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of the
The Lyman Beecher Lectureship on Preaching




Yale Divinity School
New Haven, Connecticut



INTRODUCTION

The Lyman Beecher Lectureship on Preaching at Yale Divinity School was established April 12, 1871 by a gift of ten thousand dollars from Henry W. Sage, esq. in memory of Lyman Beecher (1775-1863), a member of the Yale College class of 1797. Beecher was a Presbyterian and Congregationalist minister who held pastorates in East Hampton, Long Island, New York, Litchfield, Connecticut, and Boston, Massachusetts. He was also the first President of Lane Theological Seminary in Cincinnati, Ohio.



Henry W. Sage, the donor of f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ectureship, was a member of Plymouth Congregational Church of Brooklyn, N.Y., where Henry Ward Beecher, son of Lyman Beecher, was pastor for forty years. Sage was a prosperous businessman and one of the chief benefactors of Cornell University, where he served on the Board of Trustees.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of Mr. Sage, his gift to Yale was devoted by the Yale Corpor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to be designated as, "The Lyman Beecher Lectureship on Preaching" to be filled from time to time, upon appointment of the Corporation, by a minister of the Gospel, of any evangelical denomination who has been markedly successful in the special work of the Christian ministry. With the authorization of the donor, the Corporation voted in May, 1882, "that henceforth the Lyman Beecher lecturer shall be invited to lecture on a branch of pastoral theology or in any other topic appropriate to the work of the Christian ministry." In December 1893, the donor authorized the Corporation, "if at any time they should deem it desirable to do so, to appoint a layman instead of a minister to deliver the course of lectures on the Lyman Beecher Foundation."

Biographical sketches of each lecturer and analysis of the lectures from 1871 to 1951 are found in the The Royalty of the Pulpit by Edgar Dewitt Jones (N.Y., Harper, 1951, WQ4/J714r). A study of the Lyman Beecher Lec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homiletics is available in The Heart of the Yale Lectures by Batsell B. Baxter (N.Y., Macmillan, 1947, WQ4/B333h).

In the Divinity School Library collection, many of the Lyman Beecher Lectures published before 1970 have call numbers beginning with WQ4 and a second line consisting of the year in which the lectures were given. Since about 1970, the published lectures have been classified separately in the Library Congress system. Lectures which have not been published are so indicated in this bibliography.
* = Available on cassette tape or CD: pre-1993-1994 from Divinity Library; otherwise, available from the Yale Divinity School Bookstore. The price is $12 for each individual lecture on cassette or CD, $32 for a full set. Contact the Divinity Library to check availability by email or telephone (203-432-6374). To check what is available at the YDS Book Store either call (203) 432-6101 or go to the web page.

1871-72 Beecher, Henry Ward, Yale Lectures on Preaching, first series: "Personal Elements in Preaching." N.Y., J. B. Ford and Co., 1872.

1872-73 Beecher, Henry Ward, Yale Lectures on Preaching, second series: "Social and Religious Machinery of the Church." N.Y., J.B. Ford and Co., 1873.

1873-74 Beecher, Henry Ward, Yale Lectures on Preaching, the third series: "Methods of Using Christian Doctrines in Preaching." N.Y., J. B. Ford and Co., 1874.

1874-75 Hall, John, God's Word Through Preaching. N.Y., Dodd and Mead, 1875.

1875-76 Taylor, William M., The Ministry of the Word. N.Y., Anson D.F. Randolph and Co., 1876.

1876-77 Brooks, Phillips, Lectures on Preaching. N.Y., E. P. Dutton, 1877.

1877-78 Dale, R.W., Nine Lectures on Preaching. N.Y., Anson D.F. Randolph and Co., 1878.

1878-79 Simpson, Matthew, Lectures on Preaching. N.Y., Anson D.F. Randolph and Co., 1879.

1879-80 Crosby, Howard, The Christian Preacher. N.Y., Nelson & Phillips, 1880.

1880-81 Duryea, J.T.; Harris, George; Herrick, Samuel; Bevan, Llewelyn David; Burton, Nathaniel J., (Not published).

1881-82 Robinson, E.G., Lectures on Preaching. N.Y., Henry Holt & Co., 1883.

1882-83 (No lectures).

1883-84 Burton, Nathaniel J., Yale Lectures on Preaching, and Other Writing, N.Y., C.L. Webster, 1885. Reprinted by Macmillan, 1925, In Pulpit and Parish. (1880-81 lecture contained in both, but not designated.)

1884-85 Storrs, H.M., "The American Preacher" (Not published).

1885-86 Taylor, William M., The Scottish Pulpit. N.Y., Harper & Bros., 1887.

1886-87 Gladden, Washington, Tools and the Man. Boston, Houghton Mifflin, 1893.

1887-88 Trumbull, Henry Clay, The Sunday School. Philadelphia, John P. Wattles, 1888.

1888-89 Broadus, J. A., "Preaching and the Ministerial Life" (Not published).

1889-90 Behrends, A.J.F., The Philosophy of Preaching. N.Y., Scribners, 1893.

1890-91 Stalker, James, The Preacher and His Models. N.Y., A.C. Armstrong, 1891.

1891-92 Fairbairn, A.M., The Place of Christ in Modern Theology. N.Y., Chas. Scribners Sons, 1893.

1892-93 Horton, Robert F., Verbum Dei. N.Y., Macmillan, 1893.

1893-94 (No lectures).

1894-95 Greer, David H., The Preacher and His Place. N.Y., Scribners, 1895.

1895-96 Van Dyke, Henry, The Gospel for an Age of Doubt. N.Y., Macmillan, 1896.

1896-97 Watson, John (Ian Maclaren), The Cure of Souls. N.Y., Dodd Mead, 1896.

1897-98 Tucker, W. J., The Making and the Unmaking of a Preacher. Boston, Houghton Mifflin, 1898.

1898-99 Smith, George Adams, Modern Criticism and the Old Testament. N.Y., A.C. Armstrong, 1901.

1899-00 Brown, John, Puritan Preaching in England. N.Y., Scribners, 1900.

1900-01 (No lectures).

