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홈  >  국민일보 기사목록

[한국교회 순교 유적지 탐방] 죽음으로 지킨 신앙… 한국교회 부흥 씨앗
[기타] 2003년 03월 14일 (금) 15:44
길을 떠나려면 늘 마음이 설렌다.그 설렘을 안고 길에 서면 문득 ‘이 길은 예전에 누가 걸었던 길일까’란 질문이 밀려든다.

한(恨). 길에서 ‘한’을 느끼는 건 질곡으로 가득했던 우리네 삶 때문일 게다. 옛길 옆으로 새 길을 넓게 뚫고 역사와 숨결을 담은 흙을 포장재로 덮어놨지만 그 길을 걸었던 수많은 이의 소리까지 막을 수는 없다.

군홧발 소리와 포성,말발굽 소리,민중의 아우성. 그 속에서 죽음으로 신앙을 지킨 이들의 외침도 작지 않은 크기로 들려온다. 이들의 외침은 곧 한을 숙연함으로 바꿔놓는다. 내 신앙을 되돌아보게 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게 만든다.

한국교회순교자기념사업회(02-766-6319) 이사들과 함께 최근 순교 유적지를 찾았다. 사무총장 이응삼 목사와 김철수 목사 등이 여정을 인도했다. 순교자기념사업회는 당일,1박2일,2박3일 일정으로 전국의 순교유적지를 찾아볼 수 있도록 성도들을 돕고 있다.

여정의 첫 시작은 전남 여천군 성산교회. 애양원 교회로 알려진 곳이다. 6?25때 공산군에게 목숨을 잃은 ‘사랑의 원자탄’ 손양원 목사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손목사는 1939년 36세의 젊은 나이로 애양원교회 2대 목사로 부임했다.

애양원은 1909년 광주 광혜원장 윌슨 선교사에 의해 시작됐다. 목포에서 활동하던 포사이드 의료 선교사가 광주로 가던 길에서 발견한 한센씨병 환자를 치료해줬던 것에 자극을 받았던 것. 그러다가 1925년 여천군으로 이전했다.

손목사는 이곳에서 한센병 환자들의 피고름을 입으로 직접 빨기도 하고 환자의 목을 끌어안고 기도하고 음식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했다. 그는 1948년 여순반란사건으로 두 아들을 잃었다. 손목사는 두 아들을 죽인 당사자를 양아들로 삼았다. 또 1만원의 감사헌금을 하기도 했다. 당시 손목사의 월급은 80원이었다. 사랑을 실천하던 손목사는 1950년 9월13일 퇴각하는 공산군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순교의 발자취를 찾는 걸음은 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교회와 염산교회로 이어졌다. 공산군에 의해 각각 65명과 77명의 성도들이 목숨을 잃었다. 야월교회의 경우 가족을 포함한 65명의 성도 전원이 순교했다. 야월교회는 1908년 유진 벨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교회. 6?25 직전 후방 교란을 목적으로 남파된 게릴라들은 염산면으로 침투했다. 인민재판 등으로 마을을 유린하려 했지만 기독교인들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공산 게릴라들은 성도들을 염전에 판 웅덩이에 묻어 죽였다. 예장통합 광주노회는 이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0년 11월 순교기념탑을 교회 뜰에 세웠다.

인근 염산교회도 같은 경우. 신앙을 지키려던 성도들을 공산군은 죽창으로 찔러 죽이거나 목에 돌을 매달아 수장시켰다. 칼로 목을 베기도 했다. 성도들은 물에 빠져 죽으면서도 “내 평생 소원 이것뿐 주의 일 하다가 …”라고 찬송을 부르며 죽어갔다.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H B 헐버트)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습니다.”(아펜젤러)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언더우드) “친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 사랑이 없느니라.”(젠슨) “나에게 천의 생명이 주어진다 해도 그 모두를 한국에 바치리라.”(켄드릭)

복음을 전하기 위해 이 나라에 왔다가 이곳을 조국으로 삼은 이들의 목소리는 서울 합정동 서울외국인묘지공원에서 들을 수 있다. 공원에는 종교계 언론계 교육계에서 활동했던 외국인 인사 500여명이 묻혀 있다. 아펜젤러와 에비슨 선교사,대한매일신보의 토머스 베델, 조선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헐버트 박사 등 선교사 75명과 그 가족 36명도 함께 있다.

