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이야기
류재수 / 통나무 / 1988년 4월
평점 :
절판


 

상상력이라는 것은 정말 개발이 되는 것이다. 그냥 머릿속에 있던 것이 아니라. 그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는 것은 아이에게나 어른에게나 경직된, 한쪽으로의 생각을 비틀게 함으로 해서 다른 생각들을, 보지못하고 지나칠 수 있는 면들을 볼 수 있도록 자극함으로해서 삶을 풍부하게 한다고 본다.


책에 나오는 강한 인상의 이미지들은 백두산의 태생 이전부터 지구의 그 소용돌이치는 모습,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기 전의 그 혼돈과 그 생명을 태어나게 위한 엔진같은 폭발력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 조선이 생겨난 것을 새롭게 구성하면서 천황닭이나 청이슬 혹은 흑이슬 같은 단어들, 그리고 한울왕과 따님왕 등등을 등장시켜 기존에 봐었던 역사책 혹은 신화책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즐거움을 전해주는 것 같다. 아이들에게나 어른들에게나.


땅이 생기고 하늘이 생기고 사람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해와 달이 각각 두개가 있어 낮은 밤은 차가운 그러한 땅. 이러한 연유로 생활의 곤란을 호소한 조선 사람들을 위하여 하늘의 백두거인은 각 각 한개씩을 없애 평화를 갖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화의 삶터에 침입한 흑룡거인. 이후 이 땅의 평화를 침략해 온 흑륭거인이 몰래 칩입하여 사람들을 괴롭히자, 명령을 받은 백두거인이 조선의 땅을 어지럽히는 흑룡거인을 상대로 100일동안을 싸워 물리쳐 이에 조선사람들은 백두장군을 연호하며 기뻐했다는 이야기.


어려울 때 일어나 사람들을 지켜주는 백두산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백두산과 천지의 태생을 강한 인상의 그림으로 그 느낌을 전해주고자 한 노력이 담겨져 있어 좋다. 백두산이 그냥 단순한 백두산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숨결과 역사가 그대로 담겨있는 그러한 산임을 느끼게 한다.


다시 읽어도 새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씨방 일곱 동무 비룡소 전래동화 3
이영경 글.그림 / 비룡소 / 199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웃긴 책이다. 사람의 상상이라는 것은 끝이 없다라는 생각도 들고. 물건 하나하나에도 사람의 모습처럼 소중하게 다루어야 함을 느끼게도 해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은 각자의 역할이 있음을 알려주는 교훈적인 내용도 잘 스며들어 있다. 물론 각각의 역할에 대해서도 자랑하는 이야기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담았다. 자와 가위, 바늘 등 각각의 역할에 맞는 인물들의 얼굴표정이 살아 있어 좋다.


빨강두건아씨 방의 일곱 동무들이 아씨가 잠든 사이에 서로 자기의 역할이 중요함을, 자신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강조하며 자랑을 하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순서가 어떻게 정해졌는지, 하여튼 형님 위치에 있는 동무들도 있다. 골무할미는 말그대로 할미의 모습 그대로. 얼굴 표정의 눈 모습이 살아 있어 좋다. 이야기와 그림이 단조롭지만 잘 어울린다. 빨강두건아씨도 잠에서 깨어나서는 한 마디 한다. 다 내가 나서야 일이 된다고 하면서 말이다.


아씨방 반짇고리에 사는 일곱동무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각자의 역할이 중요함으로, 서로의 역할을 인정할 줄 아는 모습을 일깨워주고자 한 그림과 글씨가 동양화적으로 잘 담겨져 있어 보기 좋다. 아씨가 동무들을 반짇고리에 넣고 잠을 자다 꿈을 꾸는데, 꿈속에서 반짇고리의 일곱동무들이 다 사라진 것이다.


울다 깨어나서는 일곱동무들을 바라보며 함부로 대했던 모습을 돌아보며 모두 소중함을 깨우치는 아씨.


