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속 외딴 성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서혜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http://hestia0829.blog.me/221364206940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 울려 퍼지던 음율이 '작은 세상'이라는 동요라니...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속의 미스터리한 열쇠를 푸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노래이기도 했다.
예쁜 그림책 속에 거대한 꿈을 뿜어내듯 희망과 동시에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 진다는 꿈과 같은 씨앗을 품어준다.

학교에 적응을 못한 일곱명의 소년 소녀들이 펼치는 따뜻한 응원의 메세지가 눈물을 머금게 하는 감동을 준 '거울 속 외딴 성'은 어려운 가운데 한발자국 내딛는 용기를 선물한다. 학교에도 가지 못하고 두려움에 집밖으로 나가지도 못하는 고코로가 어느 날 자신의 방에 있던 거울속으로 빨려 들어가며 삶이 변화하는 성장스토리를 보여준다.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과 비슷한 여섯명의 아이들 또한 거울 속 다른 세계에 의아해 하지만 그 속에서 함께 어울리고 서로를 이해하며 조금씩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는데, 문제는 거울 속의 의문의 성에서 만난 늑대님의 미션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였고 이들은 미션 속 비밀의 열쇠보다 더 소중한 깨달음을 얻음으로써 내면의 갈등과 싸우게 된다.

이유가 있어서 괴롭힘을 당하는 것이 아니며 그런 일들이 결코 그들의 잘못이 아님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싶단 저자의 의도가 보여진다. '힘내서 어른이 되어줘'란 메세지가 무척이나 마음 한구석을 내리찍은만큼 지금의 어른인 내가 우리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응원의 메세지가 되었다. 감동과 위로의 메세지가 결코 자신은 혼자가 아님을 기억하라고 다독이듯이 성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http://hestia0829.blog.me/221364835215

 

 

열아홉의 사랑은 모험이고 스물다섯이 되어야 안정된다는 해설적 설명은 책의 마지막을 넘길때까지 의견의 일치는 없었다. 줄리언 반스의 작품을 처음 만나는 독자로서 쉼표의 머무름과 흔들리는 듯한 고뇌의 글귀가 무척이나 애처롭고 안타까웠다. 사랑을 해서 행복하고 사랑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불행한 것이 아니라 어쨋든 고난과 역경을 만난다면 거센 파도 한가운데서 마음이 가는 보이지않는 형태로 흘러갈 것이라면 아파도 사랑이였음을 추억하는 이 책은 남이 쉽게 보는 그저그런 로맨스가 아니다.

제비뽑기로 파트너를 정했던 테니스클럽의 복식멤버 수전은 열아홉의 나보다 두배는 많은 기품있는 여성이다. 운전을 해서 집에 데려다주던 폴은 이룰 수 없는 관계이고 이룰 수 있다해도 그게 바람직한 것인지 판단이 서지 않았고 그저 사춘기 시절의 어른을 우월하게 보는 그런게 아니라고 느꼈다. 그렇게 폴의 첫사랑은 꽤나 부드러웠고 열정적이였으며 진정한 사랑이였다. 도피한 삶은 행복하기만 할 줄 알았건만 우울에 빠진 수전의 알콜중독 증상은 연인이란 이름의 허물을 서서히 벗게 만들었고 그렇게 기나긴 첫사랑의 기억을 습작하는 끄적임이다. 단 하나의 기억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동의 습관은 아픈 기억일지... 아니면 추억일지... 이것도 진정한 사랑이 맞는 것일까? 물음을 던진다면 어쩔 수 없이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폴의 입장에서 씌여진 일인칭 시점의 스토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이 따뜻한 남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다락방에 갇힌듯 지냈던 수전의 내면의 언어가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지만 애틋함에 마음을 울리고 전율하게 되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져 애잔해지기도 했다.
연애는 뿌리 뽑을 수 없는 망상이 아니라 추억의 습작일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날로그
기타노 다케시 지음, 이영미 옮김 / 레드스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365258655

 

 



신호가 주는 양의 크기 그대로 받아들이는 형태의 아날로그는 구시대적이지만 오랜것의 설렘과 추억이 가져오는 그만큼의 양만큼 따뜻함을 전해준다. 메일 주소나 연락처도 없이 언어의 약속으로 정처없이 그곳에서 상대를 기다리는 이 순애보 연애소설은 갑갑하지만 현재를 살며 예전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작은 선물과도 같다고나 할까...
'그땐 그랬지.'  '그때가 좋았어.'라고 추억하는 기억들의 흔적이기도 한 이 책은 소개글에서 표현한 것처럼 무색소 저염식의 사랑을 보여준다.