1901-02 Gladden, Washington, Social Salvation. N.Y., Houghton Mifflin, 1902.

1902-03 Gordon, George A., Ultimate Conceptions of Faith. N.Y., Houghton Mifflin, 1903.

1903-04 Abbott, Lyman, The Christian Ministry. Boston, Houghton Mifflin, 1905.

1904-05 Peabody, Francis G., Jesus Christ and the Christian Character. N.Y., Macmillan, 1905.

1905-06 Brown, Charles R., The Social Message of the Modern Pulpit. N.Y., Scribners, 1906.

1906-07 Forsyth, P.T., Positive Preaching and the Modern Mind. N.Y., Hodder and Stoughton, 1907.

1907-08 Faunce, William Herbert Perry, The Educational Ideal in the Ministry. N.Y., Macmillan, 1908; reprinted, 1919.

1908-09 Henson, H. Hensley, The Liberty of Prophesy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0.

1909-10 Jefferson, Charles E., The Building of the Church. N.Y., Macmillan, 1910.

1910-11 Gunsaulus, Frank W., The Minister and the Spiritual Life. N.Y., Fleming H. Revell, 1911.

1911-12 Jowett, J.H., The Preacher: His Life and Work. N.Y., G.H. Doran, 1912.

1912-13 Parkhurst, Charles H., The Pulpit and the Pew.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3.

1913-14 Horne, Charles Sylvester, The Romance of Preaching. N.Y., Revell, 1914.

1914-15 Pepper, George Wharton, A Voice from the Crow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5.

1915-16 Hyde, William DeWitt, The Gospel of Good Will. N.Y., Macmillan, 1917.

1916-17 McDowell, William Fraser, Good Ministers of Jesus Christ. N.Y., Abingdon, 1917.

1917-18 Coffin, Henry Sloan, Preaching in a Day of Social Rebuild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8.

1918-19 Kelman, John, The War and Preachin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9.

1919-20 Fitch, Albert Parker, Preaching and Paganism.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20.

1920-21 Williams, Charles D., The Prophetic Ministry for Today. N.Y., Macmillan, 1921.

1921-22 Merrill, William Pierson, The Freedom of the Preacher. N.Y., Macmillan, 1922.

1922-23 Brown, C.R., The Art of Preaching. N.Y., Macmillan, 1922.

1923-24 Fosdick, Harry Emerson, The Modern Use of the Bible. N.Y., Macmillan, 1924.

1924-25 Inge, W.R., "The Preaching of the Kingdom of God in Church History." (Not published).

1925-26 Calkins, Raymond, The Eloquence of the Christian Experience. N.Y., Macmillan, 1927.

1926-27 Sclater, J.R.P., The Public Worship of God. N.Y., Doubleday Doran, 1927.

1927-28 Freeman, James Edward, The Ambassador. N.Y., Macmillan, 1928.

1928-29 Mouzon, Edwin DuBose, Preaching with Authority. N.Y., Doubleday Doran, 1929.

1929-30 McConnel, Francis John, The Prophetic Ministry. N.Y. Abingdon, 1930.

1930-31 Buttrick, George A., Jesus Came Preaching. N.Y., Scribners, 1931.

1931-32 Tittle, Ernest Freemont, Jesus After Nineteen Centuries. N.Y., Abingdon, 1933.

1932-33 Jacks, Lawrence P., Elemental Religion. N.Y., Harper & Bros., 1934.

1933-34 Day, Albert E., Jesus and Human Personality. N.Y., Abingdon, 1934.

1934-35 Bowie, Walter Russell, The Renewing Gospel. N.Y., Scribners, 1935.

1935-36 Park, John Edgar, The Miracle of Preaching. N.Y., Macmillan, 1936.

1936-37 (No lectures).

1937-38 Sperry, Willard Learoyd, We Prophesy in Part. N.Y., Harper, 1938.

1938-39 Morrison, Charles Clayton, What is Christianity? Chicago, Willett-Clark, 1940.

1939-40 Preaching in These Times. N.Y., Scribner, 1940.

George Arthur Buttrick, "Preaching the Whole Gospel."

Arthur Howe Bradford, "Preachers Must Listen."

Tittle, Ernest Freemont, "The Church and the Glory of God."

Smart, Wyatt Aiken, "Old Wines in New Bottles."

McKee, Elmore McNeill, "Leadership Uncensored."

Poteat, Edwin McNeill, "The Dilemma of Civilization."

Phelps, William Lyon, "The Sermon on the Mount."

(Substituted in the oral lecture for W.A. Smart, not published).

1940-41 Sockman, Ralph Washington, The Highway of God. N.Y., Macmillan, 1942.

1941-42 Noyes, Morgan Phelps, Preaching the Word of God. N.Y., Scribner, 1943.

1942-43 Scherer, Paul, For We Have This Treasure. N.Y., Harper. 1944.

1943-44 Oxnam, Garfield Bromley, Preaching in A Revolutionary Age. N.Y., Abingdon-Cokesbury, 1944.

1944-45 Niebuhr, Reinhold, "Jesus Christ, the Same Today." published as Faith and History. N.Y., Scribners, 1949.

1945-46 Farmer, H.H., God and Men. N.Y., Abingdon-Cokesbury, 1948.

1946-47 Phillips, Harold Cooke, Bearing Witness to the Truth. Abingdon-Cokesbury, 1949.

1947-48 Sherrill, Henry Knox, The Church's Ministry in Our Time. N.Y., Scribner, 1949.

1948-49 Weatherhead, Leslie, "The Minister's Responsibility to His People." Published in part as: Psychology, Religion and Healing.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57.

1949-50 "The Church and Its Ministry."

*Wriston, Henry M., "The Preacher as Teacher." (Not published).

Flemming, Arthur S., "The Objectives of the Local Church." (Not Published).

*Auden, W.H., "The Witness of the Layman." (Not published).

Sinnott, Edmund, "The Church in An Age of Science." (Published in pamphlet form by the Edward W. Hazen Foundation in 1950 as "Science and Religion - A Necessary Partnership").