마지막 여정인 경기도 용인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은 돌비 성구로 방문객을 맞이한다. 순교자기념관은 구한말 혼란기와 일제의 잔악한 탄압,냉전 이데올로기 속에서 신앙을 지킨 순교자 200여명의 사진과 유품이 전시돼 있다. 기념관 돌비에 적힌 주기철 목사의 일기 한 편이 우리를 숙연하게 한다.

“주님을 위하여/오는 고난을 내가 피하였다가/이 다음 내 무슨 낯으로/주님을 대하오리까/주님을 위하여/이제 당하는 수옥(囚獄)을 내가 피하였다가/이 다음 주님이/‘너는 내 이름과 평안과 즐거움을 다 받아누리고 고난의 잔은 어찌하고 왔느냐’고 물으시면 /나는 무슨 말로 대답하랴/주님을 위하여/오는 십자가를 내가 지금 피하였다가/이 다음 주님이/‘너는 내가 준 유일한 유산인 고난의 십자가를 어찌하고 왔느냐’고 물으시면/나는 무슨 말로 대답하랴”

용인?여수·영광=전재우기자 jwjeon@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학생 10명중 9명, 혼전 성관계 `가능'>
[속보, 지역] 2001년 06월 17일 (일) 08:30
(대구=연합뉴스) 이재혁기자= 대구지역 대학생 10명 가운데 9명이 혼전 성관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등 개방적인 성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 신문방송학과가 최근 대구지역 4개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성의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혼전 성관계에 대해 `절대로 안된다'는 응답은 11.8%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54.2%는 `사랑한다면 가능하다', 17.7%는 `결혼할 사이면가능하다'고 응답했고 `사랑없이도 가능하다'는 응답도 10.3%나 됐다.

또 대상자의 48.2%가 혼전 동거에 찬성했으며 그 이유로 `상대에 대해 많은 것을 알기 위해'(58.1%), `결혼보다 자유로운 생활 가능'(19.4%), `결혼을 더욱 신중하게 선택하기 위해'(14.5%), `경제적 효율성'(3.2%) 등을 꼽았다.

성관계를 가진 상대와의 결혼에 대해서는 `안해도 된다'는 응답이 64%나 됐고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12.1%에 그쳤다.

이밖에 결혼 상대자의 성관계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5.9%만이 `용납할 수 없다'고 응답했고 조사 대상자의 27%가 성관계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yij@yna.co.kr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뉴스 홈  >  한겨레신문 기사목록

한국대학생 "정치 신뢰" 4.7%
[속보, 사회] 2003년 11월 10일 (월) 19:12
[한겨레] 한·중·일 의식조사…중 47%·일 10.5% 한·중·일 3국 대학생 가운데 한국 대학생들이 국내정치에 대한 신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신문은 한·중·일 3개국 15개 대학 재학생 1469명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벌인 결과, ‘국내 정치에 대한 신뢰도’에서 중국 대학생 47.6%와 일본 대학생 10.5%, 한국 대학생들 4.7%가 ‘신뢰한다’고 응답해, 한국 대학생들의 정치 신뢰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또 ‘국내 정치에 대한 관심도’에서도 중국 대학생 59.2%, 일본 대학생 45.3%가 ‘관심있다’고 대답했으나, 한국 대학생은 38.2%에 그쳐, 이 또한 가장 낮았다.

3국 대학생들의 동북아시아 정세에 대해서는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인식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핵보유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중국 대학생의 43.6%, 한국 대학생의 58.8%가 ‘심각하다’고 답한 반면, 일본 대학생들은 80.2%가 ‘심각하다’고 답해 큰 격차를 보였다.

북핵 문제 해법으로는 중국학생 71.1%와 한국학생 62.0%가 ‘대화를 통한 해결’을 지지한 반면, 일본학생들은 51.8%만 대화를 통해 해결을 지지했다. 이에 견줘 일본학생들은 대화와 무력을 혼합한 방식(34.8%), 무력해결(9.4%)을 지지해 중국학생(21.2%, 5.1%)과 한국학생(27.5%, 2.8%)보다 높았다.

일본이 추진중인 자위대 해외파병에 대해서는 일본 학생들은 41.1%만 반대 의사를 나타낸 데 반해, 중국 대학생 91.6%, 한국 대학생 72.2%가 각각 ‘반대한다’고 대답했다.

