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똥벼락
김 회경 (글쓴이), 조혜란 (그린이)

책더보기
오늘 하은이와 신명나게 읽은 책이 있습니다.
그 책이 바로 [똥벼락]인데 다섯 살인 하은이에게는 ‘똥’이라는 어감이 재미있는지,
아니면 의미가 재미있는지 책읽는 내내 ‘똥~’만 나오면 꺄르르 꺄르르 웃음꽃이 핍니다.
책의 제목부터 “똥벼락~~~” 그러니까
“똥뷰락이래~~”그러면서 무에가 그리 우스운지 얘기도 시작전인데 벌써 뒤로 넘어갑니다.
‘똥’과 관련한 여러책이 있지만 그중 하은이가 가장 아끼고 있는 애장본..[똥벼락]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김 부자는 돌쇠 아버지를 30년 동안 머슴으로 부려먹었습니다.
-이야기는 다짜고짜 김 부자가 나쁜 사람임을 비추면서 시작됩니다.
이 한줄로 미루어 김 부자에게 30년 동안이나 부림을 받은 돌쇠 아버지는 아마도 우직하니 마음좋은 사람인가 봅니다.
그렇게 30년이나 부림을 당한 댓가로 돌쇠 아버지가 고약한 김 부자에게 받은 것은 고작 자갈밭입니다. 하지만 착한 돌쇠 아버지는 그것도 감지덕지, 밭의 자갈을 모두 골라내고는 밭에다 뿌릴 거름걱정을 합니다.
여기서부터 슬슬~ ‘똥’이 등장하지요..
돌쇠네는 정말 똥을 금덩이처럼 귀하게 여기면서 온갖 똥을 모읍니다.
(아~ 똥이 금덩이와 같은 대우를 받다니~)
어느날 잔칫집엘 간 돌쇠 아버지는 그만 배가 아파서 급히 집으로 가는데 도저히 참을수가 없어서 나뭇잎에 싸갈 생각으로 볼 일을 보지요..

그런데 똥과 함께 누었던 오줌이 그만 낮잠 자던 도깨비 얼굴에 쏟아지는 바람에
돌쇠 아버지는 기적과 같은 도깨비의 도움을 받게 됩니다.
돌쇠 아버지의 딱한 사정을 들은 도깨비는 별 어려울 것도 없다는 듯이 김 부자네 똥을
돌쇠네로 날아다 줍니다.
돌쇠네는 그 똥으로 잘 썩은 똥 거름을 만들어서 밭에 뿌린 덕분에 조며 수수며 고구마 농사를 잘 지었지요..

이제 슬슬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고구마를 캐던 돌쇠 아버지가 금가락지를 발견하고는 김 부자에게 달려갑니다.
(아~ 돌쇠 아버지..정말 우직합니다..그려~)
이야기를 죄다 들은 김 부자는 그 성격 어디갈까요..
돌쇠 아버지를 똥도둑으로 몰아세우고는 훔쳐간 똥을 모두 갚든지, 똥 먹고 자란 곡식을 몽땅 내놓으라고 우격다짐을 합니다.
이실직고하러 갔다가 되려 매만 번 돌쇠 아버지는 하도 막막해서 산도깨비를 찾아가서는 있었던 이야기를 들려주지요..
돌쇠 아버지의 이야기를 들은 산도깨비는 김 부자의 욕심에 혀를 두르며 드디어 똥벼락을 내립니다.
“수리수리 수수리! 온 세상 똥아, 김 부자네로 날아라!”
똥벼락이 얼마나 클지 거무누르스름한 똥구름이 하늘을 뒤덮고는 온갖 똥덩이가 김 부자 머리 위로 쏟아집니다.

이제 드디어 하은이가 신이 나는 대목이 나옵니다.
산도깨비가 모은 세상의 온갖 종류의 똥이 나열되거든요..
된똥, 진똥, 산똥, 선똥, 피똥, 알똥, 배내똥, 개똥, 소똥, 닭똥, 말똥, 돼지똥...
이 똥들을 다~ 나열하기도 전에 우헤헤~ 우헤헤~
김 부자에게 내린 똥벼락은 똥산이 되고 동네 사람들은 그 산에 쌓인 거름을 가져다 농사를 지어서 풍년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똥산이 돼버린 모습을 보고는 하은이가 묻습니다.
김부자는 어떻게 됐냐고..
똥산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산 귀퉁이에 사람 발자국과 고양이 발자국이 보이는데
아마도 김 부자는 겨우겨우 똥산을 헤집고 나와 똥을 뒤집어쓴 부끄러움에 마을을 떠났을거라고 얘기해 주지요.
이 이야기는 우리나라의 전래동화가 선악구조의 형식속에 해학과 풍자를 담아내는 틀을 고스란히 따르고 있어 책을 읽는 동안 아이들에게 재미뿐 만이 아니라 선한자와 악한자의 결말에 대한 흥미로움으로 내용을 단번에 읽어내려가는 힘을 주는 듯 합니다.
흔히 ‘똥’이라고 하면 그것의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면을 먼저 생각하고 코를 싸쥐기 일쑤였던 우리네들..
그런 작태에 일침을 놓기라도 하듯 [똥벼락]은 똥의 양면을 통해
자연의 순환을 기억하며 똥을 귀하게 여기는 자들에겐 복을 불러오지만
단지 배설물로 여기고 업쑤이 여기는 자들에게는 오히려 화로 작용함을 일러줍니다.
김 부자에게 새경으로 받은 자갈밭이었을 지언정 그 자갈밭을 걱정하기 보다
그 밭에 뿌려질 거름을 걱정하여 온갖 음식물의 찌꺼기이고 냄새나는 배설물을 단지 더럽다 생각않고 귀히 여겼던 돌쇠네, 하늘(산도깨비)은 그런 돌쇠네의 마음을 알기라도 한 것처럼
그 밭에서 입으로 들어가는 온갖 곡식이 열리는 복을 준 것일지도 모릅니다.
반대로 똥을 단지 자신의 욕심을 채울 대상으로 생각했던 김 부자는 세상의 온갖 똥의 더러움에 치를 떨었겠지요..
[강아지 똥]이 세상에 하잘 것 없는 것은 없음을 말하고 있다면
[똥벼락]은 귀한 똥과 더러운 똥이란 어떤 것인가를 알려준다고나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