Kenyon, Helen, "Walking Together." (Not published).

Taft, Charles P., "The Social and Economic Program of the Churches." (Not published).

1950-51 Douglass, Truman B., Preaching and the New Reformation. N.Y., Harpers, 1956.

1951-52 Stewart, James, A Faith to Proclaim. N.Y., Scribners, 1953.

1952-53 Luccock, Halford E., Communicating the Gospel. N.Y., Harpers, 1954.

1953-54 Kennedy, Gerald, God's Good News. N.Y., Harpers, 1955.

1954-55 Robinson, James H., Adventurous Preaching in a World of Change and Trouble. Great Neck, N.Y., Channel Press, 1956.

1955-56 Dun, Angus, The Saving Person. N.Y., Harpers, 1957.

1956-57 Niles, D.T., The Preacher's Task and the Stone of Stumbling. N.Y., Harpers, 1958.

1957-58 Horton, Douglas, "Corporate Worship: An Index to Ultimates." Published as: The Meaning of Worship. N.Y., Harpers, 1959.

1958-59 Sittler, Joseph, The Ecology of Faith. Philadelphia, Muhlenberg, 1961.

1959-60 Soper, Donald, "An Examination of Christian Advocacy in the Contemporary Situation." Published as: The Advocacy of the Gospel. Nashville, Abingdon, 1961.

1960-61 Bartlett, Gene E., The Audacity of Preaching. N.Y., Harper, 1962.

1961-62 Miller, Samuel H., "Faith and Secularity: the Dilemma of Modern Preaching." Published as: The Dilemma of Modern Belief. N.Y., Harper, 1963.

1962-63 Barr, Browne, "A Provincial and Parochial Report." Published as: Parish Back Talk. N.Y., Abingdon, 1964.

1963-64 Jenkins, Daniel, "The Man of Few Works." (Not published).

1964-65 Burns, Jackson, "Preaching to the Divided House." (Not published).

*1965-66 Newbigin, James Edward Lesslie, Bishop, The Finality of Christ. Richmond, John Knox, 1969.

1966-67 Mead, Sidney, "Aspect of Lyman Beecher's Theology." (Not published).

1967-68 Pruyser, Paul, "Religion and the Object World." Published in part in: A Dynamic Psychology of Religion. N.Y., Harper, 1968.

1968-69 Ramsey Paul, Patient as Person: Explorations in Medical Ethic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0.

1969-70 Illich, Ivan, "Strategy for Education" (Not published).

1970-71 "Multi-Media: A Presentation of Visual Material Prepared by a Group from the Divinity School on Christian Expression with Media." Directed by John W. Cook. (Not published).

1971-72 No lectures.

*1972-73 Read, David H.C., Sent From God. The Enduring Mystery of Preaching. Nashville, Abingdon, 1974.

*1973-74 Mitchell, Henry H. The Recovery of Preaching. N.Y., Harper and Row, 1977.

*1974-75 Napier, Davie. Word of God, Word of Earth. Philadelphia, United Church Press, 1976.

*1975-76 Taylor, Gardner C. How Shall They Preach? Elgin, IL., Progressive Baptist Publishing House, 1977.

*1976-77 Buechner, Carl Frederic. Telling the Truth: The Gospel as Tragedy, Comedy and Fairy Tale.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1977.



*1977-78 Craddock, Fred B. Overhearing the Gospel. Nashville, Abingdon, 1978.

*1978-79 Claypool John R. The Preaching Event. Waco, TX, Word Books, 1980.

*1979-80 Coffin, William Sloane, "Preaching in the Eighties." (Not published).

*1980-81 Ahlstrom, Sydney E. The Preacher-Theologian in the American Tradition." (Not published).

*1981-82 Trible, Phyllis, "Texts of Terror: Unpreached Stories of Faith." Published as: Texts of Terror: Literary Feminist Readings of Biblical Narrative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4.

*1982-83 Smith, Kelly Miller. Social Crisis Preaching.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1984.

*1983-84 Stendahl, Krister, "The Art of Preaching." (Not yet published).

*1984-85 Muehl, William. Why Preach? Why Listen? Philadelphia, Fortress, 1986.

*1985-86 Forbes, James. The Holy Spirit & Preaching. Nashville, Abingdon, 1989.

*1986-87 Allen, Horace T., Jr. "Preaching in a Christian Context-Scripture and Sacrament." (Not yet published).

*1987-88 Coburn, The Rt. Rev. John B. "Prayer for the Preacher."

Published as: Grace in All Things. Cambridge, MA: Cowley Publications, 1995.

*1988-89 Brueggemann, Walter. Finally Comes the Poet: Daring Speech for Proclamation. Minneapolis, Fortress, 1989.

*1989-90 Proctor, Samuel D. How Shall They Hear: Effective Preaching for Vital Faith. Valley Forge, PA : Judson Press, c1992.

*1990-91 Farley, Margaret. "Universal Morality, Particular Reality: The Feminist Challenge."

Malherbe, Abraham J. "Paul: Pastor to Recent Converts."

Bartlett, David. "Preaching on the Passion in Mark."

Childs, Brevard. "Karl Barth: The Preacher's Exegete."

NOTE: Leander Keck was originally scheduled to deliver the 1990-91 lectures. Unfortunately, he was injured in an automobile accident shortly before the lecture date, and was unable to do so. His lectures were rescheduled for 1991-92. Four of his colleagues from the Yale Divinity School filled in on short notice with the lectures listed above. The Divinity School Faculty honored them as the official Beecher Lecturers after the fact. However, no publication of these lectures is anticipated.

*1991-92 Keck, Leander. "Toward the Renewal of 'Mainline' Protestantism." Published as: The Church Confident. Nashville, TN : Abingdon Press, c1993.

*1992-93 Hoyt, Thomas. "The Church's Preaching in Pluralistic and Ecumenical Contexts." (Not yet published)

*1993-94 Burghardt, Walter J. "The Christian Pulpit and the Just Word."
                Published as: Preaching the Just Wor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

*1994 Way, Peggy Brainard. "Pastoral Epistomology: Method, Metaphor, Metatheology." (Not yet published)

*1995 Adams, Harry. "Preaching: The Burden and the Joy; The People, Lord, The People."
Published as: Preaching : the Burden and the Joy. St. Louis, Mo. : Chalice Press, 1996.