요양원에 계신 어머니를 돌보며 넉넉지 않은 형편에 매일을 바쁘게 사는 사토루는 건축 디자인을 한다. 그나마 하루의 불편함을 토로하며 우스갯소리로 너털웃음을 자아내며 술잔을 기울이는 절친들이 있어 무척이나 힘이 된다. 자신의 업무가 일찍 끝나 우연히 들른 '피아노'라는 카페에서 미처 치우지 못한 좌석에 앉았고 테이블위에 놓여있던 잡지를 보았다. 하지만 그 테이블은 다른 여성의 자리였고 잠시 자리를 비웠을 뿐이였다. 그렇게 목요일의 아날로그적인 만남의 약속이 시작되었다. 요즘의 인간관계가 너무나 빠르고 쉽게 연결되지만 그들의 만남은 시대를 거스르는 진정한 만남이라고 자부한다.

목요일의 만남이 이루어질수록 마음의 씨앗은 작고 설레게 피어올랐고 의도치 않은 일때문에 한주가 밀리면 무척 서운했으며 무슨 일일까 걱정되도 연락처를 모르기에 애태우기만 하는 그리움은 결국 사랑이 된다.

우정은 순수하지 않지만 사랑만큼은 무척이나 순수했다. 모든 것을 말하지 않아도 느낌으로 만질 수 있었던 그런 사랑이였다.
맞다... 그땐 이런 사랑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 - 역사 속 한 끼 식사로 만나는 음식문화사의 모든 것
박현진 지음, 오현숙 그림 / 책들의정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식으로 만나는 역사와 음식문화의 만남. 역사 한 숟갈 맛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 - 역사 속 한 끼 식사로 만나는 음식문화사의 모든 것
박현진 지음, 오현숙 그림 / 책들의정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362031389

 

 

기원전으로 돌아가 인간이 존재하면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의.식.주'중에 '식'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역사의 배경과 시대의 문화에 따라 함께 발전해 온 음식문화의 이야기를 이 책속에서는 무척이나 맛있게 들려주는데 우리나라의 음식문화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파생하고 즐기는 갖가지 요소들이 맛깔나게 재현되어 양념을 곁들인다.

특히나 소리내어 읽어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김치는 농업이 시작되고 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전 3000년경으로 추정하는 부분에서 오랜 역사의 한 부분으로 생각되었다. 낮은 염농도로 절이는 기술로 청량감을 제공하는 김치는 유산균을 생성하여 장까지 안전하게 영양분을 배달하는 최고의 식품으로 어떤 요리를 하던지 다 어울리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이다. 게다가 요즘들어 외국인에게도 꽤나 인기를 얻어 세계가 즐기는 음식이라는 각종 매체의 소개에 뿌듯해지기도 한다.

기다려야 제 맛이 탄생하는 김치, 두부, 치즈, 샴페인 등은 영양에 있어서 단연 으뜸을 보였고 역사를 거느렸던 왕이 즐긴 바다의 산물들은 입안을 자극했다. 특히나 명절에 즐기는 한국의 전통음식의 전통과의 궁합은 찰떡처럼 들어맞았고 사회가 변화하면서 맞는 인스턴트 음식의 변화는 전쟁을 방불케했다.

한 상 차림으로 만나는 우리의 음식은 역사를 거슬러 맛깔나게 변화되었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밥상은 우리의 음식문화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져있다. 맛있게 읽었으면 좋겠다는 저자의 바람대로 참으로 맛나게 읽었던 맛있는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