학교 교실에 있는 아이들에게 선생님과 반 친구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서로 자기가 잘났다며 싸우고 다툴 것이 아니라. 친구 하나 하나가 소중함을, 같이 사는 이웃의 소중함을 아이들에게 일깨워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어린 아이들에게는 엄마가 바느질 하는 모습을 통해 이 책의 의미를 더욱 가깝게 해 줄수도 있지 않겠나 싶다. 그림책 처럼 잘 표현이 되지는 않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모자라니까요! 문지아이들 59
잔니 로다리 지음, 알렉산드로 산나 그림, 이현경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이게 무슨 책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 이랬다 저랬다하는데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할려고 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빨간모자라고 했다가 검음모자, 노란모자, 초록모자도 나오고 말이다. 기린이 되었다가 늑대가 되는 그런 이야기인데 마지막 부분에 가서야 이것이 할아버지가 신문을 읽는동안에 소녀에게 빨간모자 이야기를 해주는 그런 과정을 책으로 엮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이야기를 해주는 그런 과정을 쓴 내용이라고 해야 하나.


재미있게 그려진 간결한 그림과 길지 않은 글들이 아이의 호흡과 맞춰져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몇 번을 같이 읽었다. 색을 구분할 줄 알게 하고, 그 다음 그림을 통해 무슨 말이 나올지를 짐작케한다. 소녀는 할아버지의 이야기에 바르게 지적을 한다.


“아니라니까요, 빨간모자예요.”


아이와 함께 읽는 동안 아이도, 부모도 함께 즐거워질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 녀석 맛있겠다 - 별하나 그림책 4 고 녀석 맛있겠다 시리즈 1
미야니시 타츠야 글 그림, 백승인 옮김 / 달리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장면이 참 잊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앞 부분에서 뭐 이런게 다 있나 했지만 뒷 장면에서의 반전이라고 해야 하나. 아기 공룡 인킬로사우르스가 알에서 태어나 혼자 헤매는데 나티라노사우로스가 그 공룡을 먹으려고 할 때, 아빠라고 하며 달려드는 아기 공룡, ‘고 녀석 맛이겠다’라는 말을 자신의 이름으로 알아듣고, 이름을 불러 준 공룡이 자기의 아빠라며 달려드는 아기 공룡. 잡아먹겠다는 티라노사우로스에게 달라붙어 애정을 표시하는 동안 다른 공룡이 달려들어 잡아먹으려 하자, 오히려 이번에는 그 공룡을 쫓아버립니다. 이렇게 같이 지내며 살아가는 방법도 배웁니다. 그리고 아기공룡은 먹을 것을 찾아와 티라노아수로스에게도 준다. 그리고 아기공룡이 자신의 어미를 찾아갈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아기 공룡의 뭐라고 할까, 순수함이라고 해야 하나. 부모에게 아기들의 그 마음을 느끼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아이를 위해 읽어주는 동안 내 마음이 더 따뜻해지고, 옆에 있능 아이를 더 가까이 안아줄 수 있는 그런 시간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오히려 어른들을 위한 동화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부모와 아이가 좀 더 가까워 질 수 있는 그런 시간이 되어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그림도 또한 이 책의 ‘맛’을 전해주는 큰 즐거움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이 되고 싶어요 - 초등학생 그림책 3
야니크 하스트룹 그림, 스테판 프라티니 글, 이세진 옮김 / 달리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곰이 되고 싶어요>의 줄거리는 새끼를 밴 엄마곰이 늑대떼의 공격을 받으면서 얼음바다에 빠져버리는데 이때문에 뱃속에 있던 새끼는 태어나기도 전에 죽는다. 이때 멀리 떨어진 곳에 에스키모 부부가 한 아이를 낳았는데, 그 아이의 이름은 ‘작은곰’. 어느 날, 이 부부의 집 앞에 온 아빠 곰은 이 아이를 데려와 엄마곰에게 키우라고 한다. 처음에는 싫다고 했지만 아이를 사랑으로 감싸주는 엄마 곰. 그리고 이 아이를 찾아떠난 에스키모 아빠. 아빠는 아이를 찾아 데려오지만, 결국 이 아이는 다시 떠나고, 산신의 세가지 테스트를 거쳐, 진짜 곰이된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들에게 읽어줄 책으로 샀는데, 사실 다소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은 것 같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걸까 하면서 말이다. 사람이나 동물에게나 사랑의 깊이는 같다라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하게 곰의 사랑에 대해서, 그리고 거기에 적응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지 말이다. 동물에게나 사람에게나 그 깊은 사랑이 있음을, 그리고 인간 세상에 대한, 인간세상을 벗어나고 싶어하는 사람을 대변하는 그러한 모습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그리고 또 하나가 있다면 비유적으로 보기에 부모의 강압적인 태도를 벗어나서 자유를 찾아, 자기가 하고 싶은 바를 따라가고자 하는 아이의 모습으로도 또한 생각되어지는 책이다.


하여튼, 특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