장본이 원체 낡은지라... 애장본에 눈독 들이고 있었는데...
파격특가 56,000원입니다.
비교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중고보다도 쌉니다.
관심있는 분은... 지르세요.

http://www.oneaday.co.kr/Today/detail.php

전 절대 원어데이 홍보아줌마 아닙니다.
다만 가끔 원어데이에 만화가 뜰 때 주체 못하는 사람일 뿐입니다.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또치 2011-04-19 0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이럴 수가.. 알려주셔서 바로 질렀습니다. 엄청 절약했네요 ^__^

조선인 2011-04-19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하하하하 또치님, 제 덫에 걸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저 혼자 지르기엔 너무 아까운 기회잖아요? ^^

비연 2011-04-19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악! 으악! .... 질러버리렵니다 ㅠㅜㅜ

Joule 2011-04-19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데이 홍보 아줌마. 맞는 것 같은데요. ㅋㅋ

2011-04-19 2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인 2011-04-20 0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연님, 감사합니다. ㅋㅋ
쥴님, 아흑, 아무래도 그래 보이죠?
속닥님, 넵, 다짐합니다. 폐가 안 된다면요. 우헤헤

반딧불,, 2011-04-21 0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행이다. 지나가서 봐서..
다행이다. 마태님과 조선인님의 지름질을 이겼다.
====33333

조선인 2011-04-21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 쿠쿠쿸
 

구글이 뭘 하든 KT와 SKT가 뭘 하든 내게 최고의 만우절 이벤트는 알라딘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이벤트에 참가했건만 달랑 하나밖에 못 찾았다.
난이도 하를 자랑하는 '점이란 무엇인가'가 그 주인공. 
http://www.aladin.co.kr/ucl_editor/testWeb.aspx?pn=/shop/110329_spot.html  

만우절 이벤트의 가장 나쁜 점은 여기저기 샅샅이 돌아다니다 보면 어느새 지름신이 온다는 것.
그리하여 만우절에 넣은 주문 2건. 



LYN :
80일간의 세계일주 구매자40자평쓰기
쥘 베른 지음, 오승철 그림, 이영옥 엮음
1/1 가격 : 4,480원
마일리지 : 50원 (1%)
새우가 고래를 이기는 매니페스토 - 영혼이 있는 선거 전략구매자40자평쓰기
정창교.김대호 지음
1/0 가격 : 18,000원
마일리지 : 540원 (3%)

ariel
키 크는 그림책 - 성장편 구매자40자평쓰기
이현 글, 픽토스튜디오 그림, 김덕곤 감수
1/1 가격 : 7,000원
마일리지 : 70원 (1%)

1you2you3
한눈에 펼쳐보는 신기한 크로스 섹션 - 지구의 신기한 사물과 장소를 본다 구매자40자평쓰기
리처드 플라트 지음, 스티븐 비스티 그림, 권루시안(권국성) 옮김
1/1 가격 : 13,500원
마일리지 : 1,350원 (10%)

하늘구름
WHAT왓? 42 스마트 기기와 3D 구매자40자평쓰기
강이든 지음, 박재현 그림
1/1 가격 : 8,910원
마일리지 : 900원 (10%)

발단은 '키크는 그림책'
만우절 상품인줄 알고 장바구니에 담았다가 뽀로로 우표에 눈이 멀어 이것저것 더 담았다.
그나저나 제목만 보면 정말 만우절 거짓말 같지 않나?
그림책을 보고 키가 커질 수 있다면 난 만번이라도 읽을텐데.

  

 

 

 

 



tiktok798
노무현 이후 - 새 시대 플랫폼은 무엇인가 구매자40자평쓰기
김대호 지음
1/1 가격 : 11,200원
마일리지 : 340원 (3%)
생각의나무 問 라이브러리 시리즈 세트 - 전6권구매자40자평쓰기
장회익 외 지음
1/0 가격 : 32,640원
마일리지 : 330원 (1%)

순오기
자꾸자꾸 모양이 달라지네 구매자40자평쓰기
팻 허친스 그림
1/1 가격 : 6,160원
마일리지 : 70원 (1%)

