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무' 아래서
오에 겐자부로 지음, 송현아 옮김, 오에 유카리 그림 / 까치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어른이 되어 잊어버린다면, 어릴 적 독서는 쓸데없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렸을 때 자기가 읽었던 책은 쓸데없다며 그 까닭을 사회 탓으로 돌리는 어른들과 싸워야만 합니다. 스스로가 분명히 확인하지 않은 '소문'에는 따라가지 않는 것도 싸움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오에 겐자부로의 이야기다. '배울 것은 이미 유치원에서 다 배웠다'는 책도 있지만 이 말이 역설적으로 강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그만큼 어려서 깨우친 바를 늙어가면서도 온전히 지켜내는 사람들이 드물기 때문이 아닐까? 또 어떤 한 켠에서는 저 사람은 아직도 '어린애같다'라고 말하면서 자신이 유치원에서 배운 바와 영원히 결별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불쌍한 족속들도 있다.

이런 이야기는 내 주변에서도 다양하게 반복된다. 대학 3학년 쯤 되어서도 '정의'와 '민주' 혹은 '인권'에 대한 사회과학책을 읽고 있으면 쉽게 듣는 소리가 '너 아직도 그런 책 보냐'다. 자기는 졸업했다는 소리다. 글쎄 뭐로부터 졸업했을까? 내가 보기엔 참 안스러운 졸업이다. 음미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는 소크라테스의 말 처럼 의미없는 생존도 살 가치가 없다. 그건 좀비의 삶, 숨쉬지만 죽어있는 삶일 뿐이다.

오에 겐자부로가 이야기하는 '학교에 가야하는 이유'는 비단 청소년들에게만 들려줘야 할 이야기는 아니다. 주변에는 온통 배울 것 천지다. 배움은 학교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배움은 경쟁을 위한 것만은 절대로 아니다. 그것은 오에의 말처럼 타자와의 만남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타자와의 만남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죽는 날까지 배워야 한다.

그리고 이런 배움의 도정에서야 비로소 자립하는 인간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가 홍수에 떠내려 온 강단있는 소녀를 통해 얼핏 보았던 것 처럼 어떤 난관이나 혼돈 속에서도 굳건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자기 위엄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스러움의 의미 종교학총서 2
루돌프 옷토 지음 / 분도출판사 / 198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옷토는 종교에는 명확한 개념적 이해와 언어적 표현을 초월하는 어떤 비합리적인 요소가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논의를 시작한다. 이를 그는 '누멘적 감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감정은 언어적 접근을 초월하는 비합리적('반합리적'이 아닌) 체험이다. 왠고하니 그것은 누멘, 다시말해 어떤 초월적이고 신비적인 대상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의도하고자 하는 바는 이러한 누멘적 감정이 지니고 있는 여러 측면들을 되도록 정확하고 다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신성 혹은 신성스러움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하려는 것이다. 언어로 전하기 거의 불가능할 것 같은 종교적 체험의 독특한 특성을 언어와 논리로 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으름의 찬양 분도소책 35
러끌레르끄 지음, 장익 옮김 / 분도출판사 / 1986년 1월
평점 :
절판


무작정 게으르자는 소린 아니다. 게으름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어떤 쓰임으로 가장 가치로울 수 있는가를, 그리고 진정 자신이 누구인가를 깨닫는데 필요한 어떤 태도이다. 자끄 러끌레르끄는 1960년대 제2차 바티칸 공회의로 이어진 카톨릭 쇄신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분이라고 한다. 벨기에 자유 학술원 입회 연설문으로 쓰여진 이 작은 책은 게으름, 침묵, 고독이 왜 놓치지 않아야 할 중요한 삶의 요소인지 편안하고도 위트있는 방식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다시금 떠올리는 구절... 영혼이 평화롭지 못한 자는 아무 것도 얻지 못하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크라테스 카페
크리스토퍼 필립스 지음, 안시열 옮김 / 김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저널리스트로 잘 나가던 저자는, 이혼이란 현실 앞에서 자신의 삶을 다시 돌아본다. 그리곤 자신의 삶이 껍데기 뿐이었음을 절감한다. 무엇을 할 것인가? 이대론 살 수 없다. 과연 내가 이 껍데기 삶을 위해 속절없이 버리고 온 것은 무엇일까? 그는 그가 처음 플라톤의 입으로 소크라테스를 만났을 때를 떠올렸다. 소크라테스를 통해 깨달은 새로운 삶의 가능성에 가슴이 콩닥거렸었다는 사실을 기억해내게 된 것이다.

그는 그제서야 자신의 삶을 제대로 음미하기 시작했고 그 음미한 바를 남들과 나누기를 바랬다. 그는 멀쩡한 직업을 내던지고 양로원, 유치원, 서점, 심지어 교도소까지 미국 전역을 유랑하며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장을 열어나간다. 그 와중에 또 다른 사랑의 씨앗을 만나기도 하고, 천진스런 어린아이로부터 심오한 철학적 역설을 얻어듣기도 한다. 의심하는 마음없이 소용돌이치는 맹목의 삶 속에서 허둥거리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 꼭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음미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 그래 맞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씨네21 영화감독사전
씨네21 기자들과 영화평론가 엮음 / 한겨레출판 / 199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찌기 영화에 대해 다른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각한 시각을 견지해 온 한겨레 신문사의 10년 공력이 돋보이는 책이다. 작은 분량에 비해 각국 영화감독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는 인명록... 영화를 보는 시각이 영화비평에서 영화이론으로 담론지형의 중심축이 바뀌면서 영화를 감독의 작품으로 보는 것은 케케묵은 시각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시각의 일부를 구성함을 부인할 수 없다. 여러 시각의 다각적이면서도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면 작가적 관점은 필수가 아닐까? 앞으로 계속 판을 갈아서 책의 내용을 풍부하게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