*1996 Buttrick, David G. "The New and the Now: Speaking of God's New Order"
Published as Preaching the New and the Now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8.

*1997 Taylor, Barbara Brown. "Famine in the Land: Homiletical Restraint and the Silence of God" Published as: When God is Silent. Boston, MA : Cowley Publications, 1997.

*1998 Gomes, Peter. "The Texture of Biblical Preaching: Songs, Letters, and Stories"

*1999 Lischer, Richard "The End of Words: Preaching the Gospel in a World Come of Age."The End of Words : Preaching the Gospel in a World Come of Age": Lecture 1: The Ultimate Vocation; Lecture 2: One Last Story; Lecture 3: To What End? Preaching for Reconciliation


*2000 Lundblad, Barbara K. "Marking Time: Stories Remembered at the River's Edge : Lecture 1: It Will Be All Right: New Rubrics in the Holy Man's Room; Lecture 2: The Camel and the Cash Machine: A Story to Take Literally; Lecture 3: Water on a Desert Road: Splashing in the Scroll of Isaiah
*2001 Bartlett, David L. "What's Good About This News?" Published as What's good about this news? : preaching from the Gospels and Galatians. Louisville, Ky. :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2002 Shepherd, J. Barrie. "Poetry, Parables and Preaching or Whatever Happened to Delight?"
*2003 Davis, Ellen. “The Art of Astonishing: Preaching From the Old Testament.”
*2004 Moss, Jr., Otis “Preaching As Prophetic Ministry”
*2005 Stout, Harry S. "Preaching Morality in America's Civil War"


*2006 Long, Thomas G., "Preaching From Memory to Hope"
* = Available on cassette tape or CD: pre-1993-1994 from Divinity Library (203) 432-6374, thereafter from YDS Book Store (203) 432-6101 (http://www.yale.edu/divinity/sbs/Books.ConvTapes.shtml)
Send comments or questions to the Divinity Library
© 2007 Yale University Library
File last modified 3/6/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 17:1-9 그의 말을 들으라.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중대한 결단을 내리기 전에 추종자들을 이끌고 산행을 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예수님도 중요한 일(갈릴리에서 사역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들어가는 일)을 하시기 전에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시고 높은 산에 올라가셨습니다.(마17:1) 성경학자들은 마태복음 16장 13절을 통해 예수님이 빌립보 가이사랴 지방에 계셨기 때문에 이 산이 헐몬 산이거나 아니면 갈릴리에 있는 다볼 산일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사실 이 산이 어느 산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이 산에 올라가신 이유가 중요합니다. 성경을 보면 산은 특별한 장소입니다. 모세는 시내 산에 올라가 하나님을 만났습니다.(출24:12이하) 엘리야는 호렙 산에서 하나님을 만났습니다.(왕상19:8이하) 시내 산과 호렙 산은 동일한 산입니다. 성경에서 산은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기도원을 보십시오. 대부분 산에 있습니다. 기도원에 올라가 산 기도를 하다 성령 체험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께 가까이 나가기 위해 산에 올라가셨습니다.

 

예수님이 산에 오르시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도 중요합니다. 산에서 예수님의 모습이 변하셨습니다. 얼굴이 해 같이 빛나며 옷이 빛 같이 희어졌습니다.(17:2) 출애굽기 34장 29절 이하를 통해 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내려 올 때에 얼굴 피부에 광채가 났다고 말씀했듯이 예수님의 얼굴이 해 같이 빛났습니다. 다니엘서 7장 9절을 통해 하나님의 옷은 눈 같이 희다고 말씀했듯이 예수님의 옷이 빛 같이 희어졌습니다. 그러더니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님과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모세는 율법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신명기 18장 15절을 통해 모세는 하나님께서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일으키신다고 말했습니다. 모세는 메시야가 오신다고 예고했습니다. 엘리야는 선지자를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말라기 4장 5절을 통해 메시야가 오시기 전에 엘리야가 먼저 온다고 예언됐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이 엘리야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11:14) 엘리야는 메시야의 오실 길을 준비한 선구자입니다. 예수님은 산에서 얼굴이 해 같이 빛나고 옷이 빛 같이 희어져 율법을 대표하는 모세와 선지자를 대표하는 엘리야와 이야기를 나누셨습니다.

 

베드로의 반응도 궁금합니다. 베드로는 아이가 어른들 이야기에 끼어들듯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가 이야기를 나누는데 끼어들었습니다. 베드로는 이스라엘의 삼대 절기 중에 하나인 장막절이 되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노예에서 구원하신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초막을 짓듯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가 이야기를 나눈 것을 기념하여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했습니다.(마17:4) 베드로는 예수님이 영광스럽게 변모하신 것을 보고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했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영광이 있기 전에 고난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간과했습니다.(마16:21) 어찌 보면 우리 교회는 지금 고난을 겪고 있습니다. 나중에 영광을 누리기 위해서입니다. 지금은 아주 미약하지만 나중에는 심히 창대해질 겁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의 영광스런 모습을 보고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했습니다.