발단은 '점이란 무엇인가'
유일하게 하나 찾은 만우절 도서를 보고 사회과학 서적도 전자책이 있으려나 뒤져보다가,
보관함을 채웠다가, 보관함을 다시 점검하며 장바구니 놀이를 하다가,
1원 한 푼 차이 없이 5만원을 만들었다는 기쁨에 그만... 결제를 해버린 거다.
그런데 '자꾸자꾸 모양이 달라지네'는 이미 2-3번째 사는 건데
중복 알림이 안 떠 조금 의아해 하는 중. 다른 데서 샀던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1-04-04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조선인님처럼 가짜를 찾다가 장바구니 결제하는 분이 많은가 봅니다. 해마다 만우절 이벤트를 하는 걸 보면~~~~ㅋㅋㅋ
덕분에 순오기는 땡스투가 붙었군요~~~~ 고마워요!!^^

하늘바람 2011-04-05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키크는 책도 있네요^^

조선인 2011-04-05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순오기님, 호호 ^^
하늘바람님, 제목만 보면 진짜(?) 가짜책 같지 않아요?

2011-04-08 2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산수유보다, 개나리보다 너희들의 노랑이 더 아름답다.
꼭 따뜻한 봄빛으로 이화를 물들이기를.
이대올로기 계단뿐 아니라 이화광장까지 꽉 채우길 기대해본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4-04 18: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순오기 2011-04-04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이화인들이 용기를 냈군요.
요즘 기독교인들을 보면 채플을 거부하고 싶은 마음 이해될 거 같아요.

Mephistopheles 2011-04-05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이화인들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뭔가 변화가 보이는 것 같기도 합니다.

조선인 2011-04-05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닥님, 순오기님, 아, 제가 배경설명없이 올렸군요. 채플 거부가 목적이 아니라 등록금 인하 요구에 대한 수단으로 채플 거부를 채택한 거랍니다. ^^
메피스토텔레스님, 제가 입학할 때만 해도 100만원이 안 되던 등록금이 지금은 500만원 선이랍니다.

2011-04-05 12: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4-05 13: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인 2011-04-05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닥님, 등록금 협상과정에서 예산안 심의가 있어야겠지요. 대학의 삼주체가 예결산심의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건 80년대부터 지속되온 요구사항이지요.
또다른 속닥님, 자기 안위와 관련된 문제에서도 정의를 못 찾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목구멍이 포도청인 월급쟁이들은 자기 안위도 못 챙기잖아요. ㅠ.ㅠ

진주 2011-04-05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아.....등록금이 너무 비싸네요~ㅡ.ㅡ
그런데 등록금 인하와 채플이 무슨 상관이 있는건가요?
이화여대는 선교사들이 선교자금으로 설립한 기독교 이념의 대학인데 채플은 학교의 설립과 존재의 근간입니다.

전에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랜덤으로 추첨 배정되는 고등학교' 같은 경우에는 학생들에게 채플을 강요하는 건 저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원해서 학교에 배정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 부분은 이미 시정되었거나 시정되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알고있어요. 고등학교와 이화여대의 채플은 선택권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요.

어쨌거나 자식 키우는 부모입장에서 저도 등록금의 압박이 장난 아닙니다. 등록금이 인하되어 학생들의 부담이 줄어들었으면 정말 좋겠네요.

조선인 2011-04-06 08: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주님, 지난해 딸아이 앞으로 적금을 들었어요. 대학 보내려면 적어도 5천만원은 만들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뜨뜨드아아아

숲노래 2011-04-17 0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걸개천에 '뒤짚어라'라니... @.@ '뒤집어라' 아닌가...

서양 선교사가 세운 학교이더라도, 개신교인만 들어갈 수 있는 학교가 아니라면 종교 과목은 스스로 골라서 듣도록 해야 할 텐데, 다들 너무 폭력이에요...

돈이 많이 드는 대학교라면, 대학교에는 보내지 말라는 뜻이 아닌가 싶어요... 좋은 삶을 배우는 데에 이 돈을 쓰면 한결 좋으리라 생각해요. 나중에 딸아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맡겨 주셔요. 이 적금을 등록금으로 쓰고프면 쓰고, 외국여행이나 국내도보여행이나 또는 책을 사는 데에 쓰고프든 마음대로 쓰라고...

