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사소한 정의 라드츠 제국 시리즈
앤 레키 지음, 신해경 옮김 / 아작 / 2016년 5월
평점 :
판매중지


인공지능 로봇이 주연이나 조연으로 등장하는 작품은 많지만, 우주전함이나 우주정거장을 운영하는 인공지능이 주인공인 작품은 드문 것 같다.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의 HAL9000 정도?  인공지능이 온전한 인격체로 등장하는 경우는 대체로 결말이 재앙적이다. <<터미네이터>>의 스카이넷이 대표적. 물론 인간의 충직한(?) 우군일 경우도 있다. (<<아이언맨>>의 자비스)

인공지능이 인간형 외형으로 등장할 경우, 대체적으로 인격체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다루는 반면, 비인간형으로 그려질 경우 인공지능에 의해 지배받고 도태될 수 있는 위험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진화론에 익숙한 현대인으로서는 현 인류보다 월등히 뛰어난 지성체의 탄생은 호모 사피엔스에 의해 밀려나 멸종한 네안데르탈인을 떠올릴 수 밖에 없다.

작가 앤 레키는 영리하게도 인공지능 함선과 함선의 보조체라는 장치를 통해 인간답고 더 뛰어나면서 인간의 완벽한 보호자가 되어주는 인공지능을 그려내고 있다. 오히려 작품의 배경이 되는 라드츠 제국의 군주인 아난더 미아나이가 최종적으로는 더 위험한 독재자였음을 깨닫게 된다.

자신의 함선에 근무하는 선원들에게 애착을 느끼도록 설계된 인공지능 함선은 자신이 특별히 애착을 갖고 있었던 대위를 아난더 군주가 스스로의 모순을 덮기위해 내린 명령으로 살해하게 된다. 그로인해 아난더 군주에게 반기를 들게 되고 결국 군주에 의해 함선은 파괴되고 함선의 파편이라고 할 수 있는 일개 보조체만이 살아남아 자신이 사랑했던 대위의 복수를 이행하는 모습은 주군의 원수를 갚는 '47인의 낭인'의 주제와 다르지 않다.

또다른 함선의 유일한 인간 생존자인 '세이바든'을 우연히 만나 돌봐주면서 인간 '세이바든'에 의해 인간으로 오해받는데, 별다른 연민없이 제공하는 그녀의 보호가 오히려 '세이바든'에게는 어느누구보다 헌신적이고 고결한 인간의 모습으로 비쳐지게 된다.

'사소한 정의'라는 제목은 주인공인 '저스티스급' 전함의 한 파편인 보조체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고 미약한 존재인 그녀에 의해 완성되는 '정의'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라드츠 제국은 또한 성의 불평등이라는 개념자체가 없는 것으로 그려지는데 제국의 모든 구성원은 '그녀'로 여성형이다. 작품 속에는 분명 남성도 등장하지만 함선의 장교와 사병들은 분명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 같다. 그렇다고 페미니즘적 느낌은 전혀 없이 단순히 성별에 대한 구분이 없을 정도로 성평등이 일반화된 사회일 뿐이라는 설정이다.

앤 레키의 소설을 이처럼 자못 심각할 수 있는 주제를 대놓고 드러내지만 결코 매몰되는 일없이 낙관적인 스토리를 재미있게 엮어간다. 데뷰작으로 라드츠 제국이라는 거대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이야기를 뽑아내는 작가가 놀랍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사소한 정의 라드츠 제국 시리즈
앤 레키 지음, 신해경 옮김 / 아작 / 2016년 5월
평점 :
판매중지


사소하게 보이는 인공지능의 한 분체가 지켜낸 결코 사소하지만은 않은 정의! ‘47인의 낭인‘의 AI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그
스티브 앨튼 지음, 신현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1997년 7월
평점 :
절판


티라노사우르스를 한 입에 꿀꺽하는 모습으로 위용을 드러내며 시작했던 소설. 최근 영화화되어 개봉할 예정이란다. 다시 읽고 싶지만 절판된지 오래고 이사를 다니며 정리했던터라 읽어볼 수 없는 책. 영화개봉에 더불어 eBook 재출간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안드로메다 성운
이반 예프레모프 지음, 정보라 옮김 / 아작 / 2017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1960년대는 미소 양국이 치열하게 우주경쟁을 펼쳤던 시대이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SF물이라면 당연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라고 하고 싶다. 영화는 워낙 명작이라 더 말할 필요없고, 대학 때 처음 읽었던 동명의 원작(?)소설은 아직도 줄거리가 기억날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었다. 아마도 해적판이 아니었나 싶은데 함께 읽었던 속편인 '2010 스페이스 오딧세이'도 역시 영화화되어 VOD로 봤었다. 그리고 최근 러시아 혁명 100주년, 최초의 인공위성이었던 스푸트니크 발사 60주년을 맞이한다는 거창한 마케팅 문구와 함께 이름도 생소한 소련 작가가 쓴 이 소설을 읽게 되었다.

두 소설이 모두 1960년대에 쓰여진 소설 임에도 서로 다른 체제의 영향인지 두 소설은 같은 듯 다른 면이 많이 보인다.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에서는 우주로의 여행 범위가 태양계로 한정되는데 (목성까지 몇 개월이 걸렸다) '안드로메다성운'에서는 성운선을 타고 이미 다른 별까지의 여행이 가능한 것으로 나온다.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는 우주선은 당연히 현실성 있는 우주속도로 운행되나, '안드로메다성운'에서는 거의 빛에 가까운 속도로 성간운행을 한다. 아이러니 한 것은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에서는 '할9000'이라는 현재의 기술을 뛰어넘는 A.I. 에 의해 우주선의 궤도운행이 관리되지만  , '안드로메다성운'에서는 전자계산기가 워낙 구식이다보니 크기가 너무 커서 성간선에 싣지 못하기 때문에 궤도운행을 위한 계산을 여러 사람이 모여 직접한다는 점이다.

몇 년의 차이가 있지만 거의 같은 시대인데도 현실과 상상의 결이 너무도 달랐다. 외계인의 경우도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는 거의 신의 능력에 필적한 존재로 묘사되지만, '안드로메다성운'의 경우 문명 발달의 정도가 인간의 이해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그려진다. 게다가 '유토피아 소설'로 분류될 정도로 미래의 사회는 개인부터 조직에 이르기까지 이성과 지식에 기반한 합리적 사회를 꾸려가고 있다. 말 그대로 '계몽된 인민'의 세상이라고 할까.

너무도 완벽하게 조화로운 인간들의 세계를 그려낸 점이 디스토피아적인 세계관이 판치는 오늘날에는 조금 촌스럽게 다가올 수도 있겠지만, 지구를 벗어나 태양계 너머, 그리고 다른 별을 향한 여정을 위해 나아갈 꿈을 꾸는 인류라면 마땅히 이뤄내야할 목표일지도 모르겠다. 영화 E.T.의 외계인이 그랬던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안드로메다 성운
이반 예프레모프 지음, 정보라 옮김 / 아작 / 2017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와 비교하며 읽어보기를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