하나님의 반응도 궁금합니다. 베드로가 초막을 짓겠다고 제안할 때에 빛난 구름이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를 덮으며 구름 속에서 소리가 들렸습니다. 성경에서 구름은 하나님이 임하셨다는 상징입니다. 하나님은 구름 기둥으로 애굽을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인도하셨고(출13;21), 솔로몬이 성전을 봉헌할 때에 구름으로 가득하게 임하셨습니다.(왕상8:10) 하나님은 시내 산을 덮은 구름 속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듯이(출19:9) 높은 산을 덮은 구름 속에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이 세례를 받고 물에서 올라오실 때 세례자 요한에게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마3:17)고 말씀하셨듯이, 높은 산에서 영광스런 모습으로 변형되셨을 때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들으라는 듣고 순종하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예수님이 메시야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과 욕심을 버리고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제자들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두려워하였습니다. 성경을 보면 거룩하신 하나님이 임하시면 죄로 얼룩진 인간들은 두려워합니다.(단10:7-9) 예수님은 어떻게 반응하셨을까요? 예수님은 두려워서 떠는 제자들을 손으로 어루만지시며 두려워하지 말라고 위로하셨습니다.(마17:7) 예수님은 죄 지은 인간들을 대신해서 속죄의 피를 흘리셨습니다. 제자들이 눈을 들어 보니 구름도 사라졌고 모세와 엘리야도 사라졌고 예수님만 보였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산에서 내려오시면서 예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기 전까지 보고 들은 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당부하셨습니다.(마17:9) 제자들은 예수님이 메시야일 것이라고 짐작은 했으나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나서는 메시야라고 확신하게 되었지만 아무에게도 발설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이 신분을 감추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마태복음 16장 13절 이하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수님을 선지자라고 생각했으나 베드로는 예수님을 그리스도(메시야)라고 고백했습니다.(마16:16) 베드로는 예수님이 로마의 압제로부터 이스라엘을 해방시킬 영광의 메시야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16장 21절을 통해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올라가 유대교 종교지도자들에게 많은 고난을 받고 죽임을 당하고 삼일 만에 살아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대신해서 돌아가실 고난의 메시야라고 밝히셨습니다. 예수님이 고난의 메시야라고 설명해줘도 제자들은 영광의 메시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분을 감추셨습니다. 

 

예수님이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따로 데려가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예수님에게는 500명의 제자가 있었고(고전15:6), 70명의 제자도 있었고(눅10;1), 12명의 제자도 있었고(마10;1-4), 3명의 애제자도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이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후에 초대교회를 이끈 제자입니다.(행1:15), 야고보는 12제자 중에서 가장 먼저 순교한 제자입니다.(행12:2) 그리고 요한은 가장 늦게 순교한 제자입니다. 갈라디아서 2장 9절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이 초대교회의 기둥이라고 증언합니다.(여기서 야고보는 12제자 야고보가 아니라 예수님의 동생 야고보입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크게 쓰시려고 높은 산으로 제자들을 데리고 가셔서 영광스럽게 변형된 모습도 보여주시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말씀도 듣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도 크게 쓰시려고 놀라운 은혜를 베푸십니다. 정선희 사모님이 기적적으로 방송대학교를 졸업할 수 있는 것도 하나님께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시다고 생각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헤아려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가 순종하면 하나님께서 크게 들어 쓰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 4:12-22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저는 예수님이 다시 오셔서 설교하신다면 무슨 말씀을 하실까 를 생각해 봤습니다. 예수님은 그동안 신앙 생활하느라 수고했으니 복을 받으라고 설교하실까요? 아니면 신앙생활을 엉망으로 했으니 벌을 주겠다고 설교하실까요? 예수님이 무슨 말씀을 하실 지는 예수님이 처음 오셔서 무슨 설교를 하셨는지를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마태복음 4장 17절을 통해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고 설교하셨습니다. 회개설교였어요. 예수님의 오실 길을 준비한 세례자 요한도 마태복음 3장 2절을 통해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고 설교했습니다. 회개설교였지요. 메시야의 전령인 세례자 요한도 회개하라고 설교했고, 메시야인 예수님도 회개하라고 설교하셨습니다.

회개는 무엇일까요? 회개는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향하는 것’입니다. 죄를 향한 발걸음을 180도 돌려 하나님께로 향하는 것이지요. 그 당시 회개하라는 설교는 파격적인 설교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 선택받은 민족이라고 자부했습니다. 당연히 하나님을 주님으로 섬겼습니다. 하루에 세 차례씩 기도했고 일 년에 세 차례씩 지방에서도 해외에서도 예루살렘 성전을 방문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신앙이 형식화되다보니 생활로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을 믿으면서도 죄를 저질렀습니다. 그래서 요한도 회개하라고 설교했고, 예수님도 회개하라고 설교하셨던 겁니다. 오늘날도 회개하라는 설교는 망설여지는 설교입니다. 교인들은 예수님을 잘 믿어 복 받으라는 설교를 좋아하지 예수님을 똑바로 믿어야 복 받는다는 설교는 싫어합니다. 목사님들도 선지자처럼 죄를 회개하라고 외치지 못하고 제사장처럼 죄를 용서해달라고 빌기만 합니다. 교회에서는 신실한 신앙인처럼 행세하고 세상에서는 악랄한 기업주로 변신합니다. 한국교회는 세상과 영합하다 보니 교세는 커졌지만 영향력은 줄어들었습니다. 요즘 청소년들처럼 체격은 커졌지만 체력은 약해졌습니다. 예수님이 다신 오신다면 우리에게도 회개하라고 설교하실 겁니다.

회개하라고 설교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천국이 가까이 왔기 때문입니다. 천국은 하늘에 있는 나라가 아니라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나라’입니다. (마태복음에는 ‘하나님 나라’라는 표현이 50번, ‘천국’이라는 표현이 33번 나옵니다.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은 ‘하나님 나라’라고 표현합니다. 하나님 나라와 천국은 같은 개념입니다.) 천국은 예수님이 오시면서 시작됐습니다. 요한도 예수님도 천국이 가까이 왔기 때문에 회개하라고 설교했습니다. 그러나 천국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이 다시 오셔서 악의 세력을 물리치셔야 완성됩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초림과 재림의 중간기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영접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됐습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다스리셔서 마음이 평안하기도 합니다. 사탄이 우리를 유혹하여 마음이 흔들리기도 합니다. 우리의 마음은 순풍이 불 때처럼 잔잔해 지기도 했다 폭풍이 불 때처럼 요동치기도 합니다. 우리는 천국이 가까이 왔기 때문에 회개해야 합니다.