조선인 2011-04-18 0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된장님, 아앗, 그렇군요. 솔직히 현수막은 눈여겨 안 봤는데, ㅋㅋ 부끄럽네요.
 

1996년 3월 29일... 서울 지역 대학생들이 모여 등록금인상 반대 시위를 했던 그날
연세대 새내기 한 명이 을지로 인쇄골목에서 전경에 맞아죽었더랬다.
노수석... 그의 이름 석 자와 3월 29일을 평생 기억하게 된 게 바로 오늘이다.
그날 나 역시 을지로 어느 골목에서 전경에게 두들겨 맞으며 이러다 죽겠다 생각했고,
우여곡절 끝에 무사히 동국대까지 도망친 뒤 '살았다'도 아니고 '안 죽었다'며 안도했다.
그러다 들은 그의 부고...

1991년 4월 26일에는 명지대 새내기가 등록금인상 반대 시위를 하다 맞아죽었다.
그의 이름은 강경대였고,
난 나와 같은 새내기가 경찰에 의해 맞아죽을 수 있는 나라에 내가 살고 있다는 게
못 견디게 무섭고 견딜 수 없어서 처음으로 '데모'란 걸 나갔고,
그게 바로 연세대에서 열린 강경대 열사의 장례식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연세대 새내기가 맞아죽은 거다.
그때보다 벌써 5년이나 지났는데,
91년에는 쇠파이프와 화염병을 들고 시위를 했다지만
96년에는 평화시위를 강조하기 위해 온몸에 쇠사슬을 묶은 맨몸결사대까지 세웠는데
그런데도 새내기가, 이제 겨우 스무살짜리가 또 경찰에 맞아죽은 거다.

그 날의 절망 이후 난 과연 앞으로 몇 발자국이나 내딛었을까.
지금도 한진중공업 고공크레인에는 김진숙씨가 있을텐데,
정대협 할머니들은 1000번째 수요시위를 준비하고 있다는데,
나는 지금 어디에 서서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댓글(4) 먼댓글(1)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괜찮다고 괜찮다고
    from 제발 제발 2011-03-30 13:32 
    저도.. 3학년 5월에 처음으로 '데모'에 참여했어요.1991년 4월 26일, 다른 날과 마찬가지로 7층 설계실에서 데모 구경하다가 급하게 사람들이 들것에 사람을 싣고 건물로 들어오는걸 봤어요. 들것에 실린 사람은 머리에 붕대를 칭칭 감고 있었구요. 머리를 다쳤나보네 그러고 있는데 얼마 안있어 다시 그 사람을 엠뷸란스에 싣고 나가는걸 봤죠. 오늘은 분위기가 심상치 않네~ 그러면서 서둘러 학교를 빠져나왔는데, 버스가 연대앞을 지날때쯤 라디오 뉴스가 나오는
 
 
무해한모리군 2011-03-29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아버님이 추모제에 오셔서 노수석 열사 이름으로 제정된 장학금 증서를 수여하신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미친등록금의 나라의 저자 중 하나인 이수연 선배가 운동을 계속 할 수 있던 것이 그날 때문이었다고 말했던게 기억이 납니다. 그냥 기사하나 가져와 봅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42980&PAGE_CD=N0000&BLCK_NO=3&CMPT_CD=M0001

조선인 2011-03-29 1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그래도 수연이가 나온 기사는 봤어요. 정말 슬픈 나라이지요.

토토랑 2011-03-30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큰아이 유치원 숙제 날짜를 적다가.. 오늘이 3월 29일 인걸 알았지요..
그때 동국대에서 저두 부고를 들었답니다..
난중에 여름 방학중에.. 선배의 100제를 가게 되었지요.
한열선배네 집에도 가보고,
그날 밤에 수석선배네 집에 가서 어머님이랑 어머니가 차마 치우지 못해 그대로 책상이며 책이,사진이 그대로 남아있는 그 방에서 둘이 잤답니다..
어느해인가는 추모제에 어머니 마음 아파서 안오시기도 하고 그랬었지요.
저도 참.. 지금 어디에 서있는건지..

조선인 2011-03-31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토랑님,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이름은 이다지도 많은데, 그 어느 해인가도 기억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