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임> 100대 영문 소설, 2005년 최고의 소설로 선정된 '나를 보내지 마'는 인간의 존엄성을 깊이 있는 문체로 그려나갔다.

 

유전자로 존엄성의 가치를 판단했던 영화 '가타카'는 인공적인 유전자를 통한 출생과 자연적인 출생을 나눠 적격자와 부적격자로 나눴는데, '나를 보내지 마'의 원제 '네버 렛 미 고'에서는 생명과학을 다루며 복제된 인간의 삶을 오로지 기증을 위한다는 도구로서의 인간을 그려내며 인간의 윤리적 문제를 거론했다.

 

이렇게 말하면 꽤나 무거운 스토리로 여겨질만 한데, 사실상 내용은 간병인이 된 캐시가 과거를 회상하며 지금까지 보내 온 삶을 무척 담담하게 그려나간다. 친구들과 있었던 일, 사춘기를 접어들며 가졌던 호기심, 그리고 사랑 등은 간결하고 부드러운 문체로 쓰여졌다.

 

 

 

기숙학교 헤일셤... 그곳은 철저히 외부와 차단되어 있었지만 그 누구로부터 보호받는 느낌이었다. 다만, 그들은 인위적으로 생산된 클론으로 장기 이식을 목적으로 복제된 인간들이였고, 미래에 기증자로서... 아니면 간병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학창시절... 마담에게 뽑힐 작품이라는 명목으로 자신의 성향을 파악 당했지만 그때는 대단한 영광을 얻었다고 생각했다. 어쨌든 이들은 황금의 시기를 지나 청소년기에 접어들었을 때, 몸과 인식의 변화를 느끼게 되고 역할수업을 마친 뒤 헤일셤에서 떠나게 된다. 그리고 각자 주어진 역할에 맞춰 삶을 보내게 되는데...

 

캐시는 자신이 맡은 기증자들이 환경에 동요되지 않게 기대치 이상의 성과를 보이는 유능한 간병인이다. 헤일셤에서 함께 보낸 루스를 간병하면서 그들의 추억을 회상하는 장면은 다른 성장기 소녀와 다를 바 없었다. 기증으로 마지막을 보내고 있는 루스는 연인이자 지금도 기증센터에 있는 토미를 부탁하면서 과거에 얽혀있던 일들을 하나씩 풀어나간다. 그리고 자신이 존재하는 목적, 장기기증을 위한 존재인 내가 결코 변하지 않음을 인식하면서 쓰라린 아픔과 마주하게 된다.

 

숙명에 대한 책임은 과연 누구에게 있을까? 이 원죄를 냉철하게 따지자면 모든 것이 인간으로 시작된다는 것이다. 어떤 목적으로도 인간의 존엄을 도구삼아 빗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로, 세상에 태어나 소중하지 않았던 존재는 없다. 화가 났던 부분은 헤이셤의 아이들은 삶의 목적 자체가 장기기증이었기에 삶이 끝날때까지 그 행위를 멈추지 않았으며, 마지막을 예감한 그들의 헤어지는 장면은 가슴을 쥐어짜는 슬픔을 안겨주었다. 이런 이야기를 담담하고 아무렇지 않은 듯 쓰여진 '나를 보내지 마'는 그들의 조용한 안녕에 더 처절한 울음이 숨겨진 듯하여 마음을 아프게 했다. 지구에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악랄함이 어디까지 미칠지 인간윤리에 대한 개념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를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보내는 거 싫다...

SF의 묘미는 둘째치고 체세포 복제란 생명과학 분야처럼, 검증된 증거에 의해 추출된 결론의 도달 역시 과학적 지식 체계와 같았다. 기증이라는 소중한 행위를 복제인간이라는 도구로 가공하여 또 다른 생명을 살리는 행위에 적용시켜 합리화했는지, 근본적인 인간의 윤리를 파헤쳐 SF라고 칭했는지 무척 의아하기도 했다.

 

 

그냥 세상과 등지고 사는 이들의 성장소설이었음 좋겠다는 바람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도 요동치는 법이 없었던 가즈오이시구로의 문체는 역시나 흐르는대로, 그들에게 정해진 운명대로 결말을 맞이한다. 앞으로 닥칠 인류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인간으로서 존엄의 가치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를 안겨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마지막은 죽음이라는 거 알고 있었어. 다만, 살아가야 하는 삶이 너무나 짧다는 것이 무서울 뿐이지... 그렇게 짧은 인생에 우리에게 남는 것이 있다거나 추억할 수 있는 무언가가 존재하더라도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없는거지... 그렇다고 이렇게 마냥 시간이 흘러가는대로 내버려 둘 순 없잖아. 되돌릴 수 있다면 지금이라도 돌려놓고 싶은 심정인거지...

 

회복 센터를 통해 다시 만나게 된 캐시, 루스, 토미... 루스와 토미는 기증자로, 캐시는 간병인으로 만난 그들은 아주 짧은 여행을 한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같은 존재를 도구로 만들다니 정말이지 역겨운 차별에 치가 떨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여지껏 입을 다물고 있었던 이유는... 입 밖으로 말하기 싫었던 사실이 있기때문이다. 클론이라 일컫는 우리는 인간쓰레기나 알콜중독자, 정신병자나 죄수들로부터 복제된 인간이다.

 

인간의 윤리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 그들은 근원자가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따져가며 그 사람을 찾는 게 뭐가 중요한데? 우리가 복제인간이라고 해서 근원자의 삶을 그대로 살아가는 것은 아니잖아... 돌이킬 수 없다면 부딪혀 살아가야 해... 하지만 정해진 운명이 너무나 가혹해 더 읽어 나가기가 싫다.

희망회로를 가동시켜도 안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3살 이전은 황금시기였지만 헤일셤을 떠나는 나이인 16살 즈음엔 문제가 있었다. 세뇌되듯 귀에 박혔던 '기증'에 대한 진실이 드러났고 바깥 세상에 나가기 위한 '역할 수행 연습'은 불안과 흥분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2차 성징에 들어서며 자아에 혼동이 생기고 정서적 변화뿐만 아니라 육체적 변화로 혼란을 겪게 된다. 철저하게 분리된 생활 속에서 열 여섯의 나이의 욕구는 존중받아야 하며 아름다운 행위라는 교육을 들으며 호기심이 발동하지 않는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겠지... 이 상태에서 바깥 세상과 어떻게 타협을 하고 살아갈 것인지 몹시 걱정스럽다.

 

어쩌면 이들은 새로운 바깥 세상의 빛보다 어둠을 먼저 접하게 될지도 모르겠지만, 조금이나마 삶의 작은 소망조차도 꿈 꿀 수 없는걸까? 2부에서 본격적인 그들의 삶을 옅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