회개하라는 설교를 듣고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다.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북부인 갈릴리 지방 가버나움 마을에서 사역하셨습니다. 가버나움은 갈릴리 호수 서북쪽에 있는 도시로 갈릴리 호수 주변에 있는 30개 마을 중에서 가장 큰 도시였습니다. 가버나움 근처에는 스불론 지파와 납달리 지파의 영토가 있었는데 북 이스라엘이 멸망하면서 이방인들이 많이 살았습니다. 이방인들은 사망의 어두운 땅에 사는 사람들이었습니다.(마4:16) 예수님은 이방인들에게도 세상을 비추는 빛이셨습니다.(요8:12)

예수님을 통해 사망의 어둠에서 세상의 빛으로 나온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호수에서 그물을 던지고 있는 베드로와 안드레에게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를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4:19) 베드로와 안드레는 고기를 잡는 어부였습니다. 예수님은 이제 고기는 그만 잡고 영혼을 구원하는 일을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고기를 잡는 일은 사람을 즐겁게 하는 일입니다. 고기를 잡아서 팔면 어부는 돈을 받고 고기를 산 사람은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혼을 잡는 일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입니다. 하나님은 죽어가는 영혼을 보시고 안타까워하시는데 우리가 생명줄을 던져준다면 얼마나 기뻐하시겠습니까? 베드로와 안드레는 그물을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 베드로와 안드레는 직장보다 하나님을 앞세웠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호수 해변에서 아버지와 함께 그물을 깁고 있는 야고보와 요한을 부르셨습니다. 예수님은 이제 그물은 그만 깁고 영혼을 깁는 일을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물을 깁는 일은 세상의 일을 하기 위한 준비였습니다. 고기를 잡다 보면 그물이 찢어지기 때문에 손질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 응답하는 일은 하나님의 일을 하기 위한 출발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따라 다니다보면 영혼 구원의 열정을 간직하게 됩니다. 야고보와 요한은 배와 아버지를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 야고보와 요한은 직장과 가정보다 하나님을 우선시했습니다.

게리 채프먼 박사는 그리스도인의 우선순위는 하나님이 첫째고 가정이 둘째고 직장이 셋째고 교회가 넷째라고 말합니다.(언약결혼)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집안의 경조사를 쫓아다니느라 예배를 빠지기 일쑤입니다. 주일에는 왜 그리 행사가 많은지? 어떤 사람들은 직장에 충성하느라 파김치가 되어 퇴근합니다. 처자식을 먹여 살린다는 핑계로 딸아이의 생일조차 기억하지 못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교회로 출퇴근하느라 집안을 엉망으로 만들어 놉니다. 교회 봉사도 지혜롭게 해야 합니다. 가정도 직장도 교회도 중요하지만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는 더 중요합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신앙이 형식화되지 않았나 반추해 봐야 합니다. 교회학교 교사로 봉사하면서 죄를 저지르지 않았나 생각해 봐야 합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예배당에 들락거리는 것보다 우리의 영혼이 정결한 것을 좋아하십니다. 예수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회개를 통해 우리의 영혼을 정화하고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가꾸어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왕상 17:8-16 하나님 제일주의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이 2004년 5월 13일부터 29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만 15세 이상 남녀 1,728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40가지를 조사했습니다. 저는 그것을 보면서 하나님께서 가장 좋아하시는 것은 무엇일까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좋아하시는 것은 십계명 중에서 제1계명을 지키는 것입니다.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출20:3)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신들을 섬기지 않는 것을 가장 좋아하십니다. 하나님은 다른 신들을 섬기지 않은 사람에게는 수천 대까지 복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출20:6)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가장 싫어하시는 것은 무엇일까요? 십계명 중에서 제1계명을 어기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신들을 섬기는 것을 가장 싫어하십니다. 하나님은 다른 신을 섬긴 사람에게는 삼사 대까지 벌을 주시겠다고 경고하셨습니다.(출20:5) 

하나님께서 가장 싫어하시는 것을 행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북 왕국 이스라엘의 제7대 왕 아합이었습니다. 아합 왕은 총각 때는 하나님을 섬겼으나 결혼하면서부터 우상을 섬겼습니다. (아합 왕은 이스라엘의 북쪽에 있는 시돈 왕국과 동맹을 맺고 동맹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시돈 왕국의 공주 이세벨을 왕비로 맞이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시돈 왕국과 동맹을 맺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전쟁이 없이 평화를 누리게 되었고 경제적으로는 교역을 통하여 번영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신앙적으로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아합 왕은 이세벨과 결혼하자 하나님을 버리고 바알을 섬겼습니다. 아합 왕은 이세벨을 위하여 바알 신전을 짓고 신전 안에 바알 제단을 쌓고 바알의 아내인 아세라 목상도 만들었습니다. 아합 왕은 이전의 이스라엘 왕들보다 더 심하게 하나님을 진노하시게 만들었습니다.) 이명박 장로가 “경제를 살리겠습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로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 이명박 당선인이 아무리 경제를 살려도 신앙을 죽이면 하나님은 실패한 대통령으로 만드십니다. 경제도 살려야 하고 신앙의 모범을 보여 기독교의 이미지를 쇄신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엘리야 선지자를 아합 왕에게 보내셨습니다. “내가 섬기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내 말이 없으면 수 년 동안 비도 이슬도 있지 아니하리라.”(왕상17:1) 엘리야 선지자는 아합 왕이 다른 신들을 섬겼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가뭄을 주셨다고 선언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야고보서 5장 17절을 통해 3년 6개월 동안 비가 오지 않았다고 말씀합니다. 저는 어린 시절에 가뭄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몇 달 동안 비가 오지 않자 논이 거북이 등처럼 쩍쩍 갈라졌고 밭작물이 누렇게 타들어 갔습니다. 먹을 물이 없어 소방차에서 물을 실어 오면 물지게를 지고 날랐습니다. 우리나라에 비가 오지 않는다면 농사를 지을 수 없지만 사막인 이스라엘에 비가 오지 않는다면 사람과 짐승이 굶어 죽게 됩니다. 비가 오지 않더라도 이슬이라도 내린다면 농작물이 살아남을 수 있으나 비도 이슬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몇 달 동안 내리지 않았다면 견뎌볼 수 있으나 몇 년이라 살아남기가 힘들었습니다. 이스라엘은 황폐화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왜 이렇게 되었습니까? 아합 왕이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들을 섬겼기 때문이었습니다. 아합 왕이 하나님께서 가장 싫어하는 것을 행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아합 왕 시절에 바알과 아세라는 풍요를 가져다주는 신이었습니다. 그래서 아합 왕이 바알과 아세라를 섬겼습니다. 오늘날은 시간과 물질이 풍요를 가져다주는 신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시간에 쫓기고 물질에 얽매입니다. 하나님은 아합 왕이 바알과 아세라를 섬기자 가뭄을 주셨듯이 우리들이 시간과 물질을 섬긴다면 인생을 실패하게 만드십니다. 하나님이 가뭄을 내려서 아합 왕을 굴복시키셨듯이 우리들에게 사랑의 매를 때려서 회개시키십니다. 