이 밖에 사회, 경제, 문화 등에 대한 의식 및 생활상에서 세나라 대학생은 차이를 보였다. 현재의 생활수준에 대해 일본 대학생들의 55.9%가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은 39.3%, 41.5%가 각각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또 중국과 일본 대학생들은 정보를 얻는 매체로 각각 34.0%와 42.8%가 ‘텔레비전’을 꼽은데 비해, 한국 대학생들은 57.8%가 ‘인터넷’이라고 대답했다.

혼전동거 및 성관계에 대해서는 일본 대학생(72.2%)과 한국 대학생(57.1%)의 찬성 비율에 비해 중국 대학생(22.2%)의 찬성 비율이 절반 이하로 낮아, 성의식 개방 정도에서도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 조사는 한국대학신문과 중국 베이징대, 일본 한일정책연구소 등이 지난 9월 한달 동안 3개국 대학생 각 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키스·애무 `낯뜨거운 캠퍼스`
[속보, 사회] 2003년 10월 17일 (금) 10:45
(::학생들 애정표현 정도 지나쳐 "공개장소 지킬건 지켜야" 씁쓸 ::) 캠퍼스가 갈수록 야해지고 있다. 최근 캠퍼스를 걷다보면 커플이 아닌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많은 커플들이 눈에 띄며 사 랑의 표현도 갈수록 대범해지고 있다.

예전에는 어두운 곳이나 눈에 띄지 않는 은밀한 곳에서 즐겼던 사랑을 이제는 수많은 사람들앞에서도 당당하게 즐기고 있는 것 이다. 서로의 몸을 민망할 정도로 밀착해서 대화를 나누는 것은 흔히 볼수 있는 일이 되었고 일부 커플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 하지 않고 키스를 주고 받기도 한다.

외국에서 공부하다 온 한국외대 오수영(24)씨는 “처음에는 캠퍼 스에서 연인들의 사랑표현을 보고 상당히 놀랐다. 어떻게 보면 한국 젊은이들이 미국이나 유럽등 선진국보다 더욱 성개방이 된 듯하다”고 혀를 내둘렀다.

실제로 얼마전 모 스포츠신문 인터넷사이트에서 ‘이라크 파병 하루전 애인과 무엇을 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남자 60%이상은 “여자친구와 섹스를 하고 싶다”고 대답했으며 여자들도 51%이 상이 같은 대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필자가 ‘대학생 성의식’에 관한 과제물을 위한 조사 에서도 많은 대학생들이 대학교에서 이성교제를 제일로 하고 싶 다고 했으며 이들은 실제 ‘남자친구 군대가기전’ ‘MT등 여행 중’에 성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를 가진 학 생들 대부분이 “이성을 좋아하지만 결혼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고 답해 기성세대와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줬다.

경희대 함윤라(22)씨는 “이성친구와의 성관계가 더 이상 부끄럽 거나 비밀이 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며 개방된 성의식은 인정 하면서도 “그러나 공개된 장소에서 지켜야 할 도덕까지 잊어버 리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오유정(경희대)yoocarol98@hotmail.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세 47% "혼전순결 안 지켜도 된다"
[속보, 사회, 기타, 생활/문화] 2003년 05월 18일 (일) 12:42

'혼전순결이 꼭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20세 남녀 47% 상당이 '혼전순결은 안 지켜도 된다'는 '성의식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4월 사랑의 전화(대표 김인영)에서 실시한 20대 남녀 대학생 '성의식 조사' 결과보다 4%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갓 성인 대열에 들어선 20세 남녀는 2명 중 1명꼴로 혼전순결이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성년의 날'을 맞아 MBC 라디오 특집 프로그램 <라디오 성인식>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15∼16일 만 20세의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20세의 의식 조사'라는 제목의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6.8%가 "혼전 순결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대답했다.

 

여성의 배우자 선택시 고려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성격'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6.9%로 가장 많았고, 경제력을 택한 여성이 31.7%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직업과 학력을 선택한 응답자는 각각 13.9%와 1.9%에 머물러 학력이나 직업보다는 경제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성년의 날이 지났음에도 자신은 어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전체의 42.5%를 차지, 성년의 날을 '진정한 성년'이 되는 관문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도형 기자 dohlee21@hot.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