하나님께서 가장 좋아하시는 것을 행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시돈 왕국의 사르밧 과부였습니다. 하나님은 엘리야 선지자를 그릿 시냇가로 보내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유랑할 때 아침에는 만나를 저녁에는 메추라기를 내려주셨듯이 엘리야 선지자에게 아침과 저녁으로 까마귀들을 보내셔서 떡과 고기를 날라다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릿 시냇가가 마르자 엘리야 선지자를 시돈 왕국에 있는 사르밧으로 보내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엘리야 선지자를 시돈 왕국으로 보내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돈 왕국은 북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로 물들게 한 이세벨 왕비의 고향이었습니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속담처럼 하나님은 우상을 없애기 위해서 엘리야 선지자를 우상 숭배의 본고장으로 보내셨습니다. 하나님은 사르밧에 사는 과부가 엘리야 선지자에게 음식을 제공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엘리야 선지자를 과부에게 보내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는 가장 가난한 계층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가난한 과부에게 복을 주시려고 엘리야 선지자를 보내셨습니다. 과부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복을 받을 수도 있었고 받지 않을 수도 있었습니다.

엘리야 선지자가 사르밧에 도착해 보니 한 과부가 나뭇가지를 줍고 있었습니다. 과부는 가난에 쪄들어 몰골이 형편없었습니다. 얼굴은 새까맣게 탔고 의복은 갈기갈기 헤어졌습니다. 엘리야 선지가 과부를 불렀습니다. “청하건대 그릇에 물을 조금 가져다가 내가 마시게 하라.”(왕상17:10b) 엘리야 선지자는 물을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과부는 아무 말 없이 물을 뜨러갔습니다. 가뭄이 심하게 들어 물도 귀했으나 과부는 형편은 어려워도 인심은 후했습니다. 엘리야 선지자가 한 술 더 떴습니다. “네 손의 떡 한 조각을 내게로 가져오라.”(왕상17:11b) 엘리야 선지자는 밥을 가져오라고 요구하였습니다. 과부는 어이가 없다는 듯이 한숨을 쉬었습니다.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가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 뿐이라. 내가 나뭇가지 둘을 주워 다가 나와 내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죽으리라.”(왕상17:12) 과부는 마지막 음식을 만들어 먹으려 한다고 대답하였습니다. 엘리야 선지자가 대담하게 요구하였습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네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오고 그 후에 너와 네 아들을 위하여 만들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왕상17:13-14) 엘리야 선지자는 마지막 식사를 자신에게 먼저 가져오고 과부와 아들은 나중에 먹으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 가뭄이 끝날 때가지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않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않는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엘리야 선지자는 ‘벼룩의 간을 먹는다.’ 는 속담처럼 가난한 과부의 마지막 식사를 달라고 요구하였습니다. 과부는 마지막 식사를 자신과 아들이 먹을 것이냐? 하나님의 선지자를 줄 것이냐? 를 놓고 망설였습니다. 과부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마지막 식사를 엘리야 선지자에게 주었습니다. 과부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프라이팬에 기름을 붓고 나뭇가지를 지펴서 부침개같이 얇고 둥근 빵을 만들어 엘리야를 대접하였습니다. 엘리야는 ‘여호와는 하나님’이라는 뜻입니다. 과부는 마지막 식사를 하나님께 대접하였습니다. 그러자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처럼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않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않았습니다. 가난한 과부에게 있어 가루와 기름은 가장 귀중했습니다. 과부는 가장 귀중한 것을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하나님을 제일로 섬겼습니다. 우리에게 있어 시간과 물질이 가장 귀중합니다. 우리가 시간이 가장 귀중할 때 너무 바빠서 주일을 지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주일을 거룩하게 지킨다면 하나님께서 주일에 복을 주시고 거룩하게 만드십니다. 우리가 물질이 가장 귀중할 때 너무 쪼들려서 십일조를 드릴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십일조를 구별하여 드린다면 하나님께서 하늘 문을 열고서 쌓을 곳이 없도록 복을 부어 주십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연초가 되면 덕담을 나눕니다. 요즘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인사가 ‘부자 되세요.’입니다. 우리나라는 황금만능주의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교인들은 하나님 제일주의에 빠져야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도 우리를 제일로 여겨주십니다. 하나님을 나중으로 밀쳐놓은 아합 왕은 가뭄을 만났지만 하나님을 제일로 여긴 사르밧 과부는 기적을 체험하였습니다. 우리 교인들도 새해에는 그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제일로 섬겨 과부처럼 기적을 체험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 1:29-42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저는 성경에 나오는 인물 중에서 세례자 요한을 가장 좋아합니다. 요한이 메시야의 오실 길을 준비했듯이 저도 다시 오실 예수님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요한은 어떻게 메시야의 오실 길을 준비했을까요?


첫째, 요한은 메시야를 높이고 자신을 낮췄습니다. 하나님은 마태복음 3장 11절을 통해 요한의 설교를 들려주십니다. 요한은 “나는 너희로 회개하게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베푸실 것이요.”라고 설교했습니다. 요한은 죄를 회개하고 용서하는 물세례를 주지만 메시야는 죄인을 심판하고 구원하는 성령과 불세례를 주신다고 말했습니다./ 요한은 종은 주인의 신발을 들고 다니지만 자신은 메시야의 신을 들고 다닐 자격조차 없다고 고백했습니다.(요한복음 1장 27절을 통해 메시야의 신발 끈을 풀어드릴 자격조차 없다고 고백했습니다.)/ 요한복음 1장 30절을 통해 요한은 “내가 전에 말하기를 내 뒤에 오시는 사람이 있는데 나보다 앞선 것은 그가 나보다 먼저 계심이라 한 것이 이 사람을 가리킴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요한은 메시야보다 먼저 사역을 시작했지만 메시야는 요한이 태어나기 전부터 계셨다고 말했습니다. 자신을 뒤로하고 메시야를 앞세웠습니다./ 요한복음 3장 28절을 통해 요한은 제자들에게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요 그의 앞에 보내심을 받은 자”라고 증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요한은 인기가 높은 설교자였지만 자신은 그리스도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전령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자신은 조연이고 메시야가 조연이라고 말했습니다./ 요한복음 1장 30절을 통해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고 소망했습니다. 요한은 자신은 작아지고 메시야는 커져야 한다고 바랬습니다./ 요한이 이렇게 자신을 낮추자 예수님이 높이셨습니다. 예수님은 마태복음 11장 11절 전반 절을 통해 “여자가 낳은 자 중에 세례 요한보다 큰 이가 일어남이 없도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여자의 몸에서 태어난 사람 중에 요한보다 더 큰 인물은 없었다고 세워주셨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떻습니까? 우리는 높아지려고 하지 낮아지려고 하지 않습니다. 내세우려고 하지 감추려고 하지 않습니다. 대접받으려고 하지 대접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생색내는 일을 하려고 하지 궂은일을 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존귀 영광 모든 권세를 받으려하지 멸시 천대 십자가를 지려하지 않습니다. 미국의 토니 에반스 목사님은 달라스 신학교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분입니다. 에반스 목사님은 [그리스도인의 삶]이란 책을 통해 영적 성장은 삶 속에서 나는 점점 덜 드러나고 그리스도가 점점 더 많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신앙은 기도를 오래 한다고 성경을 많이 읽는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나는 작아지고 그리스도가 커지는 생활을 해야 좋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둘째, 요한은 메시야에게 자신의 제자를 내어드렸습니다. 요한복음 1장 29절을 통해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제자들에게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라고 말했고, 35절을 통해 “보라,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라고 말했습니다. 요한은 제자들에게 예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대신지고 돌아가실 희생양이라고 말했습니다. 요한은 33절과 34절을 통해 “나도 그를 알지 못하였으나 나를 보내어 물로 세례를 베풀라 하신 그이가 나에게 말씀하시되 성령이 내려서 누구 위에든지 머무는 것을 보거든 그가 곧 성령으로 세례를 베푸는 이인 줄 알라 하셨기에 내가 보고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언하였노라.”고 말했습니다. 요한이 예수님에게 세례를 베풀자 성령님이 예수님 위에 머무는 모습을 보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요한은 안드레와 다른 제자(혹시 요한?)를 예수님에게 내어드렸습니다. 그 당시 선생은 제자를 훈련시키고 제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을 가르쳤습니다. 제자는 더 많은 제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자신의 제자들을 늘리기보다는 자신보다 위대한 선생인 예수님에게 제자들을 내어드렸습니다. 하나님은 열왕기상 17장 8절 이하를 통해 사르밧 과부가 마지막 남은 가루와 기름을 자신과 아들이 먹지 않고 엘리야 선지자를 대접했더니 가뭄이 끝나는 날까지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않았다고 말씀합니다. 요한복음 6장 이하를 통해 아이가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먹지 않고 예수님에게 드렸을 때 성인 남자 오천 명이 먹고 남은 조각을 열두 바구니나 거두었다고 말씀합니다. 요한이 제자들을 내어드리지 않았다면 제자들은 요한의 물세례를 전파했을 겁니다. 그러나 예수님에게 내어드렸을 때 제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게 되었습니다. 제자들이 더 크게 쓰임을 받았습니다./ 사르밧 과부가 마지막 남은 음식을 자신과 아들이 먹었다면 가뭄이 3년 6개월간 계속됐기 때문에(약5:17) 아마 굶어죽었을 겁니다. 그러나 엘리야에게 주었을 때 가루와 기름이 없어지지 않았습니다./ 아이가 도시락을 혼자 먹었다면 다른 사람들이 굶주렸을 겁니다. 그러나 예수님에게 내어드렸을 때 수천 명이 먹고도 남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떻습니까? 내가 가지려 하지 주님께 드리려고 하지 않습니다. 주님께는 조금 드리면서 나에게는 많이 달라고 합니다. 누가복음 12장 13절 이하를 통해 부자는 풍년이 들어 곡식을 쌓아둘 창고가 부족하자 “내가 이렇게 하리라. 내 곳간을 헐고 더 크게 짓고 내 모든 곡식과 물건을 거기 쌓아 두리라. 또 내가 내 영혼에게 이르되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 하였으나 하나님은 “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그러면 네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고 말씀하셨습니다. 부자는 자신을 위해 쓰려고 했지 하나님과 이웃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위해서 땅에 재물을 쌓아 두면서 하늘에 쌓지 않는 사람을 어리석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헌신을 거름으로 삼아 열매를 맺으십니다. 밭에 거름을 주지 않으면 쭉정이가 달리지만 거름을 주면 알곡을 맺습니다. 수동식 펌프는 물을 한 바가지 붓고 펌프질을 해야 물이 쏟아집니다. 우리가 한 바가지도 붓지 않는데 어떻게 많은 물이 쏟아지겠습니까? 하나님은 우리가 헌신할 때 복을 주십니다. 우리가 헌신의 거름을 주어여 복의 열매를 맺게 해주십니다. 우리는 요한이 자신을 낮추고 예수님을 높이며, 자신이 가진 것을 예수님에게 내어드리며 메시야의 오실 길을 준비했듯이 우리도 자신을 낮추고 예수님을 높이며, 우리의 것을 하나님이 귀하게 사용하시도록 내어드리면서 다시 오실 예수님을 준비해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